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난 피아노로 만들어낸 전설, 키스 자렛의 쾰른공연
1975년 1월 24일 독일 쾰른
비가 쏟아지던 이 날은
재즈 피아니스트 키스 자렛의
공연이 잡혀있던 날이었다.
<당시 17살이었던 베라 브란데스의 현재 모습>
키스 자렛의 공연을 담당한 공연기획자는
독일 최연소 공연기획자인 베라 브란데스였다.
그녀는 오페라하우스를 설득해 키스 자렛의
즉흥재즈 콘서트를 열기로 했고 1400개의
콘서트 표는 매진되어있었다.
키스 자렛이 요청한 피아노
키스 자렛 앞에 놓인 작은 피아노
공연용이 아닌, 리허설 용으로 쓰인다고 한다
자렛에게도, 브란데스에게도 중요했던 큰 공연.
그런데 이 공연에는 아주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키스 자렛은 공연 전에 분명히 뵈젠도르퍼의
임페리얼 290 피아노를 가져다 놓을 것을 요청했으나
어찌된 일인지 이를 구하지 못한 것이다. 공연장에 도착한
그의 앞엔 쪼그만 뵈젠도르퍼 베이비 그랜드 피아노가 놓여있었다.
허허...이런 걸로 연주를 하라고?
브란데스가 키스 자렛이 요청한 피아노를 구하지 못한 이유는
그녀의 미숙함과 오페라하우스의 무책임함 때문이었다.
오페라하우스는 그날 밤 벌어질 키스 자렛의 연주에 대해
거의 신경을 쓰지 않았으며 자렛과 그런 약속을 한지도
모르고 있었다. 그래서 브란데스는 결국, 급하게 베이비 피아노라도
구해서 올려놓은 것이었다. 오페라하우스의 행정직원은
이미 퇴근했고 그녀는 그야말로 멘탈이 나가있는 상태였다.
안절부절 못하는 브란데스를 뒤로 한 채
자렛은 일단 피아노의 상태가 어떤지 확인했다.
그는 베이비 피아노 주변을 몇 바퀴 돌더니
건반 몇 개를 두드렸다. 그리고 자렛의 표정은
딱딱하게 굳어졌다. 이 작은 피아노는 튜닝이
전혀 되지 않은 상태였고 가운데 검은 건반은
소리도 안 났으며 페달은 눌려지지도 않았다.
한편, 브란데스는 피아노를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했으나
비가 쏟아지는 날씨 속에서 예민한 대형 피아노를 옮기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급하게 베이비 피아노를 수리하러 온
조율사는 최선을 다했지만 둔탁한 베이스, 째지는 고음,
공연용 피아노의 절반 밖에 되지 않는 '작은 피아노' 라는
사실을 바꿀 순 없었다. 게다가 베이비 피아노의 소리는
거대한 공연장을 전부 뒤덮을만한 힘을 가지고 있지도 않았다.
허나 선택의 여지는 없었다.
무조건 이 베이비피아노를 써야만 했다.
연이은 공연으로 잠도 제대로 못 잤으며 허리 통증이
심해서 교정 장치까지 착용하고 있었다. 그래도
자신을 기다리는 1400명의 사람들을 위해서 쾰른까지 와,
연주를 하려고 했는데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이 생겨버린 것이다.
키스 자렛은 매우 실망했고 도저히 연주를 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는 결국 공연장을 박차고 나와 자신의 차에 몸을 실었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브란데스가 할 수 있는건
자렛에게 제발 연주해달라고 사정하는 것뿐이었다.
그녀는 공연장을 뛰쳐나와 비를 맞으며
차 안에 있는 자렛에게 애걸복걸했다.
브란데스에게 말했다.
"잊지마. 이 공연은 순전히 너 때문에 하는 거야"
실제 쾰른 오페라 하우스의 모습
그렇게 커다란 오페라하우스에 들어간 자렛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객석을 매운 수많은 관객들과
'연주할 수 없는' 피아노 한 대 였다.
답이 안 나오는 상황이었다.
자렛은 이 조그맣고 위태로운 고물로 1400명의 관객들 앞에서
연주를 해야만 했다. 그것도 악보가 없는 즉흥연주를..
Köln, January 24, 1975, Pt. I (Live)
Köln, January 24, 1975, Pt. II A (Live)
<유투브 프리미엄이 없는 분들을 위한 맛보기용 커버 영상,
원곡을 들으려면 반드시 유툽 프리미엄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망해도 연주자를 탓할 수 없는 열악한 환경 속 공연.
크게 심호흡을 한 가렛은 천천히
고장난 고물 피아노를 쓰다듬었고 그 아름다운
첫 마디에 사람들은 무언가에 홀린듯 빠져들어갔다.
그리고 그는 곧 때가 됐음을 직감했는지 역동적으로
휘몰아치기 시작했다. 피아노는 폭풍을 견디기 어려워했지만
가렛은 능숙하게 이를 진정시키며 연주를 이어나갔다.
사람들은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가렛의 기묘한 연주를
넋을 잃고 감상하였다.
Köln, January 24, 1975, Pt. II B (Live)
Köln, January 24, 1975, Pt. II C (Live)
규격 이하의 고장난 피아노 때문에 가렛은
깽깽소리가 나는 고음부를 최대한 피해서 연주했으며
약한 저음을 보완하기 위해 왼손으로 반복된 리듬을
강하게 연주했다. 그 결과 익숙하고 안정적인 전개가 아닌,
어디로 튈지 모르는 독창적인 전개가 이어졌다.
듣다보면 마치 항해하는 작은 배처럼, 뭔가 위태위태하다가
안정감을 되찾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느낄수가 있다.
그렇게 만들어진 연주는 한마디로 유일무이했는데,
이는 고장난 피아노와 자렛의 실력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는 폭풍우 치는 밤에
낡은 돛단배를 이끌고 바다에 나와 신대륙을 발견한 것이다.
<가렛은 온몸을 쥐어짜 피아노를 연주했으며
소리는 한계를 극복하고 공연장을 충분히 뒤덮을 수 있었다.
저러다 피아노가 박살나는게 아닌지 걱정될 정도로 힘차게 건반을 쳤다.>
불가능해보였던 공연을 위대한 예술로 승화시킨
자렛의 퍼포먼스는 그대로 레코딩되어 세상에 나왔다.
기막힌 사연을 가진 이 놀라운 라이브 앨범은
당연히 광범위한 찬사를 받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그래서 지금까지 무려 4백만장이나 팔려,
피아노 솔로 앨범으론 역대 최고 판매량을 기록했다.
또한 가렛은 쾰른 공연을 계기로 음악적으로도
한 단계 도약해, '천재, 전설'과 같은 거창한 수식어에 어울리는
뮤지션이 되었다. 물론 그 전에도 실력을 인정받는
재즈피아니스트였지만 쾰른 공연이 그의 음악 인생을
찬란하게 꽃 피워준 것이다.
많은 재즈뮤지션들이 갈구하는 최고의 즉흥을 펼친 키스 자렛.
그가 만들어낸 이 전설적인 이야기는
재즈 역사 한 켠을 멋지게 장식하고 있다.
<키스 자렛의 84년 도쿄 앙코르 연주
(쾰른 연주는 아쉽게도 영상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