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무엇이 투수를 아프게 하는가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24.12.19
·
조회 482

https://www.espn.com/mlb/story/_/id/43026688/mlb-study-identifies-factors-rise-pitching-injuries

https://www.espn.com/mlb/story/_/id/43024395/mlb-2024-pitching-injury-report-study-takeaways-analysis 

 

MLB는 지난 1년 동안 투수 부상 증가의 원인을 알기 위해 200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들(전직 선수, 트레이너, 에이전트, 의사, 학자 등등…)을 인터뷰해왔고, 그 연구 결과를 62페이지의 보고서로 얼마 전에 발표했습니다. MLB도 이 결과를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한 첫 단추 정도로 여기고 있어 과신은 금물이고, 전체 연구 페이지를 다 읽은 게 아니라 ESPN의 요약본을 읽은 거라 조심스럽긴 하지만 언급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시즌 동안에 선수가 무엇을 하는지 추적하지 어렵다는 건 감안해야 하겠지만, 2~3월, 그러니까 스프링캠프 기간 즈음에 부상이 자주 발생하는 건 확인해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오프 시즌 무엇을 추구했길래 이러나…에 대한 가장 유력한 의견은 다음 둘입니다.

 

-구속 증가 : 현장에서도, 의사들 사이에서도 대충 공유되는 의견인 건 확실해 보입니다. 정형외과 의사의 견해로는 다른 요인도 많겠지만 직구 구속이 증가하는 시기에 부상 발생률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원인으로 의심하고 있고, 프로 코치들은 물론 아마추어 코치들도 더 강하게 던지는 것이 부상 위험을 키운다는 건 알고 있습니다. 직관적으로 가장 와닿는 결론이기도 합니다.

 

그럼 ‘살살 던지면 안 되냐’고 할 수 있지만, 그렇게 안 하면 아마추어는 프로를 못 가고 프로는 살아남을 수가 없다는 것도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즉, 부상 위험이라는 대가로 성적을 얻는 일종의 Trade-off로 다들 생각하고 있는 겁니다. 언급된 프로 코치의 코멘트에 따르면 “The rewards outweigh the risks, particularly in the near-term.”, 즉 특히 단기적으로는 보상이 위험을 상회한다는 것에 다들 공감하고 있는 듯 합니다.

 

-스터프 : 의미를 정확하게 반영해서 번역하기가 애매한데, 여기서는 ‘무브먼트, 회전수 등을 포함한 투구의 복합적인 움직임 특성’을 의미합니다. 오프시즌 동안 투수들이 이 스터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게 오히려 몸에는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고, 예시로 지목된 것이 스위퍼입니다. (24시즌 중반기 즈음인가 비슷한 맥락의 보고서가 나왔는데, 그때 부상 원인으로 지목되었던 게 강속구+스위퍼+하드체인지업(아직도 이게 뭔지 정확하게 모르겠음)이었는데 그 연장선상 같기도 하고요.)

 

현 시대의 투수들은 강속구를 던져야 타자들을 압도할 수 있다는 것에 공감하는데 그렇게 던지면 몸에 안 좋으니 신출귀몰한 변화구를 던져봐라 라고 하면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아서 그 쪽도 위험, 그렇다고 다 포기하면 밥벌어먹고 살 길이 사라지니 결국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선택지만 남게 되는 건가 싶기도 하고…

 


 

이외에 언급된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웨이티드 볼 : 일반적인 공보다 살짝 무거운 공을 갖고 하는 훈련으로, 연구에서도 의견이 갈립니다. 2023년의 메쟈에서도 팀 별로 웨이티드 볼 훈련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팀도, 적극 권장하는 팀도 있는 걸 보면 확실히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인 듯 합니다.

 

-현대적 투수 관리 전략 : 전직 투수가 언급한 의견입니다. 선발 투수라고 해도 한 경기에서 오랜 이닝을 던지지 않게 되리라는 걸 알게 되면 선발도 구원 투수처럼 최대한 강하게 던지면서 타자를 잡는 전략을 짜게 되고, 마이너리그에서 아예 철저한 관리를 받고 온 투수들이 메이저리그에 올라온 뒤 연속 투구에 노출되면 몸이 제대로 회복하지 못하게 된다는 맥락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같은 의견 같은데, 세게 못 던지면 타자 이기기 어렵고 - 그러면 선발이라고 해도 세게 던져야 하니 길게 못 던지고 - 부상이 늘고 - 그렇다고 세게 못 던지면 타자 못 이기고… 반복입니다.

 

-훈련 방식 : 힘과 근력 중심의 훈련 방식은 충분히 강조될 만 하지만, 그 이전에 유산소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선수가 웨이트에만 집중하는 추세를 걱정하는 트레이너의 의견입니다. 심혈관, 지구력 훈련이 경시되는 분위기라는 의미입니다. 물론, 이걸 극단적으로 해석해 ‘투수는 웨이트 안 해도 된다’, ‘투수는 런닝만 해도 된다’고 해석하면 큰일납니다.

 

-피치 클락 : 이건 원인이 아닌 것 같다는 의견이 좀 더 많습니다. 1990년대에 비해 현대의 부상이 더 늘었는데 경기 페이스는 (피치 클락 도입 이전까지) 느려지고 있었다는 게 한 예시고, 오히려 경기가 더 늘어지면 투수들이 최대한의 힘으로 던질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수술 만능설 : 정형외과 의사의 의견인데, 토미 존에 대한 신뢰가 엄청나서 팔꿈치 찢어지면 고치면 그만이라는 마인드의 선수도 있는 모양입니다. 물론 토미 존이 정말 많이 알려지긴 했지만, 그 중 20%는 끝까지 복귀하지 못했으니 의학의 발달 하나만 믿고 팔꿈치를 다 쏟아내도 된다는 마인드는 금물이라는 의견입니다. 

 

-아마추어 : 구속과 스터프를 쫓는 건 프로 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실제로 아이들도 더 커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인대도 함께 꼭 강해지는 건 아니기 때문에 가끔 성장판이 약한 경우에는 인대가 끊어지는 게 아니라 뼈가 부러지는 경우까지 나온다고 합니다. 대학의 경우에는 스포츠 선수의 편입 제도 때문에 단기 성과를 내야 하는 선수들이 나오고, 이게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메쟈 트레이너의 말에 따르면 1라운드에서 뽑은 선수가 지난 3년 내내 (아마추어에서) 던졌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중 뭐가 진짜냐고 묻는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답 밖에는 할 수 없겠지만, 전반적으로 부상을 줄이고 싶다면 투수가 매 투구마다 쥐어짜서 던질 필요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훈련 및 활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시스템을 개편하는 논의를 하는 것도 방법일 거라고 보고서는 제시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도 비전문가라 뭘 알 리가 없으니 딱히 코멘트할 건 없고, 뭘 잘못 이해했을 수도 있으니 원문을 찾아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댓글
삐깨쮸돈깨쓰
01.04

전체게시글 전체글

통천님 색감 16
침착맨
일론머스크3세
·
조회수 6516
·
01.02
도네 너무 공감되네 ㅋㅋㅋㅋ 9
침착맨
통닭천사나가사와마사미
·
조회수 7010
·
01.02
1월 카라미 초대석 예정
침착맨
길고양이의조언
·
조회수 1399
·
01.02
해돋이랑 커피랑 바다랑 새우장이랑 들깨칼국수 1
취미
노지고양이
·
조회수 685
·
01.02
이제 곧 설인데 말이죵
방송 해줘요
긍정전도사칭찬맨
·
조회수 546
·
01.02
방장이 나를보고 웃어줬어! 9
침착맨 짤
평민콩탄맨
·
조회수 5181
·
01.02
찌지직 원래 이렇게 광고 많이뜨나요 2
인방
700만대추인
·
조회수 716
·
01.02
침착맨 이수영노래 2
침투부 공유
ydwzee
·
조회수 1028
·
01.02
할머니 버스카드가 안 찍혀서 기사님이 한말 8
유머
침하하
·
조회수 5443
·
01.02
목마 뺏겨서 억울한 아기 10
유머
옹당이
·
조회수 4333
·
01.02
개맛있는 잠을 잔 말티즈
유머
옹당이
·
조회수 1140
·
01.02
깨팔이 언제 또 나오나요..?
침착맨
레모네모
·
조회수 734
·
01.02
대국민 독감토론회 16
침착맨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
조회수 5587
·
01.02
침산타 후기)침산타가 훔쳐간 몬스터 에너지 6
호들갑
크리스티아노호날두
·
조회수 5192
·
01.02
침펄 두분이 역재하시다가 지금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계속 4
침투부 공유
CTB는과학
·
조회수 907
·
01.02
방장으로 완성하는 데스크테리어 1
호들갑
날으는체선
·
조회수 827
·
01.02
2025년을 맞이하여 20.25km(달렸던 것) 2
취미
MrLEE
·
조회수 945
·
01.02
국내 유희왕 카드게임 유튜버가 평가한 침착맨 포토카드게임 15
침착맨
대한민국
·
조회수 6125
·
01.02
저가요 올해부터 책을 읽으려는데 이북리더기 어떤가요 14
취미
팔순잔치방송기원
·
조회수 935
·
01.02
백악기로 날아온 편지 해줘요
방송 해줘요
송토끼
·
조회수 716
·
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