해외 시차와 몸의 변화?
23.03.07
·
조회 518
보통 낮에 활동하고 밤에 잠을 자는게 건강에 좋다고 하잖아요?
근데 그렇게 생활하다가 미국에 가서 생활하면 밤낮이 바뀌는데
생체리듬은 ‘환경’에 변화 하는 건가요? 아니면 평소에 생활하던 ‘시간’ 이라는 개념에 변하는 건가요??
댓글
서망고
23.03.07
이가 얼마전 안될과학 카이스트 김재경 교수님 3편에 관련내용 다루는게 있어용
짱짱절미
23.03.07
아하 한번 정독해야 겠네요
ISTJ
23.03.07
1STJ
23.03.07
이에 덧붙여서 빠른 시차 적응을 위해선 우선 현지 도착후 다음날 아침식사까지 공복을 유지, 이 후 아침 식사를 하면 시차적응이 빠르게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ISTJ
23.03.07
'환경'이나 '시간'의 개념이라기 보다, 신체 내부의 장기들이 활동하는 시간과 그렇지 않은 시간에 따라 생체 리듬이 결정된다고 보면 얼추 설명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짱짱절미
23.03.07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조명민수크로마김
23.03.07
파고 들어가면 좀 복잡하지만,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아서 생체 시계가 움직인다고 생각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윗분 말씀대로 식사도 영향을 미치고, 눈으로 들어온 빛의 양과 파장에 따라서 호르몬 분비가 조절됩니다.
짱짱절미
23.03.07
여러가지 요인이 있었군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세포 내에서 합성되는 단백질과 식품으로 섭취하는 단백질은 다른 건가요?
5
gps를 사용하는 기기가 많아져도 위성이 그 정보를 다 처리할 수 있나요?
5
궤도님 전정기관과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5
또 이상한 상상..이게 가능한가요(약,생명관련)
3
*약스포* 프로젝트 헤일메리 읽다가 생긴 궁금증
1
현재글
해외 시차와 몸의 변화?
8
안될과학으로 초등학교 수업하기...
10
고체 공유결합 물질에서 끄트머리에 있는 애들의 결합 상태는?
9
피부과 각종 주사들 효능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었나요??
2
궤도님 어려운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9
전기 자동차는 유명한데 왜 전기 오토바이는 별로 유명하지않나요?
10
다트우주선의 소행성 충돌 후기 뉴스를 보며 생긴 의문점
4
구리 섬유의 항균성에 대해 질문
5
시간에도 최소단위가 있나요?
6
수학은 발견인가요 발명인가요
13
핵융합이 상용화된다면 쓰레기섬이 줄어들 수 있을까요?
5
휴지를 유압프레스로 누르면 폭발하는 이유
5
블랙홀의 과학 보는데 도저히 모르겠는게 있어용
7
E=mc² rest energy에대해서
3
AI가 창의성을 지배할수 있을까요?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