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요것만 알아도 나도 물리치료사...랄까? 어깨 통증에 대한 몇 가지 팁들입니다

쭈꾸루
22.12.27
·
조회 4619

안녕하세요! 오늘은 운동하시면서 겪으셨던 어깨 통증들의 원인들과 개선을 위한 운동법, 그리고 나는 유투브에 나온 여러 가지 재활 운동을 해도 해도 나아지지 않는다. 라는 분들을 위한 팁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운동을 1년 이상 하신 분들 중에 통증이 있으신 분들은 큰 근육들만을 타깃으로 운동해오신 분들이 많으시고, 안정성을 담당하는 작은 근육들이 상대적으로 너무 약한 상태에 있어 결국에는 자극을 잘 못잡게 되고, 운동을 지속하지 못하게 되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몸을 정말 제대로 만들고 싶으시다면, 작은 근육들도 꼭 챙겨주셔야 해요.

 

따라서 운동이 하기 싫어진다고 느껴지신다면, 본인의 게으름이 원인인 것이 아니라 잘못된 움직임으로 인한 반복적인 손상으로 무의식중에 위험을 느끼셔서 안하려 하신 것 뿐이니, 자신을 질책하지 마시고 조금씩 관리를 시도해 보시면 다시 운동이 재밌어지실 거에요.. 

 

제가 고객분들게 중재해 드리는 통증들은 ‘찝히는 통증‘ 인데요, 

이러한 통증은 뼈와 근육을 연결하는 힘줄이 뼈의 돌출부에 갈리게 되면서 일어나는 통증입니다. 

이와 같이 갈리는 현상은 힘줄과 연결된 근육의 긴장도가 상시 높아져 있음으로 인해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아픈 부위를 문지르시면 절대로 안되고(이미 아픈 힘줄을 갈아버리는 것), 해당 힘줄과 연결된 근육을 이완시켜주신 후에 신장성 수축, 즉 힘을 준 상태에서 길이를 늘려주시는 동작을 수행하시는 것이 재활적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운동입니다. 

 

어깨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들은 여러 부위들이 있는데요.

글을 읽으시면서 쇄골을 만져보시고, 쇄골을 따라 쭉 만져보시다 끝부분을 만져보시게 되면, 아래의 그림(앞쪽에서 바라본 어깨의 모습)의 Acromion이라는 부위가 있을 겁니다.

Anatomy of the Shoulder - Part 3 (Muscular Structures) - MUJO

여기에 추가적으로 만약 자신이 아래와 같은 그림의 상태(scapular winging)가 있고,

Winged Scapula and Shoulder Pain [Case Study] — ONI | Wellington ...

어깨운동 수행시에 acromion 부분에 통증이 있으시다면, 평상시에 전거근 운동을 안해보셨을 가능성이 큽니다. 

 

팔을 올리는 동작을 수행하실 때는 팔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견갑골이랑 위팔뼈가 1:2의 비율로 움직임을 수행되어야 하는데요. 견갑골이 상대적으로 덜 움직이게 된다면 당연히 위팔뼈가 견갑골에 부딪히는 현상이 일어나겠죠? 

따라서 많은 분들이 견갑골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아래의 근육들을 적절하게 강화하지 못하여 통증이 발생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Scapula, Winged scapula, Body mechanics

  

따라서 위의 좌측 그림의 Lower part of trapezius(하부승모근), Serratus anterior(전거근)이라는 근육들을 타깃으로 하는 운동들을 찾아보시고 수행해 보시면 팔을 들어올리는게 이렇게 가벼웠나?? 하는 감각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대표적으로 Y레이즈(하부승모), 월 슬라이드(전거근)라는 운동이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운동을 수행하셨음에도 잠깐 뿐이고 개선이 안되셨던 분들이 있을 텐데요. 그 이유는 가장 하단에 설명드리겠습니다. 

 

  Anatomy of the Shoulder - Part 3 (Muscular Structures) - MUJO

다시 이 그림으로 돌아와서, 이번에는 나는 어깨 앞쪽 부위에 통증이 있는데 ㅠㅠ 하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이런 분들 중에는 어깨가 앞으로 말려있는 분들이 많으실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위의 그림에 보이는 Coracoid process라는 부분에 힘줄의 찝힘이 발생한 것이라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연결된 근육에는 Coracobrachialis, biceps brachii, Pectorailis minor 이라는 근육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훼완근, 이두근, 소흉근이라는 친구를 손이나 마사지볼로 이완해 주시고, 

팔꿈치를 구부리고, 팔을 앞으로 들어올리는 동작(shoulder flexion)을 수행하신 뒤 저항을 주시면서 신장성 수축을 해보시면 해당 부분의 통증이 급격하게 줄어들 겁니다. 밴드나 친구를 활용해서 저항을 줘보시면 될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나는 운동할 때 마다 팔이 빠질 것 같다. 불안하다 하시는 분들은 위팔뼈를 견갑골에 가깝게 붙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근개가 약화되신 분들입니다.

유투브에 많은 회전근개 운동을 ’제대로‘ 수행하시고 나면 어깨로 위팔뼈가 스르륵 하고 달라붙는 느낌이 나실거에요. 

 

그리고 유투브로 재활운동을 찾아보시고 운동하셨거나, 도수치료, 운동치료를 받으셨음에도 불구하고 개선이 명확하게 안되시는 분들이 있을 거에요. 

안정을 담당하는 근육들은 반드시 천천히, 저부하로, 축을 잘 고정하면서 다른 보조근육들의 개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정확한 자세로 운동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부하가 아니라면, 아무리 연구에 따라 재활에 좋은 운동이라고 나와 있어도 자신에게는 전혀 적절하지 않은 운동일 가능성이 큽니다.

같은 동작이어도 더 약하게, 더 약하게 수행해보려 하시거나 하실 줄 아시는 선생님을 만나보세요.

 

글을 단순하게 써보려 노력했는데도, 도움이 안되실 수 있을 것 같아 걱정되네요 ㅠㅠ 

여러 변수들이 더 있지만, 글이 너무 길어지고 전문화 되어서 조절이 안되네요.. 제가 글 솜씨가 많이 부족하니 양해 부탁드려용... 

댓글로 아프신 곳에 대해 써주시면 제가 아는 지식 선에서 조언 드려볼게요!

운동 즐겁게 하시길 바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달아드리고 있었는데 지우신 분이 계셔서요!

꼭 아시면 좋은 부분이라 추가합니다

고중량을 치게되면 안정을 담당하는 근육도 끌어다 쓸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 저도 헬세포때는 했었습니다 ㅎㅎ..

하지만,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에는 type 1 muscle fiber 인 지근섬유들이 많이 분포해 있는데요, 해당 근섬유들은 천천히 수축하는 경우에서 주로 활성화 되는 근육입니다. 

고중량을 하시더라도 구심성 수축, 즉 짧아지면서 수행하는 수축만을 빠른속도로 진행하신다면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은 활성화 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고중량을 다루시면서 해당 무게를 ‘날리지’ 않고 통제하면서 신장성 수축운동을 진행하신다면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 또한 활성화 될 수 있을것이라 생각하나, 이미 통증이 있어 재활을 하셔야하는 분들은 천천히, 저중량으로, 정확한 자세에서 보조근의 개입 없이 운동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올빼미ㅎ
22.12.27
제가 유일하게 아픈 곳이네요..
항상 신경써도 아픈 놈 ㅠㅠ
글 감사합니다.. 더욱 치료에 힘쓰겠습니다
침순하하
22.12.27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임네모
22.12.27
고관절이 어긋난것처럼 툭툭 걸리는 느낌, 소리 나는 건 골반 문제인가요? 운동할 때는 안 그러는데 이상하게 일상생활에서 자주 그럽니다
쭈꾸루 글쓴이
22.12.27
음 일단 고관절에서 소리나는 경우가 굽힘, 폄, 벌림, 모음되는 동작인지에 따라서 어떤 구조물에 과부하가 걸리고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판단해 볼 수 있어서 해당 부분을 알려주셔야 하구요. 고관절이 헐렁하다, 불안정하다, 덜걱거린다 등의 느낌은 심부둔근, 장요근의 활성화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서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임네모
22.12.27
고관절을 접을 때 걸리는 느낌이 정확한 것 같습니다,,, 이런 전문가분께 무료 상담이라니 너무 고맙네요
@쭈꾸루
쭈꾸루 글쓴이
22.12.27
고관절 접을때를 고관절 굽힘, 즉 hip flexion의 동작이라 생각한다면, 고관절 굽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근육에는 대표적으로 장요근, 넙다리네갈래근 중 큰 근육인 대퇴직근, 대퇴근막장근이 있습니다. 고관절을 접을때 대퇴직근이 상대적으로 과활성화 되어 있으며 대퇴골두를 안정화하는 근육이 잘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뼈 머리가 앞으로 훅 나가게 되겠죠? 아마 소리가 나실 때 허벅지 근막이완이나 스트레칭 해보신다면 통증이 많이 일어나실거에요. 그래도 천천히 허벅지 이완 작업을 진행하시고, 장요근 원심성 운동 검색하셔서 수행하시고 나면 소리가 많이 줄어들 겁니다. 추가적으로, 복강내압을 적절하게 수행하시지 못하는 경우, 혹은 호흡이 부드럽게 수행되지 않고 흉식호흡패턴이 강하신 경우 장요근과 심부기립근의 과사용 및 약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하실때 는 소리가 나지않는다...와 맞아떨어지는 점이 복강내압을 형성된 상태에서는 장요근또한 적절하게 활용되어서 허벅지 근육의 과사용이 일어나지 않아 소리가 나지 않은 것이죠.
결론적으로, 복강내압 또한 옆, 뒤쪽의 이완작업을 잘 진행하시고 복부 전체의 긴장을 잘 형성하실 스 있도록 복강내압형성훈련을 잘 진행하시고, 장요근 훈련도 진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임네모
야생의밍키
22.12.27
이렇게 귀한 정보 공짜로 얻어가도 되는 것인지...? 글 쓰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요!!
쭈꾸루 글쓴이
22.12.27
글을 쓰면서 제가 놓치는 부분들도 무조건 있을거라서 제 자신을 복기하는데도 유용해서요 ㅎㅎ 말씀 못드린 부분들도 많아서 아쉬울 따름입니당
김잼민
22.12.27
침땡이
22.12.27
와.. 폼롤러로 밀고 손으로 강하게 주무르고 마사지건으로 뿌셔도 안되던데 힘줄을 갈아버리고있었다니 … 감사하다😂
쭈꾸루 글쓴이
22.12.27
넵넵 맞아요.. 논리적으로 받아들여지신다면 제가 추천드리는 중재 적용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ㅎㅎ
쭈꾸루 글쓴이
22.12.27
고중량을 다루는 방식도 중요한데요, 만약에 빠른속도로 운동을 진행하시고 구심성 수축을 위주로 운동을 하신다면 해당부분에 대한 답변은 불가하다 입니다.
Type 1 muscle인 지근, 즉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에 많이 포함되어있는 근섬유는천천히 수축을 진행할 때 활성화 되는 근육이기에 무게를 통제하지 않고 '날려' 버릴시에는 활성화 되는 전제조건이 갖추어지지 않는 셈이죠
신장성 수축 위주로 고중량을 하신다면 활성화 될수도 있을거라 봅니다! 다만 문제가 있으신 분들은 먼저 안정화근육부터 살리시는게 낫습니다..
어쩔침착맨
22.12.27
물치민수야 고맙다~!
쭈꾸루 글쓴이
22.12.27
고마워 해줘서 나도 고맙다~~!
말랑침덩이
22.12.27
무친,,, 침하하에 스크랩이 필요한거시다~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672121018593-ox981da8v5g.webp
싱하형
22.12.27
저장 하고싶은 좋은 정보인데 저장 기능이 없네..
v째깐둥이v
22.12.27
고관절 굴곡시에 찝히는 느낌이 있다면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ㅠㅠㅠㅠㅠ
어떻게 중재를 하면 해결되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으랏차
22.12.27
잘못 넘어져서 어깨를 바닥에 찧었는데 2년 가까이 낫질않네요 ㅠ mri도 찍었는데 문제없다고 하는데, 벤치프레스 하다 회전근개 삐끗한거처럼 계속 아픈건 어떻게 풀어줘야 하죠..?
ㄴ머리비움ㄱ
22.12.27
안그래도 최근에 어깨빠졌어서 운동방법찾고있었는디 회전근개 바로찾아보러갑니다잉
아이펀치라잌킹콩투침착맨
22.12.27
익상 견갑 교정에 y레이즈 도움될까요?

유머 나라 전체글

신나는 바다 낚시 1일차 1
푸르로닝
·
조회수 190
·
05.06
제 취미는 프라모델을 박살내는 것입니다 35
침하하박물관
WouldyouKim
·
조회수 5700
·
23.03.10
건축사진을 찍고 있습니당 122
침하하박물관
압구정뱀비
·
조회수 5619
·
23.03.10
F1 선수들은 왜 금수저들일까? 47
침하하박물관
대한민국은민주공화국
·
조회수 8896
·
23.02.26
🌈 네컷만화 연재 4 🌈 66
침하하박물관
구난후
·
조회수 6798
·
23.01.09
<신문배달> 침하하 단편선 30
침하하박물관
으랏차차우엉박
·
조회수 6370
·
23.01.09
🎊침투부 구독자 200만🎊 82
침하하박물관
생각날때마다척추피기
·
조회수 10502
·
23.01.08
삼국지 연의와 정사의 차이점 85가지 46
침하하박물관
삼국군영전2해줘잉
·
조회수 6364
·
23.01.05
침착맨과 만두콘 88
침하하박물관
돌격대장복실이
·
조회수 13124
·
23.01.06
현재글 요것만 알아도 나도 물리치료사...랄까? 어깨 통증에 대한 몇 가지 팁들입니다 58
침하하박물관
쭈꾸루
·
조회수 4619
·
22.12.27
역대 침투부어워즈 수상자들 32
침하하박물관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
조회수 7506
·
22.12.26
최고민수) 다시 다녀온 코쿠라성 40
침하하박물관
최고민수
·
조회수 8768
·
23.08.20
심심할때 보기좋은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추천 21
침하하박물관
침나라루뚜공주
·
조회수 5274
·
23.08.20
침국지 마이너 인물열전 - 장범과 장승 (上) 20
침하하박물관
뚜자서
·
조회수 5046
·
23.08.13
[침하하게임북] 침하하를 여행하는 개청자를 위한 안내서 68
침하하박물관
맹대곤영감
·
조회수 6561
·
23.08.14
침하하 횐님들을 위한 카메라/사진 설명회 1편 #발효된 지식 주의# 39
침하하박물관
사진아저씨
·
조회수 5133
·
23.05.21
해외여행 시 오프라인 저장하면 좋은 침착맨 영상 41
침하하박물관
간하하
·
조회수 7899
·
23.05.05
침착맨을 위한 피즈 가이드(1장 - 라인전 스킬 활용 및 콤보) 35
침하하박물관
수학민슈
·
조회수 7483
·
23.05.02
세균민수가 말하는 남극이야기 - 세종기지 이야기 15
침하하박물관
세균민수
·
조회수 728
·
23.01.13
침착맨 4컷만화 모음 34
침하하박물관
파라오짭
·
조회수 8200
·
2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