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질문]6개월째 친구랑 싸우고 있습니다

k8extr
23.01.21
·
조회 720

안녕하세요! 저는 평소에 침튜브와 안될과학을 즐겨보는 애청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궤도님의 그리고 여러분께 질문을 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6개월전 친구와 같이 텐동을 먹다가 시작되었습니다.

 

텐동은 아시다시피 튀김을 밥위에 얹어먹는 덮밥의 한종류인데 저희가 갔던 식당의 젓가락이 굉장히

 

특이하게 생겼습니다. 마치 일자드라이버를 연상케 하듯 넓적하고 납작한 모양으로 생긴 젓가락이었습니다.

 

친구는 저에게 젓가락이 왜이렇게 생겼을까라며 무심결에 질문을 하였고 그당시 저의 대답은

 

'튀김같은 음식을 쉽게 집으려면 얇은부분으로 집는게 편해서 젓가락이 이렇게 생겼을것'라고 하였고

 

제 친구의 의견은 ‘기름에 튀겨져 미끄러운 튀김을 집으려면 두꺼운쪽으로 집는게 더 편하지 않느냐’라고 되물었습니다.

 

그 이후로 서로각자의 주장을 펼치며 6개월째 싸우고있습니다.

 

서로의 주장을 대략적으로 정리해보자면

 

두꺼운쪽의견

 

1. 젓가락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음식을 집을때에 면적이 늘어나므로 좀더 안정적으로 미끄러짐 없이 잡을수있다.

2. 중국음식의 특성상 튀김과 기름을 이용한 조리법이 많은데 중국의 젓가락은 우리나라나 일본에 비해 두껍다.

그러므로 두꺼운 젓가락이 튀김과 같은음식을 집을때에 좀더 유리하다

 

얇은쪽의견

 

1. 젓가락의 두께가 얇을수록 젓가락질을 할때에 같은 힘을 주더라도 젓가락사이에 있는 음식물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더 적은 힘으로도 젓가락질을 할수있다. 힘이 적게 들어간다는 것은 그만큼 젓가락질이 편해진다라는 것이다.

2. 중국의 젓가락질은 음식을 집어서 먹는것이 아닌, 그릇을 들고 음식물을 쓸어 먹는 것이고 젓가락 재질이 나무로 되어있기에

두꺼워 질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중국의 젓가락이 두꺼운 것이, 두꺼운 젓가락이 튀김을 집는데 유리하다는 것과는 연관이 없다.

 

 

 

 

양측모두 어떤 검증도 없이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만 말하고 있어 정답이 없는 소모적인 주장만 계속 펼치고 있습니다ㅠㅠ

지난 6개월동안 끝없는 논쟁을하면서 이제는 누구의 말이 옳다 그르다를 떠나 이 문제에 대해 속시원한 해답을 알고싶습니다.

어떤 답변이라도 감사합니다!

댓글
양재천독깨팔
23.01.21
전 숟가락요
k8extr 글쓴이
23.01.21
보통 포크의견이 나오면 다음은 숟가락의견도 나오더군요 답변감사합니다!
물린이
23.01.21
오 면적에 비례해서 압력이 증가하느냐 마찰력이 증가하느냐 하는 문제군요!
k8extr 글쓴이
23.01.21
답글 감사합니다! 제가 올린 질문을 관통하는 한문장인 것 같습니다!
PTA0828
23.01.21
그게 두께 때문인가 걍 젓가락 재질차이인거같은데
k8extr 글쓴이
23.01.21
답글 감사합니다 젓가락 재질은 같다고 가정하고 이야기 했습니다!
두부는맛있다
23.01.21
냉장고에 붙은 두 자석이 있습니다.
A자석은 매우 약하지만, 매우 넓은 면적(손바닥만큼)을 가지고 있는 동그란 모양의 자석입니다.
B자석은 매우 강하지만, 매우 좁은 면적(새끼손톱만큼)을 가지고 있는 동그란 모양의 자석입니다.
냉장고의 수직방향으로 떼낼 때는 A가 더 강할 수도 B가 더 강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려 할 때는 B가 어렵습니다.
k8extr 글쓴이
23.01.21
답글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두부는맛있다
23.01.21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23.01.21
제 느낌으로는 튀김의 형태를 유지한 채로 집기 위해 넓적한 젓가락을 쓰는 것 같네요. 적어도 저는 그렇게 쓰고 싶습니다
k8extr 글쓴이
23.01.21
답글감사합니다. 젓가락의 생김새에 대해서 좀더 자세한 설명을 했어야됬는데 제가 너무 생략했던것같습니다
젓가락의 모양은 이런식으로 생겼습니다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4276782805-a4i64f01eni.jpg
뽁뽁이아저씨
23.01.21
일반적으로는 두번째가 맞는것 같고 넓쩍한 젓가락은 그냥 사장님 취향 아닐까요? 아니면 쇠젓가락을 선호하는 우리나라에서 그 밥을 쓸어먹는 방식에 효과적이도록 넓적하게 만든거 아닐까요? 우리나라 쇠젓가락으로 밥알 긁어모으려면 한세월 걸리는데 넓적한건 무겁지도 않으면서 그런 방식에 효율적일테니까요.
k8extr 글쓴이
23.01.21
답글감사합니다. 저도 같은의견입니다 젓가락의 재질이 쇠로 되있었고 얇은 면으로는 집어먹기 편하기 위해 넓은면은 쓸어먹기 위해 디자인 되었을것이다 라고 친구에게 설명해봤지만 얇은면이 더 집기 편하다라는 주장에 과학적인 근거를 내밀수없어 설득하지 못했습니다ㅠ
코트디부아르상아밀매범
23.01.21
점심은 텐동으로 정했습니다 고맙다 점심민수야
k8extr 글쓴이
23.01.21
답글감사합니다. 텐동은 사랑입니다
침소봉대맨
23.01.21
최대정지마찰력의 크기는 접촉 면적과 관계가 없고 젓가락이 튀김을 누르는 힘의 크기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같은 힘으로 젓가락을 쥔다면 접촉면적과 관계없이 젓가락이 튀김을 받쳐주는 마찰력의 크기는 같습니다. 그러나 젓가락의 얇은 면을 사용하면 튀김의 까슬까슬한 표면에 젓가락이 걸려서 마찰력 이외의 지지력을 얻기 더 쉬울 것 같네요.
k8extr 글쓴이
23.01.21
답글 감사합니다! 마찰력은 젓가락의 두께와 접촉면적과 관계가 없고 젓가락질에 필요한힘은 젓가락사이의 음식이 받는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말씀과 / 얇은 젓가락이 튀김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좀더 깊숙히 들어가기에 오히려 음식과 닿는 표면적은 두꺼운젓가락보다 얇은젓가락이 더 많을수도 있어 좀더 지지력을 받을수 있을것이다. 라는 말씀이신거군요! 제 짧은 물리학 지식으로는 말씀해주신 내용 전부 이해하진 못했지만 좋은의견감사합니다!
제발스마트포인터써줘
23.01.24
접촉 면적과 관계가 없다는 것은 이상적인 세계에서의 이론적인 이야기고 현실 세계에서의 마찰력은 접촉면적과 상관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완벽하게 부드럽게 평평한 물체는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고 완벽하게 딱딱해서 힘에의해 모양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물체도 없죠. 즉, 받는 힘에 의해 물체와 물체가 닿는 면적은 변하게 됩니다. 자동차 레이싱에서 광폭타이어, 홈이 없는 슬릭 타이어등을 채용하는것이 그 예이죠.
절대햄탈해
23.01.21
두꺼븡게 세심한 컨트롤이 힘든데, 튀김을 잡는데 세심한 컨트롤이 필요하냐 마냐의 문제이겠네요.
k8extr 글쓴이
23.01.21
의견감사합니다! 세심한 컨트롤과 음식을 집어드는행위에 관한 연관관계를 다시 짚어봐야겠군요
RJ45
23.01.22
저는 자동차 전공인데요, 타이어의 면적 관련해서 이리저리 알아보다가 비슷한 질문을 던진 적이 있네요
"최대정지마찰력은 마찰계수*하중(압력) 인데, 그럼 타이어가 넓다고 접지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없다. 그런데 왜 레이싱카와 고출력 자동차의 타이어는 넓을까?" 가 질문이었거든요
RJ45
23.01.22
답변이 "마찰계수*하중이 맞고 면적은 개입하지 않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중 증가량과 마찰력이 정비례로 증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000kg이하의 힘이 가해졌을때는 그에 맞춰 1:1로 정비례해 마찰력이 증가하지만, 그 이상으로 갈수록 마찰력 증가폭이 적어진다. 때문에 면적을 넓혀 단위면적당 하중을 1000kg 이하로 가해주는것이 가장 효율적인 접지력을 만들어 낼 수 있기에 넓은 타이어가 유리하다" 였거든요
RJ45
23.01.22
젓가락도 재질의 마찰계수와 마찰력 증가 폭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RJ45
제발스마트포인터써줘
23.01.24
현실세계에서의 물체는 눌리면 모양이 변형되면서 닿는 면적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접촉 면적은 마찰력과 상관 없지만, 실제 마찰력은 상관이 있는것이지요.
마늘빵
23.01.22
쓴이와 친구 같은 사람들을 위해서 기호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젓가락이 아니었을까요? ㅋㅋ
마치 탁구채 처럼요
제발스마트포인터써줘
23.01.24
당연히 직접 해 보셔서 아시겠지만, 얇은 쪽으로 집든, 넓은 쪽으로 집든 실사용에서의 편의성은 별 차이 없을거에요. 애초에 저렇게 생긴 젓가락은 밥을 젓가락으로 쓸어서 입으로 밀어넣기 편하라고 만든걸로 알고있거든요... 이걸 떠나서 엄밀하게 집는데 편한게 무엇이냐를 정의하고 가야 할 것 같아요. 우선 같은 힘을 줬을 때 중력으로부터 저항하는 힘이 더 강하다 라고 정의해 볼게요. 그렇다면 얘기가 복잡해 지는게, 많은 분들이 얘기해 주셨다시피 이론상 마찰력은 면적과는 상관이 없거든요? 하지만 실제로는 상관이 있습니다. 이건 위에 제가 적은 댓글을 참고해 주세요. 결론적으로 넓은쪽의 면적과 모양(완벽한 평면은 아닐수도 있잖아요?), 좁은쪽의 면적과 모양, 어떤 재질의 젓가락인지, 어떤 재질의 물건을 집는지,
제발스마트포인터써줘
23.01.24
그 물건의 생김새가 어떤지, 집는 힘이 물체를 어느정도 변형시킬 정도의 힘인지(물체를 부수고 파고들정도의 힘인지, 살짝 잡을 힘인지 등등), 너무 변수가 많은데 도무지 그다지 유용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정도로 집는 면의 넓이가 영향을 끼칠 것 같지가 않습니다. 극단적인 예시로 칼로 집는다고 생각해보세요. 이건 사실 튀김 겉과 젓가락과의 엄밀한 마찰력 문제가 아님을 아시게 될 겁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명절엔 기분이 조크든요. 이건 완전 과학이죠. 4
궤도
절대햄탈해
·
조회수 363
·
23.01.21
취한 궤도 (이게 맞나) 3
궤도
궤도준수
·
조회수 673
·
23.01.21
궤도님 유희왕에도 출연하셨나요? 1
궤도
침착맨의군용슬리퍼
·
조회수 954
·
23.01.21
근친이나 가까운 친족일수록 교배시 자손에 문제가 생기잖아요? 12
궤도
drakefrog
·
조회수 818
·
23.01.21
DNA가 튜링 완전하다는 증명을 103
궤도
무명소졸
·
조회수 786
·
23.01.21
어릴때 태권도 끝나고 집에 가다가 구름에 빛이 움직이는걸 봤는데 2
궤도
미안해
·
조회수 274
·
23.01.21
어류의 성 행동과 후각의 연관성 3
궤도
흔한학부생
·
조회수 300
·
23.01.21
신소재, 화공 관련 분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8
궤도
슈윙거팬티도둑파인만
·
조회수 412
·
23.01.21
CPU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3
궤도
썬더볼트
·
조회수 432
·
23.01.21
엄머 개방장이 게임 방송을 13시간 넘게 한대요! 2
궤도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
조회수 483
·
23.01.21
수학에서 '열림'과 '닫힘'은 무엇일까? 5
궤도
정수론민수
·
조회수 1206
·
23.01.21
설날 내려가는 길에 생긴 질문 4
궤도
찬님이다
·
조회수 328
·
23.01.21
현재글 [질문]6개월째 친구랑 싸우고 있습니다 35
궤도
k8extr
·
조회수 721
·
23.01.21
궤도 제발;ㅜ 3
궤도
두부쿵야
·
조회수 457
·
23.01.21
궤도님이 에굽민수의 큐레이팅을 듣는 모습을 보니..
궤도
cr9zy
·
조회수 404
·
23.01.21
빅뱅이 복사가 된다고? 11
궤도
마늘빵
·
조회수 385
·
23.01.20
선생님들 저가요 UFO를 봤걸랑요 5
궤도
삑궷츠윾
·
조회수 375
·
23.01.20
궤도님 차원과 사랑에 대해 궁금합니다
궤도
수틀리면쏘는블렛
·
조회수 292
·
23.01.20
500년 전 과거로 가서 다빈치한테 사인 받고 2
궤도
하하윤
·
조회수 284
·
23.01.20
귀성 하자마자 본 당구장 1
궤도
빼미올
·
조회수 314
·
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