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기술 월드컵에 나온 진화론에 대한 방장님 질문과 그 대답
질문: 왜 특정 생물은 단순하게 되지 않고 굳이 어려운 복잡한 생물로 되었는가.
일단 제가 학부생때 들었던 수업에 대한 내용이 나와서 좋았습니다 !!
복습하는 의미로 다가 한 번 끄적여 볼게요 ….
먼저 진화란 어떠한 생물의 집단 (종 수준)의 변이가 축적 되어서 변화 되어 전혀다른 집단이 되는 것을 의미 (다른 종으로의 분화)
여기서 우리는 몇가지의 단어를 알면 편하다.
집단 A가 있으면 이들 안에는 각각의 개체들이 존재한다!! 예를들어서 집앞 공원에 참새들이 산다고 하자 !
이들 참새들의 생김새는 각각의 개체 마다 다르며 유전자 또한 다르다 !!
이러한 개체들이 환경에 얼마나 잘 살아남는가를 적응도라 한다 !
또한 이러한 적응도는 지금 내가 처한 환경압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
이 두 단어만 알아도 진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갑자기 빙하기가 온다고 하면 여러 참새들 중 예를들어 제 뇌피셜로 생각하자면 머 덩치에 비해 표면적이 작고 깃털이 많이 나있는 그런 친구들의 적응도가 올라가죠 !!
하지만 반대로 너무 더운 곳에서는 적응도가 내려가죠 이렇듯 적응도는 지금 내가 처한 환경에 의해서 결정 !!!
그럼 각 개체의 적응도의 차이는 어디서 오느냐 !! 그것은 무작위로 생성되는 돌연변이에 의해서 일어나는 거죠 !! 생물 또한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번식을 해 자손을 만들면서 이 자손이 커가면서 여러 돌연변이가 일어나게 됩니다 !
그렇다면 왜 복잡한 생물이 나왔는가 여기서 우리는 왜라는 질문에 대답을 할 수는 없습니다.
그저 이렇게 복잡한 애들만 적응도가 높아서 살아 남은 것이죠 !!
우리는 그러면 역으로 생각해야돼요… 하물며 지금 살아남은 모든 생물들은 진화의 최종산물인거죠 ! 다만 진화는 어떠한 방향성이 있는게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 발산하여 자신들 만의 전략을 선택하게 되며 이러한 전략을 선택하면 득과 실이 반드시 존재하는 법 !!
예를들어서 간단한 생물 (무성생식)을 하게 되면 번식하는 속도는 빠르지만 단순하게 복제만 됨 !
복잡한 생물 (유성생식)을 하게 되면 번식하는 속도는 느리지만 복잡하게 복제가 되서 여러 환경에서 대체 가능 !!
다른 예 (제 생각)는 알을 낳는 생물은 엄청나게 많은 수의 알을 낳지만 각 알의 대한 생존률 보장 못함
새끼를 낳는 생물은 수가 적지만 생존률이 올라감
이렇듯 어떠한 방향이 정해진게 아닌 살아남은 애들을 보면 각자의 전략이 있고 이러한 전략을 선택하면 반드시 trade-off가 생기는 법 !!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진화는 어떠한 방향이 정해진게 아니고 어떤 것이 더 좋은 것이고 나쁜 것은 없고 서로 다 각자 놓인 환경에서 적응도가 가장 높은 생물이 살아남고 결과적으로 보면 놓인 환경에서 최적의 전략을 선태한 개체만이 살아남으며 모든 전략에는 반드시 이득과 손해가 존재함 !!
이상 긴 글 누가 읽으진 모르지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