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 있는 것은 호감을 제외하면 어떤 정보를 얻기 위해서겠죠?
혼자서 알 수 있는 정보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얻는 정보보다 제한적이고, 또 정보의 세부사항이 많고, 깊어질수록 더 어렵습니다. 또 그게 딱히 필요한 것이라기보다 재미를 위해서라도 나중에 쓰일 일이 있으면, 이득이 되니까 다른 사람과 정보를 교류하면서, 또는 하기 위해 친분을 쌓는 것 같아요.
다만 스포는 이해가 잘 안 가는 게 선점한 정보의 우월성을 자기 증명하는 게 그렇게 인간이란 생물한테 중요한 것일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어쩌면 그게 인류사에 크게 도움이 된 걸까요?
댓글
무플방지위원회수석연구원
23.06.09
스포방지위원회의 건립을 촉구합니다
+잠깐 생각해보자면, 불의 발견에서도 '불'이란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은 원시인이 생존에 유리했었을 테고, 그 차이로 무리의 정점에 쉬이 오를 수 있지 않았을까요. 지식과 정보의 차이가 주는 우열은 고대에도 있었을 듯 합니다.
전체게시글 전체글
???: 고슴도치로 4행시 해줘.jpg
11
짜장면
1
실시간 여으ㅣ도
2
궤식가들에서 츠키랑 락킹하는 전무님 ㅋㅋㅋ
제 78회 칸 영화제 수상작
박보영이 게임을 끊은 이유
14
홍진호 로또 후기
5
오빠 실망이야
2
의외라는 요즘 20대 알바생들 근황
4
절실함이 느껴지는 당근 알바 모집
2
현무카세했던 라이브
혜자라면 후기
위고비는 단순한 비만치료제가 아니다
1
(*정답드래그*) 2025.05.25 꼬들 꼬오오오오들
2
테라리아 3일차
모범납세자로서 돈세탁 시뮬레이터 해주세요
2
유로파랑 컨퍼런스의 위상은 어느정도 될까요?
6
엄마가 크롬 아이콘 못 찾겠다 해서
6
선덜랜드 AFC ,프리미어리그 승격
7
위켄드 빠돌이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