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여움의 과학
최근 들어 유튜브 쇼츠로 아기들 영상이나 동물 영상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 참 시간 가는 줄 모르겠더라고요.
그러다 문득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도대체 왜 귀여운 것일까? 귀여운 것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공통점을 넘어선 어떤 공식이 존재하진 않을까? 하곤 말이지요.
그래서 연구했습니다.
일명 “귀여움의 공식에 관한 연구 일지”
제가 생각한 몇 가지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귀여움은 원형에 수렴할수록 높아진다.
2. 귀여움을 더욱 높이는 옵션으로는 털이 있다.
3. 사물보단 생명체가 귀엽다.
4. 보통은 작은 것이 귀엽다.
일단은 이렇습니다. 언제까지나 가설일 뿐이지만, 충분히 납득이 갈만한 내용들이라 생각하기에 이렇게 소개해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위의 조건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귀여움은 원형에 수렴할수록 높아진다.
조건이라고는 써 놓았지만 말 자체는 정답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말은 “원형에 가까울수록 귀여움 수치는 상승 곡선을 이루다가 어떤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귀여움 수치가 약간 떨어진다.”입니다.
(귀여움 수치 그래프)
그냥 방바닥에 동그란 공 하나가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과연 귀여울까요? 그럴 수도 있지만 공같이 둥그런 ‘장강7호’가 있다면 더욱 귀여워 미칠 것입니다.
(귀여운 장강7호)
각은 되도록 없어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라운딩 된 곡선으로 형태가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그런 선들이 완벽한 구는 아니지만 어떠한 중심을 기준으로 적당히 모여 있는 정도가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만약 귀여움의 대상이 생물체라면 지방층의 비율이 높을수록 더욱 귀엽습니다. 촉감으로 본다면 결국 말랑말랑 쿡 찔러보고 싶게끔 만드는 것이 귀여움의 수치를 상승시키는 키포인트입니다. 부수 조건 1-1이라고 해야 할까요? 말랑말랑한 것은 대단히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딱딱하고 차가운 것은 그 반대보다 귀엽기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같은 인형을 고른다고 생각해보자면, 더욱 부드럽고 촉감 좋은 인형을 고르지 않겠습니까?
2. 귀여움을 더욱 높이는 옵션으로는 털이 있다.
1번 조건에서 예시로 든 방바닥의 공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저 탱탱볼이 굴러다니는 것보단 쓰다듬고 싶게끔 만드는 복실스러운 털 공이 방구석을 때굴때굴 굴러다니는 것이 훨씬 귀엽지 않습니까? 여기에 ‘킬링 포인트’(팔다리+머리에 꼬랑지 붙음)가 붙어 발전한 것이 결국 장강7호 되시겠습니다.
특히 이 2번 조건을 설명할 땐 동물을 예시로 드는 것이 편합니다. 강아지(필자는 냥이보단 강쥐 선호)가 있다고 치겠습니다. 그 옆에 털 바싹 깎은 똑같은 강아지가 있습니다. 또 그 옆에 똑같은 강아지의 동상이 있다면 무엇이 가장 귀여울까요?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은 말한 순서대로일 겁니다.
3. 사물보단 생명체가 더욱 귀엽다.
방금 2번 마지막 예시를 들면서 충분히 설명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우리는 언제나 영혼이 깃들어져 있는 것에 정이 가기 마련이죠. 귀여운 만화 캐릭터의 굿즈 상품보단 영상 속의 움직이고 말하는 2D 캐릭터, 그리고 그것보단 실제 존재하는 생명체들. 여기서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아닌데? 난 인형 탈 쓴 짱구보단 애니메이션 짱구가 짱 귀여운데?’ 이 말은 맞습니다. 애니메이션 짱구가 짱 귀엽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현실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디자인의 문제지 3번 조건에 해당되는 내용은 아닙니다. 또 이럴 수 있습니다. ‘현실 세계 존재하는 것들은 다 징그러운 것들 투성이야,,, 2D가 짱이야!’ ,,,그럴 수 있습니다. 존중합니다. 사람마다 차이는 언제나 존재하는 법입니다.
4. 보통은 작은 것이 귀엽다.
“보통은”에 주목해 주십쇼. 이 3번 조건은 들어맞지 않을 경우가 다소 높습니다. 펭수를 봅시다. 키가 2m가 넘습니다. 호수 위의 러버덕은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없죠. 하지만 보통의 경우엔 작고 소중한 것이 귀엽습니다. 여기서 보통의 경우란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관념적으로 느낄 수 있는 그것 말이죠.
위의 4가지 조건이 적절히 조합되어야 최강의 귀여움을 뽐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어떤 귀여움을 창조한다고 했을 때 가장 주목해야 할 조건은 바로 1번입니다. 완벽한 구는 아니지만 원형의 형태로 적정선을 갖추고 있는 아주 이상적인 형태. 그리고 거기에 킬링 포인트가 합쳐져야 합니다. 고양이의 동그란 얼굴에 조그마한 뾰족 귀 두 개 빠방! 짤따랗게 뻗어있는 다리 끝에 달려있는 꾹꾹이 발 모양 두둥!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한 몸집 끝에 팔랑거리는 꼬랑지 허거덩! 극강의 귀여움입니다. 이거 미칩니다. 이러한 킬링 포인트는 귀여움 수치의 끝을 달리게 해줍니다.
이제 마지막 챕터입니다. 지금까지 배운 것들을 사용하여 최강의 귀여운 이모티콘을 만들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올해는 계묘년이니 캐릭터는 토끼로 한다.
2. 적당히 동그란 형태를 잡고 킬링 포인트를 더한다.
3. 킬링 포인트를 붙여 더욱 귀여움을 상승시킨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