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스나크와 싸운다. 매일, 해가 지고 밤이 되면.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에서 제목을 따온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 『스나크 사냥』.
1992년 발표한 작품으로 사회파 미스터리 계열의 작품군 가운데서도 시기적으로 맨 앞에 위치하며, 저자의 작품으로서는 이례적이라 할 만큼 속도감 넘치는 서술과 하드보일드한 문체가 돋보인다.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에 등장하는 불가사의한 괴물 ‘스나크’.
이 괴물을 잡은 사람은 그 순간 사라져 버린다고 전해진다.
미야베 미유키는 ‘스나크’를 살의가 그대로 자신에게 돌아오는 산탄총으로 지칭해 이야기를 풀어간다.
단 하룻밤 사이에 산탄총 한 자루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을 추적하며 이에 대한 해법을 모색한다.
유복한 집안의 딸인 게이코는 산탄총을 들고 옛 연인인 신스케의 결혼식을 찾아간다.
스스로를 우수한 톱클래스의 인간, ‘타인은 도움 안 되는 쓰레기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신스케에게 경제적, 육체적으로 이용당하고 버림받은 것이다.
게이코는 복수를 위해 결혼식장으로 슬쩍 섞여 들어간다.
그리고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 상황에서 총을 들어 올려 목표를 조준하는데…….
목차
제1장 새하얀 지도
제2장 어두운 도움닫기
제3장 밤의 밑바닥으로
제4장 종착역
덧붙이는 이야기 1
덧붙이는 이야기 2
옮기고 나서_권일영
세키누마 게이코가 있었기에 오빠는 지금 저렇게 금박을 입힌 병풍을 치고 결혼 축하연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녀를 속이고, 이용해 먹고, 가장 힘들 때 그녀의 도움으로 살았기 때문에.
그런데 오빠는 그녀를 완전히 버렸다. 대기권을 빠져나간 로켓이 필요 없어진 연료 탱크를 떼어 버리듯이.
“내겐 결혼도 인생의 계단을 오르기 위한 단계의 한 칸이야. 의미 없는 결혼을 할 수는 없잖아.”
이렇게 말하며 시치미를 떼던 오빠의 얼굴은 평생 잊을 수 없으리라.
신스케가 “게이코하고는 헤어졌어”라고 했을 때 노리코는 난생처음 살의에 가까운 분노를 느꼈다.
-본문 48~49쪽
그들은 눈치채지 못하고 있다. 그들이 게이코에게 한 짓 가운데 어떤 짓이 가장 잔인했는지를.
고쿠부에게, 가즈에에게 배신당한 일은 이제 아무려나, 상관없었다. 게이코에게 가장 큰 타격을 준 것은 그게 아니었다. 자신이 그따위 인간들 이외에는 불러 모으지 못한다는 사실, 자신은 아무런 가치도 없다고 여기게 만든 사실이 가장 잔인했다.
앞으로 살아가며 만나게 될 사람들을, 또 사랑하게 될지도 모를 사람을 게이코는 이제 단순하게 볼 수가 없게 되어 버렸다. 고쿠부 같은 남자가 또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나는 그런 인간밖에 고르지 못하는 여자니까.
그래서 이런 계획을 세운 것이다.
-본문 8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