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날이 추운 대기에서..
23.01.29
·
조회 239
요즘 날이 추워지는데 버스 기다리다가 갑자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물이 얼음이 될텐데
대기에 있는 수증기도 수증기가 아닌 다 얼음으로 바뀌어야하지 않나?라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근데 설마 대기 중에 수증기가 없을 것 같지도 않은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수증기들은 어떻게 되나요?
댓글
서망고
23.01.29
1. 대기중 물이 0도에서 다 얼어버릴 것 같지만 실제로는 과냉각물방울과 얼음조각이 섞인 상태가 됩니다. 단 -40도에서는 다 얼어버리는데 간혹 sns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물뿌렸는데 얼음조각이 날리는 영상은 그정도로 저온 지역에서 촬영 가능합니다
2. 흔히 상대습도 등으로 알려져있는 개념이 있듯이 어떠한 기압과 온도에서 단위부피당 최대 수증기량이 정해져있습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최대 수증기량보다 많은 양의 수증기가 포함되는 과포화 상태도 존재가능합니다) 아무튼 이 포화수증기량 이상의 물은 온도나 기압에 따라 물이나 얼음이 됩니다 (이게 구름)
3. 말씀주신대로 주어진 기압 온도에서 포화수증기량을 초과하는 수증기는 물방울이나 얼음조각으로 응결 또는 승화(빙결이라고도함) 되어 구름을 만드는데
서망고
23.01.29
영하 40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그냥 물방울이 된다 생각하시는게 편합니다. 상층운이 만들어지게되는 약 10km 고도 근방에서는 온도가 매우 낮아 수증기가 바로 얼음알갱이가 되어 얼음구름을 만드는데 이게 흔히 이야기하는 권운(새털구름) 권층운 및 권적운입니다
뽁뽁이아저씨
23.01.29
영하 온도여도 공기 분자는 여전히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그래서 물 분자가 서로 달라붙어서 얼음결정이 되지 못하게 괴롭혀서 방해합니다. 그래도 얼음이 되는 의지의 물분자들도 있는데요. 그게 서리나 성애입니다. 그나마 땅 바닥같은 고체 표면에서는 공기의 방해가 좀 덜해지거든요. 공중에서는 사방에서 괴롭히는데 고체 표면에시는 적어도 한쪽은 가만히 있으니까요. 그리고 공기중에 물분자가 많으면 앞에서 설명해주신대로 비로소 공기중에서도 서로 달라붙어서 얼음이 되는 물분자들도 생겨나는것입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우주, 과학철학 등의 책 추천 부탁드려요!
27
배부를때 좀 걸으면 배가 꺼지는건 진짜인가요?
4
궤도님이랑 방장이랑 야추게임 하는 거 보고시퍼요
7
킹받는 연애과학은 왜 조회수가 안나오는지 모르겠다
8
궤손실.
2
에우로파 탐사 방법에 대한 궁금증
3
과학이 가득한 노래
4
빅뱅 이전에는 시간이 없었다?
19
궤도님 2월중순쯤에 오신대요ㅇㅇ 캬
6
(종료)티즐 추가매수 기회입니다.
2
자석의 과학 봤는데 너무 재밌네요
6
즉 시 과 학
2
과정과 결과에 대한 생각
25
질문)차원에 대해 궁금한점
7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물질인줄 알았던 물이...
16
-1 x -1은 왜 1인가요?
10
제일 좋아하는/시러하는 태양계 행성?
13
현재글
!질문! 날이 추운 대기에서..
3
빅뱅이전에는 왜 시간이 없다고 하는지 모르겟어요
11
저 ufo 본거 같습니다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