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지피티한테 1+1이 왜 2냐구 물어봤거든?

가식적인 위속
04.20
·
조회 98

우와 그냥 이걸로 과제 내면 되겠다

 

 

1 + 1은 왜 2인가?
우리는 “1 + 1 = 2”라는 명제를 너무나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하지만 수학에서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진술일수록, 그것이 왜 그런가를 묻는 순간 전혀 단순하지 않게 된다. 이 짧은 식은 사실상 수 체계의 정의, 연산의 원리, 형식 논리의 정합성을 모두 내포한 결과다. 이 글에서는 “1 + 1은 왜 2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수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근거를 설명한다.

 

먼저, 우리가 사용하는 수는 자연수 체계 위에서 정의된다. 자연수는 0, 1, 2, 3…과 같이 셀 수 있는 수들이며, 이 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수학자들은 공리계를 설정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페아노 공리계다. 이 공리계에서는 0이라는 수가 존재하며, 어떤 수 n이 있을 때 그 다음 수 S(n)도 존재한다고 정의한다. 여기서 1은 S(0), 2는 S(1), 즉 S(S(0))으로 정의된다. 숫자는 “존재하는 수”가 아니라, 이전 수의 ‘다음’이라는 관계 속에서 순차적으로 정의되는 기호들인 셈이다.

 

그다음 필요한 것은 덧셈(+) 연산의 정의이다. 덧셈은 페아노 공리계 안에서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기본 규칙은 다음과 같다:

a + 0 = a

a + S(b) = S(a + b)

 

이 정의에 따라 “1 + 1”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은 S(0)

1 + 1 = 1 + S(0)

= S(1 + 0)

= S(1)

= 2 (즉, S(S(0)))

 

이 과정은 단순한 계산이 아니라, 자연수와 덧셈 연산의 정의만으로 도출된 논리적 결과이다. 즉, "1 + 1 = 2"는 2라는 기호가 곧 S(S(0))임을 보여주는 명제인 것이다. 여기에는 우리가 사물 두 개를 보고 '둘'이라고 인식하는 감각 이전에, 기호 체계와 공리 구조 속에서만 존재하는 논리적 진실이 담겨 있다.

 

버트런드 러셀과 A. N. 화이트헤드는 이 단순한 진술을 **『프린키피아 마테마티카』**라는 책에서 수백 쪽에 걸쳐 증명했다. 그들은 “1 + 1 = 2”를 수학 내의 하나의 정리로 증명하기 위해 집합론, 논리, 순서 구조 등을 기반으로 공리를 설정하고, 그 위에서 연산과 수의 개념을 구축했다. 그들이 그렇게까지 집요하게 접근한 이유는 명백하다. 수학이 참으로 ‘확실한 학문’이 되기 위해선, 가장 기초적인 진술도 자명함이 아닌 증명 가능한 진리여야 한다는 철학적 전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1 + 1 = 2”는 자명한 진술이 아니라, 수학적 정의와 논리적 구성의 결과다. 수학은 우리가 숫자라고 부르는 기호들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작하는 체계이며, 그 안에서 "1 + 1 = 2"라는 진술은 반드시 그러해야만 하는 필연적 결과이다. “왜 2인가?”에 대한 답은, “2는 S(S(0))로 정의되며, 덧셈은 그렇게 작동하게 정해졌기 때문”이라는 형식적 선언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이 단순한 질문은 수학의 철학적 깊이를 들여다보는 중요한 입구가 된다.

댓글
부상당한 조경
04.20
1+1은 한개 가격으로 두개 받으니까 물건 하나당 50% 가격에 사는거니 정답은 0.5야!
가식적인 위속 글쓴이
04.20
https://resources.chimhaha.net/comment/1745153880656-a9jpazv6xib.jpg
부상당한 조경
04.20
나 학부 전기전공인데 어케아라찌!
가식적인 위속 글쓴이
04.20
내 뒤엔 챗지피티가 있다
@부상당한 조경
가식적인 위속 글쓴이
04.20
한 개의 가격이지만 수량은 여전히 2개
부상당한 조경
04.20
왜 여전히 두개야 다 내가 먹었는데
@가식적인 위속
가식적인 위속 글쓴이
04.20
결제 안했는데 먹으면 어떡해
나 먼저 나간다
@부상당한 조경
가식적인 위속 글쓴이
04.20
참고하라고?
만취한 방통
04.20
@가식적인 위속
부상당한 조경
04.20
베리타시움 간만에 본다
가식적인 위속 글쓴이
04.20
좀 봤는데 못 보겠어 공부 잘하는 사람만 봐야 될 듯
@만취한 방통

😎일상(익명) 전체글

칵테일, 하이볼 만들 때 꿀팁 4
일상
호들갑떠는 왕업
·
조회수 78
·
04.23
병건이 형도 은근 잘생긴 것 같아 8
일상
호에엥놀라는 원요
·
조회수 134
·
04.23
침착맨 vs 이병건
일상
분노한 제갈반
·
조회수 59
·
04.23
코가 간질간질한거 나만 그래? 5
일상
온화한 학소
·
조회수 70
·
04.23
노래듣다가 에어팟 한쪽 터져써 4
일상
줄건주는 방덕공
·
조회수 103
·
04.23
입흐다 입허 6
일상
행복한 주평
·
조회수 88
·
04.23
와 텍스트배틀 무승부도 있어 4
일상
염병떠는 사마가
·
조회수 105
·
04.23
겁없고 용기 많은 사람 부럽다 3
일상
졸렬한 설영
·
조회수 89
·
04.23
요새 빈티지옷을 좀 사는데 7
일상
하여자인 원외
·
조회수 100
·
04.23
skt 유심정보 털렸다함 1
일상
최고의 송금생
·
조회수 93
·
04.23
아 누가 엘베 잡아놨어 ㅡㅡ
일상
가망이없는 양백
·
조회수 60
·
04.23
와 급똥이란게 이런 거구나 2
일상
행복한 곽마
·
조회수 84
·
04.23
종아리가 이만기인 장원영 vs 승모근이 브록레스너인 카리나 20  
일상
효자 염포
·
조회수 159
·
04.23
원룸 옷장냄새 탈취법 추천 좀 4
일상
부끄러운 종진
·
조회수 89
·
04.23
대전 야구는 3위 축구는 1위네 2
일상
관통한 구건
·
조회수 87
·
04.23
느낌표 붙이는거 너무 호들갑임 13
일상
효자 채화
·
조회수 143
·
04.23
운동화 골라줄 사람 9  
일상
줄건주는 관녕
·
조회수 121
·
04.23
낙준쌤 소설 또 드라마화 된대 7
일상
온화한 정은
·
조회수 192
·
04.23
왜 남자는 음식 잘못나왔을 때 항의하면 하남자라는 이미지가 생겨버린거지 21
일상
호에엥놀라는 영수
·
조회수 179
·
04.23
욕하는 남자 싫은데 6
일상
하남자인 포훈
·
조회수 145
·
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