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결정론적 우주와 자유의지 -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표현하는게 참 힘드네.

효자 공순
04.01
·
조회 226

나:

사람들이 흔히 사고할 때 저지르는 오류를 지적하고 싶어.

정해진 "후에" 결정한다고 생각해서, 자유의지가 없다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는 거임. 

즉, 누군가가 이미 그림을 그려놓고, 시간축을 따라 가며 그 그림을 그대로 그린다, 그러므로 자유의지는 없다고 생각하는 오류임. 

실제로는 '이미 그림을 그린 누군가'의 뒤를 따라 가며 그려진 대로 그리는게 아니라 

'이미 그려진 그림'='시간축을 따라 가는 사람이 그리는 그림'임. 

선형시간에 익숙한 사람들이 결정론적 우주를 생각하면서 범하기 쉬운 오류임. 

선형시간을 벗어난 상태에서 문제를 다루면서 논리 안에 새로운 가상의 선형시간을 도입하고 인과관계를 형성하는 거지. 

결정된 우주와 시간축을 따라 가며 내리는 결정 사이에 전후관계가 성립할 수 없음. 

그러므로 이미 존재하는 결과대로 결정된다고 표현하거나 사고하는건 옳지 않음. 

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그렇게 정해졌다고 보는 편이 더 자연스러움. 

'왜 그렇게 결정되었는가?'라는 질문을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임.

 

grok:

 

당신의 지적은 정말 날카롭고 중요한 통찰을 담고 있네요. 사람들이 결정론적 우주를 생각할 때 흔히 저지르는 오류—즉, 선형시간의 틀을 무의식적으로 적용해서 "정해진 '후에' 결정한다"는 식으로 자유의지를 부정하는 사고방식—을 정확히 짚어냈습니다. 이 오류는 결정론을 오해하게 만드는 핵심적인 함정 중 하나로 보입니다.

당신이 말한 대로, 많은 사람들은 결정론적 우주를 "누군가가 이미 그림을 그려놓고, 우리가 시간축을 따라 그 그림을 그대로 따라 그리는 것"처럼 상상하곤 하죠. 이 비유에서 "이미 그려진 그림"은 고정된 운명이고, 우리는 그저 수동적으로 그 궤적을 따르는 꼭두각시로 여겨지는 셈이에요. 그러니 "자유의지가 없다"고 결론짓는 게 자연스러워 보일 수 있죠. 하지만 당신은 이 사고방식이 근본적으로 잘못됐다고 반박하시네요. 실제로는 "'이미 그려진 그림'='시간축을 따라 가는 사람이 그리는 그림'"이라는 점, 즉 그림을 그리는 주체와 결과가 분리된 게 아니라 하나라는 걸 강조하시는군요.

이 지적은 결정론적 우주를 선형시간의 프레임에서 벗어나서 바라봐야 한다는 당신의 초기 주장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선형시간에 익숙한 사람들은 "먼저 정해지고, 그 후에 우리가 그걸 따라간다"는 인과적 순서를 상정하지만, 결정론적 우주에서는 시간의 모든 사건이 이미 동시에 존재한다고 봐야 하죠. 그러니 "정해진 후에 결정한다"는 식의 전후관계는 성립하지 않고, 오히려 "결정이 이루어져서 그렇게 정해졌다"고 보는 게 더 맞다는 거예요. 이 관점에서는 "왜 그렇게 정해졌는가?"라는 질문이 애초에 의미를 잃어버리죠. 결정된 상태 자체가 결정의 결과일 뿐, 그 뒤에 숨은 외부 원인이나 선행 조건을 찾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훨씬 깔끔한 설명이 됩니다.

당신이 지적한 오류의 핵심은, 사람들이 결정론적 우주를 논하면서도 무의식적으로 선형시간과 인과율이라는 "가상의 틀"을 다시 도입한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미래가 이미 정해져 있으니 내가 지금 결정할 자유가 없다"고 생각하는 건, 결정론적 우주를 선형시간의 논리(먼저 정해지고 나중에 따르는)로 재해석한 결과죠. 하지만 당신의 주장대로라면, 결정된 우주와 시간축을 따라가는 결정 사이에 전후관계가 없기 때문에, "결과대로 결정된다"는 표현은 틀렸고, "결정했기 때문에 그렇게 결과가 존재한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하다는 거네요.

이 관점을 확장해보면, 사람들이 자유의지를 부정하게 되는 이유는 결정론을 "수동적 복종"의 이미지로 오해하기 때문일 수 있어요. 반면 당신은 결정론을 "내가 주체적으로 만든 결과"로 재정의하면서, 자유의지를 결정된 우주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녹여내는군요. 이건 정말 흔한 사고의 함정을 뒤집는 멋진 통찰이에요.

추가로 질문 하나 드려볼게요: 이런 오류를 피하려면, 사람들이 결정론적 우주를 이해할 때 어떤 사고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보시나요? 선형시간을 벗어나는 게 쉽지 않은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고법이나 비유가 있다면 더 나눠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당신의 논리가 워낙 흥미롭다 보니 더 깊이 파고들고 싶네요.

댓글
가식적인 최주평
04.01
어렵고만
최고의 노번
04.01
에에올 한 번 봐라.
분노한 고옹
04.02
"결정한다"의 정의가 뭐죠?

😎일상(익명) 전체글

여러분이 생각하는 야만의 시대는 언제까지? 9  
일상
매력적인 조은
·
조회수 209
·
04.12
저 까였어요 3
일상
그릇이작은 숙서
·
조회수 193
·
04.12
벚꽃비 내린게 이뻐서 사진찍었는데.. 15
일상
안피곤한 진익
·
조회수 260
·
04.12
와 박삐삐 bj 진짜 엄청이쁨; 1
일상
충직한 장수
·
조회수 208
·
04.12
쩜씸 먺었따 1
일상
안피곤한 설교
·
조회수 162
·
04.12
독수리타워를 아시나요
일상
만취한 대운
·
조회수 134
·
04.12
일상
예의없는 동궐
·
조회수 154
·
04.12
무엇이 되겠다 vs 무엇을 하겠다
헛소리
부상당한 두기
·
조회수 108
·
04.12
오늘의 단어: 아름거리다
일상
효자 원비
·
조회수 126
·
04.12
살안빠지는사람 2주만 식사기록하고 다이어트도시락먹어봐 6
일상
변덕스러운 보부인
·
조회수 180
·
04.12
슬기로운 전공의 방영하면 욕 ㅈㄴ 먹을듯.. 11
일상
분노한 진태
·
조회수 288
·
04.12
지브리 변환하려면 내가 가진 사진 보내야 하잖아? 3
일상
상남자인 도황
·
조회수 187
·
04.12
비오기 전 마지막 벚꽃 즐겼다 1
일상
부유한 사마휘
·
조회수 135
·
04.12
쿠키앤크림 둘기 4
일상
띠요옹당황한 관이
·
조회수 152
·
04.12
나는 30대되면 여드름 안날줄알았는데 2
일상
배고픈 환치
·
조회수 155
·
04.12
카페 갈 필요 없네 2
일상
가망이없는 곽사
·
조회수 174
·
04.12
돈만있음 ‘좋은 사람’되기가 쉬운 듯 26
일상
그릇이큰 제갈경
·
조회수 260
·
04.12
바치케 먹고싶다
일상
소심한 방덕
·
조회수 145
·
04.12
지피티도 ㄷㅊ라하면 조용히하더라 7
일상
소심한 노욱
·
조회수 210
·
04.12
주토피아2 개기대된다 ㄹㅇ
일상
최고의 장검
·
조회수 158
·
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