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귀여움의 과학

꼬깔싸땅
23.01.20
·
조회 607

최근 들어 유튜브 쇼츠로 아기들 영상이나 동물 영상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 참 시간 가는 줄 모르겠더라고요.

그러다 문득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도대체 왜 귀여운 것일까? 귀여운 것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공통점을 넘어선 어떤 공식이 존재하진 않을까? 하곤 말이지요.

 

그래서 연구했습니다.

 

일명 “귀여움의 공식에 관한 연구 일지”

 

제가 생각한 몇 가지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귀여움은 원형에 수렴할수록 높아진다.

2. 귀여움을 더욱 높이는 옵션으로는 털이 있다.

3. 사물보단 생명체가 귀엽다.

4. 보통은 작은 것이 귀엽다.

 

일단은 이렇습니다. 언제까지나 가설일 뿐이지만, 충분히 납득이 갈만한 내용들이라 생각하기에 이렇게 소개해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위의 조건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귀여움은 원형에 수렴할수록 높아진다.

조건이라고는 써 놓았지만 말 자체는 정답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말은 “원형에 가까울수록 귀여움 수치는 상승 곡선을 이루다가 어떤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귀여움 수치가 약간 떨어진다.”입니다.

(귀여움 수치 그래프)

 

그냥 방바닥에 동그란 공 하나가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과연 귀여울까요? 그럴 수도 있지만 공같이 둥그런 ‘장강7호’가 있다면 더욱 귀여워 미칠 것입니다.

(귀여운 장강7호)

 

각은 되도록 없어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라운딩 된 곡선으로 형태가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그런 선들이 완벽한 구는 아니지만 어떠한 중심을 기준으로 적당히 모여 있는 정도가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만약 귀여움의 대상이 생물체라면 지방층의 비율이 높을수록 더욱 귀엽습니다. 촉감으로 본다면 결국 말랑말랑 쿡 찔러보고 싶게끔 만드는 것이 귀여움의 수치를 상승시키는 키포인트입니다. 부수 조건 1-1이라고 해야 할까요? 말랑말랑한 것은 대단히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딱딱하고 차가운 것은 그 반대보다 귀엽기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같은 인형을 고른다고 생각해보자면, 더욱 부드럽고 촉감 좋은 인형을 고르지 않겠습니까?

 

2. 귀여움을 더욱 높이는 옵션으로는 털이 있다.

1번 조건에서 예시로 든 방바닥의 공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저 탱탱볼이 굴러다니는 것보단 쓰다듬고 싶게끔 만드는 복실스러운 털 공이 방구석을 때굴때굴 굴러다니는 것이 훨씬 귀엽지 않습니까? 여기에 ‘킬링 포인트’(팔다리+머리에 꼬랑지 붙음)가 붙어 발전한 것이 결국 장강7호 되시겠습니다.

특히 이 2번 조건을 설명할 땐 동물을 예시로 드는 것이 편합니다. 강아지(필자는 냥이보단 강쥐 선호)가 있다고 치겠습니다. 그 옆에 털 바싹 깎은 똑같은 강아지가 있습니다. 또 그 옆에 똑같은 강아지의 동상이 있다면 무엇이 가장 귀여울까요?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은 말한 순서대로일 겁니다.

 

3. 사물보단 생명체가 더욱 귀엽다.

방금 2번 마지막 예시를 들면서 충분히 설명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우리는 언제나 영혼이 깃들어져 있는 것에 정이 가기 마련이죠. 귀여운 만화 캐릭터의 굿즈 상품보단 영상 속의 움직이고 말하는 2D 캐릭터, 그리고 그것보단 실제 존재하는 생명체들. 여기서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아닌데? 난 인형 탈 쓴 짱구보단 애니메이션 짱구가 짱 귀여운데?’ 이 말은 맞습니다. 애니메이션 짱구가 짱 귀엽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현실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디자인의 문제지 3번 조건에 해당되는 내용은 아닙니다. 또 이럴 수 있습니다. ‘현실 세계 존재하는 것들은 다 징그러운 것들 투성이야,,, 2D가 짱이야!’ ,,,그럴 수 있습니다. 존중합니다. 사람마다 차이는 언제나 존재하는 법입니다.

 

4. 보통은 작은 것이 귀엽다.

“보통은”에 주목해 주십쇼. 이 3번 조건은 들어맞지 않을 경우가 다소 높습니다. 펭수를 봅시다. 키가 2m가 넘습니다. 호수 위의 러버덕은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없죠. 하지만 보통의 경우엔 작고 소중한 것이 귀엽습니다. 여기서 보통의 경우란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관념적으로 느낄 수 있는 그것 말이죠.

 

 

위의 4가지 조건이 적절히 조합되어야 최강의 귀여움을 뽐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어떤 귀여움을 창조한다고 했을 때 가장 주목해야 할 조건은 바로 1번입니다. 완벽한 구는 아니지만 원형의 형태로 적정선을 갖추고 있는 아주 이상적인 형태. 그리고 거기에 킬링 포인트가 합쳐져야 합니다. 고양이의 동그란 얼굴에 조그마한 뾰족 귀 두 개 빠방! 짤따랗게 뻗어있는 다리 끝에 달려있는 꾹꾹이 발 모양 두둥!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한 몸집 끝에 팔랑거리는 꼬랑지 허거덩! 극강의 귀여움입니다. 이거 미칩니다. 이러한 킬링 포인트는 귀여움 수치의 끝을 달리게 해줍니다.

 

이제 마지막 챕터입니다. 지금까지 배운 것들을 사용하여 최강의 귀여운 이모티콘을 만들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올해는 계묘년이니 캐릭터는 토끼로 한다.

2. 적당히 동그란 형태를 잡고 킬링 포인트를 더한다.

3. 킬링 포인트를 붙여 더욱 귀여움을 상승시킨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침착근따
23.01.20
-이 글을 궤도사령관이 좋아합니다-
궤도준수
23.01.20
커여운 대장님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4194159996-lkq7tjgx7g9.gif
에드몽
23.01.20
폰트색깔 빼줘잉..
꼬깔싸땅 글쓴이
23.01.20
수정완료...!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23.01.20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4206969204-h2o4kpolfy.png
꼬깔싸땅 글쓴이
23.01.20
헉 다크모드는 이렇게 보이나요?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23.01.20
보이긴해유 ㅋㅋㅋㅋ
@꼬깔싸땅
꼬깔싸땅 글쓴이
23.01.20
수정완료했습니다!
@취급주의민트초코절임
마늘빵
23.01.20
나를 해칠 수 없는 존재라고 느낄 때 우리는 귀엽다고 느끼는 것 같습니다.
무해하다는 특성은 글쓴이 분이 적은 특징과 여러가지로 겹치기도 하고요...!
꼬깔싸땅 글쓴이
23.01.20
영혼석공
23.01.22
아기와 가까울수록 귀엽다는 얘기를 본적이 있습니다 유튜브에 찾아보면 나올수도 있을거같아요
꼬깔싸땅 글쓴이
23.01.22
즉시 시청
붕어빵먹고싶다
23.01.22
저도 보고들은얘기긴한데 귀영움이라는거는 아기와 가까울수록 귀여움 수치가 늘어난다고 합니다
예를들자면 우리가 반려견 반려묘를볼때 귀여움을 느끼는 이유가 아기처럼 머리와 눈이크고 머리가 몸을 대부분을 차지하기에 이런 공통점 때문에 귀엽다고 느끼는 거라고 합니다
그니까 귀여움은 즉 모성애이고 우리는 자동적으로 그렇게 생긴것을 보면 감정을 느끼도록 진화했다고 보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꼬깔싸땅 글쓴이
23.01.22
펄순이
23.08.12
장강 7호 진짜 오랜만이네여
꼬깔싸땅 글쓴이
23.08.14
마지막 떼로 몰려오는 장면이 너무 인상적이었어요…!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복수의 과학 3
궤도
보약왕파블로에스코바르
·
조회수 336
·
23.01.20
현재글 귀여움의 과학 16
궤도
꼬깔싸땅
·
조회수 608
·
23.01.20
3년전 지평좌표계 밈 (하남자특:귀신은 없지만 무서움) 2
궤도
궤도준수
·
조회수 2402
·
23.01.20
궁금한게 있습니다 3
궤도
곧군필
·
조회수 311
·
23.01.20
개쩌는 티셔츠 혹시 이건가요?? 3
궤도
cr9zy
·
조회수 1033
·
23.01.20
컴퓨터 '과학'이 뭘까용 17
궤도
4rom1b
·
조회수 717
·
23.01.20
5만년만에 혜성이 관측된다고합니다 3
궤도
쭈따맨
·
조회수 490
·
23.01.20
궤도티콘 나왔네요ㄷㄷ 3
궤도
길고양이의조언
·
조회수 662
·
23.01.20
아침에 해를 봤는데 점이 보였습니다 2
궤도
tysh
·
조회수 398
·
23.01.20
저가요 안될과학 쇼츠를 봤는데요 4
궤도
라일락
·
조회수 489
·
23.01.20
수학에 관한 질문이 있으시다면 물어보세요. 53
궤도
정수론민수
·
조회수 718
·
23.01.20
인종차별은 NO, 견종차별은 YES? 1
궤도
생크림
·
조회수 488
·
23.01.20
궤도님 과학특강 언제 있나요??
궤도
어쩔침덩이
·
조회수 377
·
23.01.20
음식으로 체질이 바뀐다는 것도 과학인가요? 6
궤도
주우재를알아라잡종
·
조회수 444
·
23.01.19
목성 3
궤도
예스위캣
·
조회수 292
·
23.01.19
궤도님의 과학이 필요한 시간 오디오 북이 나오는 걸 아십니까? 4
궤도
입다쳐말포이
·
조회수 373
·
23.01.19
[만화] 이휘소 박사님 이야기 2
궤도
폰예스이만
·
조회수 400
·
23.01.19
궤도선생님 야스오의 과학 요청드립니다 8
궤도
이말련씨리즈
·
조회수 583
·
23.01.19
침착맨 어워즈에서 수상 못한것도 과학인가요? 1
궤도
도도멍지
·
조회수 427
·
23.01.19
우리는 다른 은하가 있다는것을 어떻게 발견한건가요?? 6
궤도
바경진
·
조회수 352
·
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