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과정과 결과에 대한 생각

정보통신보안
23.01.29
·
조회 558

과정이 결과보다 중요하다는 것은 대부분 ‘그것이 옳다(혹은 정의롭다)’라는 생각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철학의 영역이라 그런지 왜 그런가에 대한 과학적 근거보다는 추론의 영역이 한계더군요..

논리학 전공은 아니라 조금 이상하지만 읽기 편하시라고 정리하자면..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명제1) 우리는 죽음이라는 결과 속에서 삶이라는 과정을 살아가기에 과정이 중요하다면 그렇기에 삶이 가치있는 것이고, 결과가 중요하다면 결국 죽음에 다가가기에 삶이 무의미할 것이다.

추론1) 우리의 삶이 가치가 있다면 결과보다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가치가 있다.

추론1에 대한 대우) 결과보다 과정이 상대적으로 가치 있지 않다면 우리의 삶이 가치 있지 않다.

그렇다면 진리적으로 과정이 중요할지 결과가 중요할지 모르니 우리는 하나의 객체 입장에서 삶(과정)을 가치있게 여기어야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기 유리할 것이며 이는 곧 생존에 유리할 것이다.(집단에서 생존하기 유리함)

가치 비교는 상대적이기에 이분법적으로 결과는 하나도 중요하지 않고 과정만이 중요하다 라는 사고 역시 잘못된 것이지만 우리는 과정이 중요함을 막연하게나마 알지만서도 종종 그것을 잊고 결과에 낙담하며 크게 슬퍼하는 이들이 안타까운 마음에 생각해봤습니다

횐님들의 생각은 어떠신지, 혹시 반대되는 논리나 증거가 있을지 궁금하여 적어봅니다. 수고롭게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닥터프레드릭쇼팽
23.01.29
죽음이 삶의 결과라는 생략된 논증에 대해 고민을 해보십시오. 만약 결과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삶의 과정과 인과관계가 약한; 내가 결혼을 하는 것이 하나의 과정이라고 합시다. 우리가 죽는 이유는 결혼을 해서가 아니지 않습니까? 즉 과정에서 비롯된 결과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29
앗... 그렇군요 맞는 말씀입니다. 정확히 짚어주신 것 같습니다 ㅎㅎ 생각을 좀 더 정돈해봐야겠네요
닥터프레드릭쇼팽
23.01.29
사실 과정과 결과는 그냥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그런 느낌으로 분리되기 힘듭니다.
흘러가는 시간 축에서 특정 기간을 분리하여 그 사이에 일어난 특정한 일을 기준으로 잡고, 그것의 인과 관계를 따져 평가한 것을 원인과 결과라고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아주 넓고 장황합니다.
우리가 결과라고 생각하는 것이 시간축을 연장해서 보면 하나의 과정일 수 있고, 하나의 행동은 하나의 결과를 낳지 않습니다. 즉 특정한 일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에 대해 평가하는 것은 굉장히 협소한(나쁜 의미는 아닙니다) 시야입니다.
루베도
23.01.29
음. "결과"라는게 무었인지 정의를 해야할텐데, 결과는 인과와 별개라고 생각할수도 있지않나요?
닥터프레드릭쇼팽
23.01.29
원인과 결과를 통칭해서 인과라고 부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인과 사이의 지지하는 정도가 세거나 약할 수 있어도, 두 단어는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인 것 같아요
@루베도
루베도
23.01.29
음, 한자어에서 결과와 인과의 과 자가 같은건 맞지만, 일단 우리가 지금 쓰는 단어의 뜻은 그렇게 사용되지 않는거 같습니다.
@닥터프레드릭쇼팽
닥터프레드릭쇼팽
23.01.29
그럼 인과의 뜻을 어떻게 정의하고 사용중이신가요?
@루베도
루베도
23.01.29
인과의 뜻은 말그대로 쇼팽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원인과 "그에 따른 결과" 를 말하지만,
인과라는 표현이 아닌 "과정과 결과" 라는 말을 할때, 과정과 결과는 따로 노는 경우가 허다하게 많지요.
그 경우에도 우리는 결과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습니까?
닥터프레드릭쇼팽
23.01.29
네 그건 지지정도가 낮은 인과관계라고하죠. 원인이 결과를 충분히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인과관계요.
@루베도
닥터프레드릭쇼팽
23.01.29
인과관계가 지나치게 생략되거나 논리적 오류를 포함된 논증이더라도, 그걸 논증이 아니라고 하지는 않아요. 건전성의 정도에서 떨어질 뿐이지
@루베도
루베도
23.01.29
죽음을 다시 정의해보는것도 좋을듯하네요.
죽음의 원인이 무엇일까요?
저는 "탄생"이 가장 큰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탄생 뿐만아니라 다른 여러 이유도 존재 할 테지만.
탄생 이외의 다른 이유들은 절대적인 원인이라 할수가 없거든요.
예를 들면 노화가 죽음의 원인이라고 해봅시다. 그런데 모든 죽음의 원인이 노화라고 할 수 있나요? 그럴 수 없죠.
결국 "모든죽음의 원인"이라고 불릴 수 있는건 "탄생"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탄생"은 필연적으로 "삶"을 가져옵니다. 그러니 "삶"이 있어야 "죽음"이 있는것이죠.
"삶"이 없는 죽음은 이 세상에 없죠. 그러니 죽음의 원인은 "삶"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루베도
23.01.29
애초에 과정보다 결과를 중요시한다 할때의 과정과 결과를 말하는 것은 대략 이런식입니다.
가능한 최대로 열심히 공부를 했다 -> 그런데 시험에 떨어졌다.
여기서 우리가 "결과"라고 부르는 시험에 떨어졌다는게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에 시험에 떨어진건가요?
애초에 그런 인과와 무관한 최종상태만을 결과라고 부르는거 아닐까요?
루베도
23.01.29
시험에 떨어진 것이 열심히 공부한 것과 인과관계가 없다고 해서,
시험에 떨어진 것이 우리가 말하는 "결과"가 아닌게 아니지 않냐는 말입니다.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29
죽음의 원인이 탄생이었네요 상기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제 생각에는 결과에는 무조건 하나 이상의 원인이 따라온다고 생각됩니다. 열심히 공부했지만 시험에 떨어진 원인은 ‘그날 배가 아팠다’or'준비기간이 적어 장기기억으로 넘어가는 양이 부독했다‘라는 다른 요소가 있지 않을까요? 하물며 빅뱅의 발생 원인도 ’있겠지만 아직 모른다‘이지 ’없다‘라고 보긴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루베도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29
쇼팽횐님 말씀대로 협소한 시각으론 시험에 떨어진 것이 결과이지만 그동안 했던 노력이 더 미래의 한 결과의 원인 중 하나가 되기에 좀 더 넓은 관점으로 바라보며 긍정적인 생각으로 결론지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유전체의 입장이 아닌 한 사람의 인생이라는 전제 하에 아무리 넓게 잡아봐야 탄생-죽음의 범위가 최대인 듯 싶습니다 그렇기에 결국 죽음이라는 결과를 놓고 삶이라는 과정을 평가하는(혹은 가치 판단을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정보통신보안
루베도
23.01.29
일단 "죽음"이 무의미한가를 따져보는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29
맞습니다 사실 가정을 두루뭉술하게 넘어갔습니다..ㅎㅎ; 의미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해 무의미하다 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은 정확하게 표현하면 죽음은 보편적으로 부정적으로 생각하기에 ‘당신이 만약 죽음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면~’이라는 조건이 붙어야 제 논리가 진행될 수 있었죠
죽음이 무의미한가(혹은 부정적인가) 아닌가를 논할 근거는 당장 떠오르는게 없어서 조금 더 고민을 해봐야겠네요:)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29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29
만약 죽음이 긍정적이라면 그것도 논리 자체는 직관적으로 보기에 통하는 듯 싶습니다.
크리스찬들은 죽음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죽음 이후의 삶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죠 그래서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노력하듯 현세를 열심히 사는 것을 죽음 이후의 삶을 위해 노력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현세를 죽음 이후보다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 여기기에
죽음이 긍정적이면 삶은 상대적으로 죽음보다 덜 중요해진다는 논리가 이상해보이진 않으며 이는 결국 추론1의 대우를 조금 긍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29
아 그러면 제 결론을 수정해야겠군요 죽음이 부정적이어야만 삶을 가치있게 여길 순 없겠네요. 죽음이 긍정적이면 상대적으로 삶을 죽음 이후보다 덜 가치있게 여길 순 있지만 그게 가치가 없진 않게되니..
추론까진 좋았으나 결론이 아쉽지 않았나 싶네요 ㅎㅎ
@정보통신보안
루베도
23.01.29
모든 죽음은 동일한가? 이것도 보아야 하겟지요 ㅇㅇ;;;
@정보통신보안
루베도
23.01.29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개죽음"이라는게 있죠. 그말은 즉 일반적인 죽음이 아닌, 더 가치없는 죽음이라고 볼 수있지요. 그럼 죽음이라는게 다 같지 않다는거고요. 죽음이 우리 삶의 결과라면, 개죽음이야말로 피해야 할 것이겠죠. 그리고 내가 원하는 죽음은 어떤것이고 그러한 죽음을 맞이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그걸 고민해봐야 할 겁니다.
@정보통신보안
루베도
23.01.29
하나 더 생각해보자면, 애초에 과정과 결과 중 어떤것이 중요하냐는 질문이 최초였는데,
모든 사례에서 과정과 결과중 어떤것이 중요하다는게 통일되어있느냐도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어떤 사례를 보면 결과가 더 중요하다 생각할수도 있고,
어떤 사례를 보면 과정이 더 중요하다 생각할수도 있는거 아닐까요?
결국 그 답 자체가 케바케의 영역에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31
하긴 말씀을 들어보니 무언가를 정형화하고 일반화하기엔 체계적인 논리 설계도 아니었고 다소 섣부른 추론이지 않았나 싶네요 피드백 계속 주신 덕에 무언가 잘못된 점을 찾았습니다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정보통신보안 글쓴이
23.01.31
댓글이 좀 늦었지만 진심으로 제 의견에 논박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제 깊은 곳에 박혀있던 생각을 옳은 방향으로 이끌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우주, 과학철학 등의 책 추천 부탁드려요! 27
궤도
뚝심이다뚝심
·
조회수 595
·
23.01.29
배부를때 좀 걸으면 배가 꺼지는건 진짜인가요? 4
궤도
한국항공화물항공기
·
조회수 550
·
23.01.29
궤도님이랑 방장이랑 야추게임 하는 거 보고시퍼요 7
궤도
으랴아
·
조회수 465
·
23.01.29
킹받는 연애과학은 왜 조회수가 안나오는지 모르겠다 8
궤도
터러플
·
조회수 957
·
23.01.29
궤손실. 2
궤도
원자에는의지가있어
·
조회수 374
·
23.01.29
에우로파 탐사 방법에 대한 궁금증 3
궤도
민지와쪄여뿌우
·
조회수 238
·
23.01.29
과학이 가득한 노래 4
궤도
인사할시간도없
·
조회수 350
·
23.01.29
빅뱅 이전에는 시간이 없었다? 19
궤도
루베도
·
조회수 558
·
23.01.29
궤도님 2월중순쯤에 오신대요ㅇㅇ 캬 6
궤도
평화로운얼굴
·
조회수 563
·
23.01.29
(종료)티즐 추가매수 기회입니다. 2
궤도
별의조각
·
조회수 389
·
23.01.29
자석의 과학 봤는데 너무 재밌네요 6
궤도
쇼츠헌터맨
·
조회수 426
·
23.01.29
즉 시 과 학 2
궤도
침참잘알
·
조회수 364
·
23.01.29
현재글 과정과 결과에 대한 생각 25
궤도
정보통신보안
·
조회수 559
·
23.01.29
질문)차원에 대해 궁금한점 7
궤도
질문민수
·
조회수 396
·
23.01.29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물질인줄 알았던 물이... 16
궤도
코인맛좀볼래
·
조회수 720
·
23.01.29
-1 x -1은 왜 1인가요? 10
궤도
물돼지
·
조회수 619
·
23.01.29
제일 좋아하는/시러하는 태양계 행성? 13
궤도
T로살자
·
조회수 368
·
23.01.29
!질문! 날이 추운 대기에서.. 3
궤도
hxnmin
·
조회수 239
·
23.01.29
빅뱅이전에는 왜 시간이 없다고 하는지 모르겟어요 11
궤도
이름없는자
·
조회수 589
·
23.01.28
저 ufo 본거 같습니다 7
궤도
미친사람아님
·
조회수 549
·
23.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