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신소재, 화공 관련 분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3.01.21
·
조회 412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66560

 

https://m.aliexpress.us/item/2255800306885020.html?pdp_npi=2%40dis%21USD%21US%20%24160.00%21%24160.00%21%21%21%21%21%402103222116742597283298552ed872%2110000002223499944%21btf&_t=pvid%3A37c513e2-a768-4f18-ab97-1d3b032a8685&afTraceInfo=4000493199772__msite__c_ppc_item_bridge__xxxxxx__1674259728&spm=a2g0n.ppclist.product.0&gatewayAdapt=gloPc2usaMsite&_randl_shipto=US

 

http://cmn.co.kr/mobile/sub_view.asp?news_idx=32064

 

 

먼저 두서없는 링크 죄송합니다.

 

오랜만에 본가에서 이야기를 나누다가 우연히 그래핀 마스크(첫번째 링크)에 대한 얘기가 나왔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더라고요. 그래핀 필터를 사용한다고 했지만 그게 식약처에서 승인할 것인가? 싶기도 하고(그래핀의 안전성이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핀의 성질에 흡착 성질이 있는지도 잘 모르겠더라고요.

 

그래서 좀 찾아보니까 생각보다 화장품 업계에서 그래핀가지고 마케팅을 펼치는 경우가 은근 있었는데, 하나같이 레퍼런스는 없고 주장하는 효과들도 제 기준에서는 의심가는 내용들이 많았습니다.(2,3번째 링크)

 

근데 그렇다고 이걸 말도 안되는 내용이라고 딱 잘라 말하기도 어려운 것이, 그래핀 소재의 성질이 무엇이라고 제가 말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혹시 이에 대해 논리적 반박이 가능할까요?

댓글
Back쀍
23.01.21
관련업계 종사자 입니다 그래핀 마스크들이 모두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분말 그래핀을 코팅해서 만드는데 그것은 위험할수도 있는데 벗겨져 기관지에 들어갈 우려가 있기 때문이죠
첫번째 제품은 액상 그래핀으로 만든 제품이라 섬유에 그래핀을 외부물질로써 합성한 제품입니다. 우선 나노자체가 표면적이 높아 극극극소량 들어가기도 하고 섬유에 합성하려면 극극극얇은 실에 고루 퍼져야되기 때문에 그래핀 입자가 섬유를 이탈하는 경우도 극히 드물며 마치 휴대폰에 납땜을 했다고 우리가 납을 만지지 않는것과 비슷합니다. 그래핀의 흡착성질은 이미 과학적으로 널리 알려진바 있으며 위 첫번째 제품 필터는 흡착성질보다는 기존의 멜트블로운 방식은 표면코팅을 사용해서 정전기로 이물질을 흡착시키는데
Back쀍
23.01.21
이제품은 기공을 작게하여 아예 외부물질을 차단하는 나노마스크 느낌으로 필터를 하는것 같습니다. Kf 테스트를 하는 기관에서 시험성적이 나온것으로 보아 효과는 있는것같고, 말씀하신 식약처관련해서는 음식 화장품에는 승인이 안났습니다 하지만 위의 팩마스크는 입자가 큰 그래핀인것 같기도 해서 그 이유로 판매승인이 난것 같습니다. 물론 제가 만든게 아니라 함부로 말할순없네요.그래핀이 회사마다 퀄이나 입자도 천차만별입니다. 보통 그래핀이 싱글레이어 물질을 칭하는데 실제 상용화된 그래핀은 5레이어도 최상급이고 대부분은 회사에서는 기술부족이나 단가 문제로 200나노정도를 사용합니다. 그래핀이라는 물질이 아직 정식으로 등록 된지도 얼마 안됐습니다. 등록하려면 몇억이 필요하고 우리나라에 그래핀 입증하는 장비도 없어서 해외에서 다 해오는 실정입니다.
Back쀍
23.01.21
저의 짧은 소견으로는 대부분의 그래핀은 사실 입자가 커서(위에 말한 이유로) 그냥 숯가루 정도의 위험성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고 액상그래핀의 경우는 휴대폰에 납땜 같이 생각해도 되실것같고 사실 우리나라에서 이런 최첨단사업 지원을 잘 안해주는 실정이라 이런저런 인증을 받으려면 꽤나 오래 걸릴것같습니다. 불안하시면 쓰지않으시면 되십니다만 유해하다는 결과도 어디에도 없긴 합니다. 우리나라 그래핀은 현재 세계에서 최고의 수준인데 개인적으로 정부가 좀 더 많은 지원을 해줘야하지 않나 십네요
Back쀍
23.01.21
그래핀의 흡착성질은 흔히쓰이는 활성탄소와도 비슷한데 이는 토양개량의 목적으로도 쓰일만큼 토양속의 중금속 제거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정말 잠재력이 많은 물질인데 안타까워서 길게 썼네요, 사실 관련업계에서 일하지 않는 이상 화공, 신소재 전공분들도 그래핀은 잘 모르긴합니다. 전공자들도 어려워하는 물질이라, 그거 탄소 한겹아니야? 정도로 아시고 수업에서 많이 배우질 않아요, 더궁금하신거 있으면 물어보세요ㅎㅎ
구쭈쭈
23.01.21
관련없게 종사자입니다.
나랑은 관련없게 허허
뽁뽁이아저씨
23.01.21
저도 그 그래핀 마스크에 대해서 주변 친구들이랑 이야기를 해봤었는데요. 윗분은 산업분야의 관점에서 설명해주셨는데 저는 연구분야에 있는 사람의 관점에서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마침 제가 2차원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들이 어떻게 배열되어 있는지 등을 연구해서 어느정도는 설명해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스크에 어떻게 그래핀을 넣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저라면 그런 제품은 안 쓸 것 같습니다. 주변 대학원생들 생각도 같았구요. 그래핀의 흡착성질이 좋다는것은 어느정도 맞는 이야기이긴 합니다. 그러나 그 원리를 살펴보면 그래핀 조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화학적으로 매우 활성화 되어있어서 다른 물질과 결합을 쉽게 하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이 흡착성질이 너무 강해서 공기에 노출되면 이미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해버립니다.
뽁뽁이아저씨
23.01.21
따라서 마스크를 생산, 유통하는 과정에서 또 마스크를 쓰는 순간 이미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그래핀 자체의 흡착성질이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어내진 않을 것 같구요. 다른 효과라면 그래핀이 섞여있는 섬유의 표면적이 일반섬유보다 높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면 표면적이 높은만큼 먼지들이 걸러질 확률이 높을테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앞에서 설명해주신 것처럼 나노사이즈의 물질이라는 것입니다. 나노크기의 물질들은 기본적으로 인체에 유해한데요. 그래서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물질들 대부분이 왠만하면 다 발암물질입니다. 그 유명한 은나노도 세균도 잘 죽이지만 사람한태도 독성이 있어서 조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런 나노사이즈의 그래핀이 미량이지만 섞여있는 제품을 가만히 놔두는것도 아니고 썼다 벗었다 하면서 거기서 섬유조각도 떨어져 나오고 그걸 흡입하기도 할 텐데 굳이 돈내고 사서 쓰진 않을 것 같습니다. 물론 거기서 나오는 그래핀의 양은 무시할 만큼 적은량이지만 그래핀이라고 홍보하는 만큼 가격도 더 비쌀테니까요.
뽁뽁이아저씨
23.01.21
물론 이건 물리학의 관점에서 본 이야기구요. 생화학분야나 그런 쪽의 지식을 가진분들의 생각은 다르실 수도 있겠네요. 그래핀이 전류도 잘 흐르고 얇고 튼튼하고 잘 휘어지는등 좋은 성질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용도에 맞게 써야지 좋은거지 아무데나 다 넣는다고 좋은건 아닌것 같습니다.
@뽁뽁이아저씨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명절엔 기분이 조크든요. 이건 완전 과학이죠. 4
궤도
절대햄탈해
·
조회수 364
·
23.01.21
취한 궤도 (이게 맞나) 3
궤도
궤도준수
·
조회수 673
·
23.01.21
궤도님 유희왕에도 출연하셨나요? 1
궤도
침착맨의군용슬리퍼
·
조회수 954
·
23.01.21
근친이나 가까운 친족일수록 교배시 자손에 문제가 생기잖아요? 12
궤도
drakefrog
·
조회수 819
·
23.01.21
DNA가 튜링 완전하다는 증명을 103
궤도
무명소졸
·
조회수 786
·
23.01.21
어릴때 태권도 끝나고 집에 가다가 구름에 빛이 움직이는걸 봤는데 2
궤도
미안해
·
조회수 274
·
23.01.21
어류의 성 행동과 후각의 연관성 3
궤도
흔한학부생
·
조회수 300
·
23.01.21
현재글 신소재, 화공 관련 분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8
궤도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
조회수 413
·
23.01.21
CPU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3
궤도
썬더볼트
·
조회수 432
·
23.01.21
엄머 개방장이 게임 방송을 13시간 넘게 한대요! 2
궤도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
조회수 484
·
23.01.21
수학에서 '열림'과 '닫힘'은 무엇일까? 5
궤도
정수론민수
·
조회수 1206
·
23.01.21
설날 내려가는 길에 생긴 질문 4
궤도
찬님이다
·
조회수 328
·
23.01.21
[질문]6개월째 친구랑 싸우고 있습니다 35
궤도
k8extr
·
조회수 721
·
23.01.21
궤도 제발;ㅜ 3
궤도
두부쿵야
·
조회수 457
·
23.01.21
궤도님이 에굽민수의 큐레이팅을 듣는 모습을 보니..
궤도
cr9zy
·
조회수 405
·
23.01.21
빅뱅이 복사가 된다고? 11
궤도
마늘빵
·
조회수 386
·
23.01.20
선생님들 저가요 UFO를 봤걸랑요 5
궤도
삑궷츠윾
·
조회수 375
·
23.01.20
궤도님 차원과 사랑에 대해 궁금합니다
궤도
수틀리면쏘는블렛
·
조회수 292
·
23.01.20
500년 전 과거로 가서 다빈치한테 사인 받고 2
궤도
하하윤
·
조회수 284
·
23.01.20
귀성 하자마자 본 당구장 1
궤도
빼미올
·
조회수 314
·
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