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트랜지스터를 어떻게 만드나요?

기저귀차고지리기
24.09.22
·
조회 788

오늘 영상보다가 트랜지스터 나오는데 미시세계에 속할만큼 엄청나게 작은데 그걸 인간이 어떻게 만든거죠? 인간이 어떻게 미시세계의 크기의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거죠? 매우매우 궁금합니다.

저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기계가 있다고 하면 그 기계는 또 어떻게 만든건지 매우 궁금합니다.

원본을 봐도 모르겠어요.

바닥에 어떻게 깔고 빛을 모아서 한다는데 그 빛을 어떻게 그리 좁게 모으고 그걸 어떻게 필요 불필요를 분리하고 저 모양을 만들 수 있을까요

댓글
아드리안마르티네즈
24.09.22
과학과 공학을 통해 점점 작은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구를 만들어 낸 것입니다. (잘 모름)
침하허호
24.09.22
제가 이거 저거 써봤는데 그냥 반도체 역사 같은거 한 번 유튜브로 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ㅎㅎ
불합리해
24.09.22
처음에는 가시적인 크기였는데, 기본적인 설계를 바탕으로 기술력의 도움을 통해 현재의 크기까지 발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 공정에 대한 내용은 아니지만, 반도체 전반적인 역사에 관한 책인 ‘칩 워’ 읽어보시는거 추천드려요.
기저귀차고지리기 글쓴이
24.09.22
결국 여긴선 아무도 설명을 해줄 수 없는 영역인가보네요.
보리건빵6
24.09.22
원자 하나 단위로 긁어내고 붙이는 것도 하고 있습니다. 이정도 스케일은 대량생산까진 어렵지만
기저귀차고지리기 글쓴이
24.09.22
그 원자를 뭘로 어떻게 긁나요?ㅜㅜ
보리건빵6
24.09.22
팁이 원자 하나 단위로 뾰족하고, 원자 하나 긁어내는걸 할 정도로 센서랑 팁을 움직이는 장치가 정밀하죠. 그럼 그게 어떻게 그렇게 정교한지는 저도 몰라요. 다른 분들 말대로 시간순으로 정리된거 보시는게 제일 빠를듯…
@기저귀차고지리기
기저귀차고지리기 글쓴이
24.09.22
오호 양파같이 계속 까서 봐야하는 부분이군요
@보리건빵6
슈뢰딩거
24.09.22
그걸 인간이 만들었다고요?
딱지코모리
24.09.22
반도체 8대 공정에 대한 6분짜리 영상이고, 그 중에 포토/증착 공정 부분만 보셔도 돼요.
말씀마따나 극도로 작기에 빛 입자가 만들어주는데요, 어떻게 그리 좁게 모으냐 하는 게 기술력이에요.
ASML 같은 회사가 개발한 빛 모으는 기술이 반도체 만드는 데 반드시 필요해서, 삼성 같은 회사에다 부르는 게 값으로(한 대에 수천억 원) 장비 팔아요.
이렇게 생겼어요.
그림자 쬐는 것뿐 아니라, 깎고 입히고 하는 것도 입자가 알아서 해요.
챔버 안에 채우거나 덮는 식으로, 액체 기체 플라즈마가 웨이퍼 표면과 반응하면서 원자층 단위까지도 긁고 씻고 채우고요.
눈으로 당연 못 보는 일이고, 사람이 하는 일은 데이터 수정해서 24시간 시켜놓고 지켜보는 일, 품질 검수하면서 불량 원인 파악하고 장비나 공정 수치 개선하는 일,
회로구조 아키텍쳐 설계하고 원인 해결하고 더 나은 '방법' 고안하는 건 연구소에서 하는 일
눈에는 웨하스 판떼기 물로 씻는 거밖에 안 보이지만, 다 만들고 전기 통하나 보면 진짜 되니까 ㅋㅋㅋ 그래도 전자현미경으로는 보여요.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727010955891-x87zrow1wdj.png
기저귀차고지리기 글쓴이
24.09.23
오호 봐도 모르겠어요. 개어려움 그냥 요정이 하는거죠?
침착맨머리위수건
24.09.22
시중에 취업용 반도체 공정 책 하나 사서 읽어보시면 될 거 같네요
Pabiano
24.09.22
아니 님드라 돼지써코바이러스한테 외주 주면 알아서 만들어 온다구요
기저귀차고지리기 글쓴이
24.09.23
그쵸 이게 맞죠?
시카고노동자
24.09.23
아주 짧게 말하면 판화 작업이랑 같습니다
엄청 작은 회로를 그리기 위해 레이저를 쓰는 거죠
기저귀차고지리기 글쓴이
24.09.23
그 레이저를... 어떻게 그렇게 가늘게 뽑죠?
시카고노동자
24.09.24
큰 회로판을 통과한 빛을 볼록렌즈 오목렌즈 등등을 이용해서 엄청 작게 만드는 건데
이런 광학 기술 자체가 어려운건 아닙니다 (망원경이나 카메라 렌즈 같은것도 기본적으로 같은 역할을 하죠)
다만 빛의 성질상 주파수가 낮은 빛은 그렇게 작은 그림을 그릴 해상력이 나오지 않고, 회로가 작아질수록 더 높은 주파수의 빛이 필요해지는데, 주파수가 높은 빛일수록 에너지가 높고 안정적으로 컨트롤하는게 어렵기 때문에 기술력이 많이 필요한거죠
@기저귀차고지리기
기저귀차고지리기 글쓴이
24.09.24
감사합니다
@시카고노동자
기별이
24.09.26
그러게요 저도 참 신기합니다... 어떤 실험에서는 빛의 입자인 광자 하나를 원하는 목표점에 뿅뿅 쏠 수도 있다 하더라고요... 그 작은걸 감지도 하고요...
생각해보면 과학기술은 우리 생각의 한계를 뛰어넘습니다.
지금도 미국 사람이랑 영상통화하며 이야기하고, 통화 후 바로 송금도 보낼 수 있습니다.
100년 전이였으면 그 미국 사람을 찾아가는데 한세월 걸렸겠죠?
아무튼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한 연구들이 오랫동안 축적되어서 이 모든게 가능한가봐요...
그러니 우리가 지금 이렇게 글을 쓰고 있겠죠?

전체게시글 전체글

전무님 여기저기 많이 나오시네유 3
인방
레어닉
·
조회수 1071
·
24.10.09
이글이글 3
유머
무로돌아감
·
조회수 989
·
24.10.09
다들 노 젓는다고 흑수저 초대하는데 7
침착맨
페로로들을부르마
·
조회수 1974
·
24.10.09
정상인 생활하니까 벌써 0.6kg 빠졋어용 8
취미
고추사냥
·
조회수 1061
·
24.10.09
넥슨 아이콘 매치 가시는 분 있나요??? 7
취미
우리는쥐돌이
·
조회수 594
·
24.10.09
요즘 백종원 미친 활동량ㄷㄷ 12
유머
국밥부장관
·
조회수 8972
·
24.10.09
241009 노지선 센스타🐑
취미
꿀깅이
·
조회수 763
·
24.10.09
난이도별 동물 이름 맞추기
방송 해줘요
akwuks
·
조회수 700
·
24.10.09
저 흑뱃요리사6화까지밖에 못봤는데 6
침착맨
웃지마세요
·
조회수 1417
·
24.10.09
침착맨이 동물타워를 잘하는이유 21
침착맨
남다에이치로
·
조회수 6937
·
24.10.09
아이언이 언랭 친구에게 게임을 알려줬는데 친구가 배치고사 브론즈됨 1
침착맨
짱갈래종수짱
·
조회수 990
·
24.10.09
걸프전 당시 미군 헬기 조종사 숙련도 1
유머
푸르로닝
·
조회수 1179
·
24.10.09
혀놀림 스킬이 장난이 아님.. 3
인방
호빵펀치
·
조회수 931
·
24.10.09
에스파 솔로곡 음원 4곡 나왔습니다
취미
이지금은동
·
조회수 764
·
24.10.09
무장색 vs 얼음얼음 열매
침착맨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
조회수 1058
·
24.10.09
미라클 팬아트 269일 차 6
팬아트
침하하쿠나마타타
·
조회수 2554
·
24.10.09
블랙야크 아이유 움짤
취미
이지금은동
·
조회수 696
·
24.10.09
트와이스 모모 인스타 업로드 1
취미
쿤하로
·
조회수 791
·
24.10.09
아칸.gif 12
취미
자버맨
·
조회수 4655
·
24.10.09
캠코더 갬성으로 추억 조작하는 팜하니 1
취미
이지금은동
·
조회수 835
·
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