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 멋진 신세계의 소마라는 보약에 대한 질문입니다.
23.01.18
·
조회 540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라는 소설을 읽으면서,
과학적으로 궁금한 점이 한가지 생겨 질문 올립니다.
멋진 신세계의 세계관에서 소마 라고 하는 인체에 무해 하면서 인위적인 행복만을 만들어주는 보약이 나옵니다.
제가 알기로는 인체에서 호르몬 작용을 통해 행복을 느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소마라는 보약이 인체에 주입되어서 행복을 느끼게 해주는 호르몬을 분비한다고 해도 추후 내성이 생겨
행복의 역치가 굉장히 올라가는 부작용이 생길것 같은데
아무런 부작용 없이 행복만 느끼게 해주는 보약이 근미래(소설의 배경이 되는 2048년)에서라도 실현이 가능할까요?
댓글
뽁뽁이아저씨
23.01.18
가능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저는 생물학에 대해서는 아는게 별로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그런데 그런 세상은 너무 재미없을 것 같습니다.
김둘기
23.01.18
앗 의견 감사합니다! 저도 세상이 저렇게 된다면 재미 없을거 같아요
몽까몰끼
23.01.18
몇가지 케이스를 알려드릴게요 이걸 보시면 중독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이해하는데 조금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행복을 느끼는 호르몬을 분비시키는 대표적인 보약 (recreational drug)은 코카인 입니다. 코카인은 pre-synapse 에서 분비된 도파민이 재흡수 되는 걸 막아서 중추신경계에 도파민 과다분비를 지속시키는 방법으로 체내 도파민 레벨을 높입니다. 도파민은 도파민 수용체에 결합하게 되면 그때 우리는 행복감을 느낍니다. 코카인으로 인해 재흡수 안되서 높아진 도파민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우리 몸은 도파민 수용체를 더 많이 만들어냅니다. 그렇게되면 우리몸은 정상적은 도파민 분비양으로는 더이상 같은 정도의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이렇게 중독성이 발현되고 금단증상이 나타납니다.
아드리안마르티네즈
23.01.18
와, 코카인이 보약 그 잡체가 아니었군요! 몸에서 보약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었다니!!!
몽까몰끼
23.01.18
2. 도파민과 관련된 벤조 (benzodiazepine) 라는 약이 있습니다. 우리몸에는 호르몬 등의 분비를 조절하기위한 GABA 라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통로가 있습니다. GABA 가 활성화 되면 브레이크가 활성화 되면서 그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개체가 활동을 멈추게 됩니다. 벤조는 특이하게도 도파민 뉴런의 GABA 를 작동시키는 물질을 분비하는 뉴런의 GABA를 작동시킵니다. 쉽게말해 도파민 분비공장의 브레이크를 눌러주는 사람을 보내는 인력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벤조가 인력소를 셧다운 시키게 되면 도파민은 마치 브레이크가 고장난 8톤 트럭마냥 마구마구 도파민은 뿜뿜하게 됩니다. 그 후론 위와 같은 방식으로 중독성이 발현됩니다.
몽까몰끼
23.01.18
3. 흔히 쓰이는 신경계 약들 중엔 호르몬의 화학구조와 흡사하게 만든 약들이 존재합니다. 이들은 호르몬 수용체에 결합해서 (1) 체내 호르몬이 붙었을 때와 같은 효능을 내거나 (아고니스트, agonist), (2) 체내 호르몬이 결합했을 때와 정반대의 효능을 내거나 (안타고니스트, antagonist), (3) 수용체와 결합했을 때 아무 일도 안일어나지만, 체내 호르몬이 결합하지 못하게 길막을 하거나 (인버스 아고니스트, inverse agonist), (4) 수용체의 옆구리에 붙어서 호르몬이 더 잘 결합하게, 혹은 덜 결합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allosteric modulator). 대게의 경우,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의 호르몬보다 훨씬 적은 양으로도 수용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목적
몽까몰끼
23.01.18
으로 사용됩니다. 파킨슨병 같은 경우에는 도파민 분비가 낮아서 생기는 병이고, 조현병은 도파민 과다분비로 인해 생기는 병입니다. 두 병 모두 위에 서술한 것 과 같은 약으로 치료를 하는데 1번에 서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내성이 생기는 것이 불가피합니다. 그래서 약 복용양을 계속 늘리거나, 더 강한 약으로 대체하는 식으로 치료하곤 합니다.
결론적으로 아직까지는 도파민 분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 내성 (중독성) 이 생기지 않는 약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우리 뇌가 호르몬 레벨을 일정수준으로 계속 유지시키려는 작용을 하기때문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과학은 이렇게 생기는 중독성에 대한 허들을 넘지 못했습니다. 이 허들을 넘기위해 지금도 많은 과학자들과 대학원생들이 갈려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글쓴이님께서 말씀하신 보약이 생긴다면 그 약은 "the magic bullet" 으로 불릴 수 있겠네요. 제생각에는 2048년은 너무 이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가 죽기전에도 나오기 힘들 것 같네요.
김둘기
23.01.18
오오 정성스러운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성 유지 때문에 아직 발견되지 않았군요,,,
풍형조아
23.01.18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지만 작품속 소마를 모티브로 한 노래를 통해서 저도 최근에 알게되서 읽어본 책이거든요 그래서 노래도 들어보시라고 추천합니다 이현준-SOMA 이 곡뿐만 아니라 같이 수록된 다른 곡에서도 소마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이 나오거든요 관심있으시면 들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김둘기
23.01.18
감사합니다!





🚀궤도사령부(궤도) 전체글
과학이 그리워잉
5
질문) 달 소멸에 관하여
5
이거 왜 안 넘치나요?
4
지하철에서 마주친 궤도님
3
질문) 유튜브 시뮬에서 우주를 빛의 10조배 속도로 여행하는 영상 의문
6
질문) 인간은 도대체 휘파람을 어떻게 내는 건가요?
4
오이~~~~????? 왜죠???
1
자유의지 묘하네요
28
주펄님 방송에서 언급하신 제임스웹 우산 판매처 (미국 링크)
2
현재글
질문 ) 멋진 신세계의 소마라는 보약에 대한 질문입니다.
10
물잘알 분들께 질문 있읍니다.
5
질문) 블랙홀의 과학을 보고 궁금한게 있습니다
3
능력자분들에게 여쭈어봅니다.(시험기간 특)
4
궤도님 빛보다 빨리 움직일 두가지 방법을 알아냈습니다
8
[장문][야매] 시간의 과학 첨언 + 시간 여행의 과학 예습 준비물
8
물리학 용어 정리 책 추천해주세요잉
8
저랑 눈 마주쳤죠
1
궤도님이 자료 준비하고 대본짜는게 엄청 어려운 일이었군요
3
(질문) 궤도님 우주에도 무지개가 있나요?
3
회사 선배가 카톡 보게하는 과학적인 방법 없을까요?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