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근친이나 가까운 친족일수록 교배시 자손에 문제가 생기잖아요?

drakefrog
23.01.21
·
조회 818

먼 옛날 어떤 동물이 탄생할때 처음엔 몇 마리 없었을거고,

그들이 낳은 자식들은 친족끼리 번식을 했텐데

어떻게 별다른 장애없이 후손이 이어진건가요?

댓글
rgmq19
23.01.21
BEST
1) 근친 교배한다고 유전병이 발생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일부 “상염색체 열성 멘델 형질” 관련 변이가
동형접합 (homozygosity)으로 서로 마주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뿐입니다.
2) 모든 형질이 멘델 유전인것도 아닙니다. 대부분 복합형질은 다인자유전적 (polygenic) 입니다.
즉 그 변이가 A 형질과 연관 있다고 해도, 그거 하나 있다고 대세에 지장은 없습니다.
3) 대부분의 변이는 유해하지 않습니다. 일단 유전자의 엑손 영역 아닌 부위가 전체 DNA의 99프로 이상입니다.
엑손 변이 조차 대다수는 무해합니다.
—————————————————
*멘델 유전: 단일 변이에 의해 성질이 결정되는 유전 형태 (e.g., 각종 단일유전 희귀질환)
*다인자유전성: 변이 수십~수천개가 n%의 유전율로 작용하는 유전형태 (e.g., 키, 정신질환)
*엑손: 실제 단백질 암호화하는 DNA 서열
길고양이의조언
23.01.21
운좋게 장애가 없는 개체가 살아남았겠죠?
유전병은 확률이라서 유전되지않았다면 문제가 없습니다.
유전병이 있는 가족끼리 근친하면 확률이 극대화되는 것입니다.
IC2W
23.01.21
한 종이 어느 순간부터 다른 종으로 분류된다고 하긴 어렵지 않을까요? 유사한 근연도를 가진 다른 개체들과 교배하는 과정에서 종이 분화되었다면 유전병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거 아닐까요?
오입마루
23.01.21
어떤 동물은 어느 날 갑자기 짠 하고 한 개체가 나타나는 게 아니라고 봅니다.
닭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닭도 다른 생물종과 마찬가지로 단세포에서 시작했겠지요.
하지만 유구한 세월을 거쳐 점차 진화하면서 지금에 이르러 닭의 모습이 되었습니다.
단세포 생물과 닭은 확실히 다른 존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닭과 닭의 조상은 어떨까요? 닭의 조상이 닭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저 개체는 닭의 조상이고 이 개체는 닭이다'라고 딱 잘라 말할 수 있는 지점이 있을까요?
힘들겠지만 아주 정밀한 기준을 세워 닭의 조상과 구분되는 최초의 닭의 존재를 가정해봅시다.
그 최초의 닭이 아직 닭으로 진화하지 않은 닭의 조상과 생식이 불가능 했을까요?
저는 가능했으리라 봅니다.
rgmq19
23.01.21
BEST
1) 근친 교배한다고 유전병이 발생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일부 “상염색체 열성 멘델 형질” 관련 변이가
동형접합 (homozygosity)으로 서로 마주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뿐입니다.
2) 모든 형질이 멘델 유전인것도 아닙니다. 대부분 복합형질은 다인자유전적 (polygenic) 입니다.
즉 그 변이가 A 형질과 연관 있다고 해도, 그거 하나 있다고 대세에 지장은 없습니다.
3) 대부분의 변이는 유해하지 않습니다. 일단 유전자의 엑손 영역 아닌 부위가 전체 DNA의 99프로 이상입니다.
엑손 변이 조차 대다수는 무해합니다.
—————————————————
*멘델 유전: 단일 변이에 의해 성질이 결정되는 유전 형태 (e.g., 각종 단일유전 희귀질환)
*다인자유전성: 변이 수십~수천개가 n%의 유전율로 작용하는 유전형태 (e.g., 키, 정신질환)
*엑손: 실제 단백질 암호화하는 DNA 서열
rgmq19
23.01.21
또한 진화생물학적 관점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종이 분화한다고 완전히 드라마틱한 유전서열을 가진 개체가 기존 공통조상에서 확연히 벗어나는게 아닙니다.
2) 린네의 분류학대로 딱 유성생식 가능여부가 결정되는 것도 아닙니다.
3) 생식세포 신규변이 (de novo mutation) 등으로 인해 기존 종의 레퍼런스 서열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이” 유전서열이 달라진 개체도 기존 종들과 유성생식 가능할 수 있습니다.
4) 이렇게 점진적인 과정을 거치고 몇가지 진화적 선택압으로 인해 전체 유전체서열 풀의 도미넌스가 변동하는 거고,
그러다가 꽤 많은 시간이 흘러야만 완전히 다른 종으로 분화하게 됩니다.
침하허호
23.01.21
ㅗㅜㅑ ㅋㅋㅋ 전문적이시네
석-전
23.01.21
엄청나네요... 건강하게 오래오래 연구해주세요.
@rgmq19
물린이
23.01.21
장애라기보다는 생존에 불리한 형질이란 표현이 맞겠죠 여기선
PTA0828
23.01.21
이집트 신화인가 거기 보면 죄다 근친상간이던데 ㅋㅋㅋ
drakefrog 글쓴이
23.01.21
답변들 감사합니다! 궁금한거 여기에 물어보면 정말 양질의 답변을 주셔서 좋아요!
두부는맛있다
23.01.22
와 박사님이 댓글 달아주셨네 ㅎㄷㄷ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명절엔 기분이 조크든요. 이건 완전 과학이죠. 4
궤도
절대햄탈해
·
조회수 363
·
23.01.21
취한 궤도 (이게 맞나) 3
궤도
궤도준수
·
조회수 673
·
23.01.21
궤도님 유희왕에도 출연하셨나요? 1
궤도
침착맨의군용슬리퍼
·
조회수 954
·
23.01.21
현재글 근친이나 가까운 친족일수록 교배시 자손에 문제가 생기잖아요? 12
궤도
drakefrog
·
조회수 819
·
23.01.21
DNA가 튜링 완전하다는 증명을 103
궤도
무명소졸
·
조회수 786
·
23.01.21
어릴때 태권도 끝나고 집에 가다가 구름에 빛이 움직이는걸 봤는데 2
궤도
미안해
·
조회수 274
·
23.01.21
어류의 성 행동과 후각의 연관성 3
궤도
흔한학부생
·
조회수 300
·
23.01.21
신소재, 화공 관련 분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8
궤도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
조회수 412
·
23.01.21
CPU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3
궤도
썬더볼트
·
조회수 432
·
23.01.21
엄머 개방장이 게임 방송을 13시간 넘게 한대요! 2
궤도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
조회수 484
·
23.01.21
수학에서 '열림'과 '닫힘'은 무엇일까? 5
궤도
정수론민수
·
조회수 1206
·
23.01.21
설날 내려가는 길에 생긴 질문 4
궤도
찬님이다
·
조회수 328
·
23.01.21
[질문]6개월째 친구랑 싸우고 있습니다 35
궤도
k8extr
·
조회수 721
·
23.01.21
궤도 제발;ㅜ 3
궤도
두부쿵야
·
조회수 457
·
23.01.21
궤도님이 에굽민수의 큐레이팅을 듣는 모습을 보니..
궤도
cr9zy
·
조회수 404
·
23.01.21
빅뱅이 복사가 된다고? 11
궤도
마늘빵
·
조회수 386
·
23.01.20
선생님들 저가요 UFO를 봤걸랑요 5
궤도
삑궷츠윾
·
조회수 375
·
23.01.20
궤도님 차원과 사랑에 대해 궁금합니다
궤도
수틀리면쏘는블렛
·
조회수 292
·
23.01.20
500년 전 과거로 가서 다빈치한테 사인 받고 2
궤도
하하윤
·
조회수 284
·
23.01.20
귀성 하자마자 본 당구장 1
궤도
빼미올
·
조회수 314
·
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