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의 과학 보는데 도저히 모르겠는게 있어용
23.03.01
·
조회 550
블랙홀은 강착원반이 빛난다고 했잖아용
블랙홀을 구체로 생긴거 아닌가용?
그러면 전체가 다 빛나야하는거 아닌감?
만약 원반형태라면 비스듬하게 찍힐 수도 있는거 아닌감?
찍은 사진이 왜 2d처럼 가운데가 뚫려있는 것 처럼 나오죵?
원반이라면 맨위 그림처럼 찍혀야되는거 아닌가용?

궁금해용!
댓글
시카고노동자
23.03.01
가운데가 안 보이는 부분이 블랙홀이요
아래부분이 좀 더 커 보이게 찍혀서 비스듬하게 찍힌거라고 추측하는 걸껄요
zlb1aj
23.03.01
넵 제 말은 비스듬하게찍혔으면 위에가 아예 안보여야 하거나 아니면 다 빛나야 하는게 아닌가 궁금해요! 운좋게 원반이 다 찍힌건가 해서요! 토성이 고리가 다 보이지 않는 것 처럼요!
시카고노동자
23.03.01
해상도가 낮아서 이미지만 보고 분석하긴 어렵겠지만
아무래도 원반 자체가 엄청 크지 않겠어요?
블랙홀은 중력은 큰데 크기는 작으니까
@zlb1aj
Ornithopter
23.03.01
일단 빨려 들어가는 천체는 2차원 디스크 형태가 될거구…
그런데 사건의 지평선 뒤쪽에 있을 고리가 보이는 것은,, 블랙홀의 인력때문에 뒤쪽으로 방출된 빛이 휘어서 보이는 거 아닐까요?
그리고 찍힌 사진 보니까 타원이라고 해도 이심율이 크지 않네요. 그니깐 사건의 지평선 위아래로 뒤쪽 강착원반의 빛이 보이고, 다시 앞쪽 강착원반의 빛이 겹쳐져서 (고리의 밝은 쪽) 찍힌 거 아닌가 싶네요
——
근데 찾아보니 강착원반 자체가 그냥 디스크 모양이 아니라 그걸 조금 더 찌그러트린 듯한 모양으로 예상하는 거 같은데 그러면 얘기가 완전 다르네요
——
라고 쓰고 또 더 찾아보니 그냥 중력때문에 그렇게 보이기만 하는 거 같네요.
여기 각도 바꾸면서 보이는 것까지 움짤로 잘 나와있군요. 빛의 경로가 왜곡되는 것도 그림으로 잘 설명돼있고…
----------
어쩌다 다시 원본 영상을 봤는데 잘못된 소리를 많이 해서 좀 덧붙입니다.
밝기 차이는 강착원반이 회전하면서 우리에게 다가오는 쪽은 밝아보이고, 멀어지는 쪽은 어둡게 보이기 때문이네요. 첨부한 이미지 (A Warped Look at Black Hole Optics)의 'Top View'에 해당하는 방향에서 보는 경우, 우리가 회전하는 원반을 위에서 내려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 부분은 우리에게서 멀어지지도 가까워지지도 않습니다. 비스듬하게 보면 한쪽은 가까워지고, 다른 쪽은 멀어지고요. 따라서 밝기 차이가 기울어져 있다는 근거가 되는 것이네요.
또 사건의 지평선과 광자포획반지름 등을 구분 안했는데 양해 부탁드립니다.
51구역
23.03.01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이라면 강착원반이 구형이지만 회전하는 블랙혹은 강착원반이 2차원입니다. 마치 토성의 고리처럼요. 각운동량의 영향을 받아서 그렇습니다
1STJ
23.03.02
블랙홀 뒤쪽 원반이 가려져야 하는데 왜 보이냐~ 이런질문같은데
블랙홀의 강한 중력때문에 뒤쪽 원반의 빛이 휘어져서 앞으로 오기때문에 어디를 봐도 블랙홀 주위가 빛나는것 처럼 보인답니다ㅎ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세포 내에서 합성되는 단백질과 식품으로 섭취하는 단백질은 다른 건가요?
5
gps를 사용하는 기기가 많아져도 위성이 그 정보를 다 처리할 수 있나요?
5
궤도님 전정기관과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5
또 이상한 상상..이게 가능한가요(약,생명관련)
3
*약스포* 프로젝트 헤일메리 읽다가 생긴 궁금증
1
해외 시차와 몸의 변화?
8
안될과학으로 초등학교 수업하기...
10
고체 공유결합 물질에서 끄트머리에 있는 애들의 결합 상태는?
9
피부과 각종 주사들 효능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었나요??
2
궤도님 어려운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9
전기 자동차는 유명한데 왜 전기 오토바이는 별로 유명하지않나요?
10
다트우주선의 소행성 충돌 후기 뉴스를 보며 생긴 의문점
4
구리 섬유의 항균성에 대해 질문
5
시간에도 최소단위가 있나요?
6
수학은 발견인가요 발명인가요
13
핵융합이 상용화된다면 쓰레기섬이 줄어들 수 있을까요?
5
휴지를 유압프레스로 누르면 폭발하는 이유
5
현재글
블랙홀의 과학 보는데 도저히 모르겠는게 있어용
7
E=mc² rest energy에대해서
3
AI가 창의성을 지배할수 있을까요?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