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착맨을 위한 피즈 가이드(2장 - 한타 페이즈)
안녕하세요, 며칠 전 라인전 스킬 활용 및 콤보 공략을 올렸었던 괴즈민수입니다.
침착맨님이 방송에서 제 1장 글을 읽어주시기도 해서 넘모넘모 감사하네요!
근데 그 이후로 피즈가 똥챔인 걸 눈치채고 플레이하지 않으시는 걸 보고 슬펐지만
그제의 피즈 플레이 이후로 다시 침즈의 희망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피즈… 사랑하시죠?)
근 2주 동안 바빠서 글을 쓰지 못했지만 플레이 영상도 만들고 인증을 위해 일단 부캐 플레3까지는 찍어보았습니다.

피즈 똥챔론에 관하여
먼저 피즈가 똥챔이라는 사실에 관해서는, 프로 레벨과 높은 티어 구간에서는 똥챔이 맞습니다.
고티어로 갈수록 초반(1~2렙)에 약하고, 라인 주도권 못 잡고, 상대가 킬각 안 주고, 정글러 의존도가 높다는 피즈의 단점이 부각되고,
상대 대형이 잘 짜여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피즈의 특기인 원딜 암살이 힘들어진다는 점 때문이죠.
하지만 저티어에서 피즈는 난이도 대비 캐리력이 높은, 가성비 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 같은 바텀 캐리 메타에서 피즈가 바텀 다이브가 매우 강력하고, 원딜 암살이 쉽다는 점은 무시 못할 장점입니다.
(바텀 로밍과 다이브에 대해서는 추후 4장 쯤에서 다루겠습니다.)
또한 픽률 상위권에 속한 아리, 제드, 요네, 카타리나, 트페, 신드라, 카시오페아 등을 상대로 상성이 나쁘지 않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실제로 피즈는 브실골에서 2티어, 플레티넘+에서 3티어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 lol.ps
즉 피즈가 천상계에서 똥챔은 맞지만, 저티어에서는 충분히 강력하고, 바텀캐리 메타에 활약할 수 있으며 난이도도 딱히 높진 않은
가성비 챔피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장] 한타 페이즈 시 플레이
피즈의 대규모 한타 때 목표는 간단합니다. 상대 물몸(메이지, 원딜)에게 궁을 맞추고, 암살한 후 유유히 빠져나온다.
이 때 웬만하면 타겟은 존야나 초시계가 없는 상대, 그리고 점멸이 빠진 상대여야 좋습니다.
쉬워보이지만 단계적으로 나눠보면 명심해야 할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1. 상대 물몸에게 궁을 맞춘다.
일단 이것만 성공적으로 해도 이미 1인분이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합니다.
1장에서 말씀드렸듯이 궁을 맞추기 위해서는 상대가 의식하지 못할 때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로 내가 숨어있거나, 상대가 몰려오는 것을 받아치는 경우 궁을 맞추기 쉽습니다.
또한 상대가 탱커가 있는 조합일 경우, 상대 진형의 앞쪽이 아니라 옆이나 뒤에서 쓰는 것이 훨씬 맞추기 쉽습니다.
따라서 피즈의 가장 이상적인 포지션은, 상대 진형의 사이드 쪽에 있는, 벽 뒤나 부쉬 같은 곳입니다.
일단 궁을 맞춰야 다음 단계를 하기도 수월해지기 때문에, 한타 자체보다는 한타 전 포지션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1강 때 영상에서 나왔던 포지션입니다. 상대 진형의 사이드 쪽 부쉬에 숨어있는, 이상적인 포지션입니다.

- 바론 벽 뒤에 숨어서 궁을 쓸 수도 있습니다.

“상대가 의식하지 못할 때”라는 것은 “내가 숨어있을 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닙니다.
숨어있는 포지션이 아니더라도, 역이니시 느낌으로 상대가 우리팀 쪽으로 우루루 몰려올 때 받아치는 궁도 맞추기 수월한 편입니다.
이 때 상대 원딜은 랄부턴이나 꿀벌댄스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우원박이 아닌 이상에야 일직선(+약간의 무빙)으로 오기 마련이고,
그렇다면 옆쪽에서 피즈의 궁을 맞추기가 꽤나 쉬워지기 때문이죠.
- 트페가 리븐을 자르러 궁을 썼고, 적이 우루루 몰려오는 도중 받아치기 궁을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궁으로 분명 제 모습이 보였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의식하지 못하고 궁을 맞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뒤에 있던 코그모마저 리븐에
집중한 나머지 궁을 같이 맞아버리네요.

2. 암살한다.
궁을 던진 후에는, 상대 딜러진을 암살하는 것이 다음 순서가 됩니다. 궁을 원딜에게 맞췄다면 거의 확정적으로 풀콤을 넣을 수 있고, 내가 엄청 못 크거나 바텀이 터지지 않았고서야 대부분 원콤을 낼 수 있습니다.
1장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e를 먼저 쓰는 게 아니라 상대 스킬 하나라도 뺀다는 마인드로 상대 스킬이 날아올 때 e
를 쓰면 됩니다.
상대는 스킬을 안 날리자니 유유히 진입하고, 스킬을 날리는 순간 e로 피해버리는 이지선다에 빠지게 됩니다.
e플wq 콤보는 여기서도 유효하고, 후반에 데캡까지 나왔다면 궁을 맞추지 못했더라도 e플wq(+점화) 만으로 원딜을 빈사 상태로 만들거나 원콤낼 수 있습니다.
3. 유유히 빠져나간다.
상대 스킬도 빼고 한 명을 암살했다면 이미 1인분은 한 것이겠지만, 살아남아서 더 싸울 수 있으면 좋겠죠?
피즈는 이동기가 e, q
두 가지가 있기 때문에, e
로 상대한테 슬로우를 걸면서 q
로 빠져나가는 그림이 가장 이상적이고 많이 나옵니다.
어디서 많이 들은 얘기 같죠? 맞습니다! 사실 1장에서 딜교환하는 방법이랑 본질적으로 같습니다. 스킬 하나로 진입한 후에 스킬 하나로 빠져나오며 상대 사정거리에서 벗어나는 것이죠.
가장 좋은 그림은 상대 한가운데에 e를 떨궈서 광역 슬로우를 걸어준 다음에, 상대 중 한명한테 q
를 타고 나오거나
를 쓴 후 q
를 타고 나오는 것입니다.
아래 영상처럼 스킬을 다 쓴 후에 상대 사정거리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이 부분은 제가 게임을 하면서 영상을 모아서 올리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제대로 된 5대5 한타가 안 열리고 게임이 끝나는 경우도 많고, 매번 이쁜 그림이 나오는 것도 아니라서 영상을 찍기 어렵더군요… 이 부분은 다른 유튜브 영상으로 대체하겠습니다.
이 영상 2분 55초 경부터 한타 장면들이 나오는데, 마찬가지로 q를 이용해 빠져나오면서 적과 거리 벌리기, 아군쪽으로 빠지기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e와 q가 다 빠지면 한 마리 양서류에 불과한 피즈에게 굉장히 중요한 팁입니다.
상대가 의식하지 못할 때 원딜한테 궁만 맞춰도 1인분, e로 슬로우 걸고 q로 빠져나가기 등을 기억해두면서,
다음 글에서는 초반 라인전 풀어나가는 법(1~2렙 사리기, 3~5렙 딜교환 및 킬각, 6렙 이후)을 알아가보겠습니다!
오늘의 피즈 팁
제가 생각하는 피즈 대 미드 챔피언 상성표를 만들어봤습니다. 피즈는 상성 관계가 굉장히 뚜렷한 편이기 때문에 후픽을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좋은데, 상대 미드라이너에 따라 참고할 수 있을 만한 표입니다. 제 개인적인 주관이 많이 들어가 있을 수 있어서 사람에 따라 상성이 다르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글을 계속 쓰게 된다면 각 챔피언 별 상대법 글도 써볼 예정입니다!
S : 상어밥
A+ : 상성이 확실히 좋긴 하지만 방심은 금물
A : 유리한 상성이긴 하지만, 숙련도에 따른 편차가 큼
B : 라인전 자체는 불리하나 손싸움의 영역
C : 불리한 상성. 웬만하면 피즈 안 뽑는 게 좋음
D : 닷지
그 외 탑에 서식하는 브루저들(레넥톤, 세트, 가렌 등)은 대부분 C~D에 속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카시오페아, 요네 등은 유리한 상성이긴 하지만, 지속딜은 피즈가 훨씬 약하기 때문에 치고 빠지는 딜교환을 잘 해야 합니다. 거리 조절을 잘못하면 딜교환에서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이렐리아, 야스오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루시안, 르블랑, 아크샨, 조이, 야스오 같은 챔피언들은 1:1 라인전은 힘들기 때문에 B~C이긴 하지만, 정글러가 도와주거나 상대가 실수해서 피즈가 1킬이라도 먹게 된다면 상성이 역전되게 됩니다.
또한 사실 모든 챔피언들 상대로 라인이 어디 있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라인이 상대 타워에 애매하게 걸쳐 있으면 트페 상대로도 어렵고, 라인이 우리 타워 쪽에 걸쳐 있으면 판테온이어도 할만합니다. 라인이 애매하게 돼있다면 정글러를 불러서 같이 밀거나, 아예 버리고 로밍을 가는 것도 하나의 선택지입니다.

그러면 즐피(즐거운 피즈)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