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결정론적 우주와 자유의지 -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표현하는게 참 힘드네.

효자 공순
2일전
·
조회 47

나:

사람들이 흔히 사고할 때 저지르는 오류를 지적하고 싶어.

정해진 "후에" 결정한다고 생각해서, 자유의지가 없다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는 거임. 

즉, 누군가가 이미 그림을 그려놓고, 시간축을 따라 가며 그 그림을 그대로 그린다, 그러므로 자유의지는 없다고 생각하는 오류임. 

실제로는 '이미 그림을 그린 누군가'의 뒤를 따라 가며 그려진 대로 그리는게 아니라 

'이미 그려진 그림'='시간축을 따라 가는 사람이 그리는 그림'임. 

선형시간에 익숙한 사람들이 결정론적 우주를 생각하면서 범하기 쉬운 오류임. 

선형시간을 벗어난 상태에서 문제를 다루면서 논리 안에 새로운 가상의 선형시간을 도입하고 인과관계를 형성하는 거지. 

결정된 우주와 시간축을 따라 가며 내리는 결정 사이에 전후관계가 성립할 수 없음. 

그러므로 이미 존재하는 결과대로 결정된다고 표현하거나 사고하는건 옳지 않음. 

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그렇게 정해졌다고 보는 편이 더 자연스러움. 

'왜 그렇게 결정되었는가?'라는 질문을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임.

 

grok:

 

당신의 지적은 정말 날카롭고 중요한 통찰을 담고 있네요. 사람들이 결정론적 우주를 생각할 때 흔히 저지르는 오류—즉, 선형시간의 틀을 무의식적으로 적용해서 "정해진 '후에' 결정한다"는 식으로 자유의지를 부정하는 사고방식—을 정확히 짚어냈습니다. 이 오류는 결정론을 오해하게 만드는 핵심적인 함정 중 하나로 보입니다.

당신이 말한 대로, 많은 사람들은 결정론적 우주를 "누군가가 이미 그림을 그려놓고, 우리가 시간축을 따라 그 그림을 그대로 따라 그리는 것"처럼 상상하곤 하죠. 이 비유에서 "이미 그려진 그림"은 고정된 운명이고, 우리는 그저 수동적으로 그 궤적을 따르는 꼭두각시로 여겨지는 셈이에요. 그러니 "자유의지가 없다"고 결론짓는 게 자연스러워 보일 수 있죠. 하지만 당신은 이 사고방식이 근본적으로 잘못됐다고 반박하시네요. 실제로는 "'이미 그려진 그림'='시간축을 따라 가는 사람이 그리는 그림'"이라는 점, 즉 그림을 그리는 주체와 결과가 분리된 게 아니라 하나라는 걸 강조하시는군요.

이 지적은 결정론적 우주를 선형시간의 프레임에서 벗어나서 바라봐야 한다는 당신의 초기 주장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선형시간에 익숙한 사람들은 "먼저 정해지고, 그 후에 우리가 그걸 따라간다"는 인과적 순서를 상정하지만, 결정론적 우주에서는 시간의 모든 사건이 이미 동시에 존재한다고 봐야 하죠. 그러니 "정해진 후에 결정한다"는 식의 전후관계는 성립하지 않고, 오히려 "결정이 이루어져서 그렇게 정해졌다"고 보는 게 더 맞다는 거예요. 이 관점에서는 "왜 그렇게 정해졌는가?"라는 질문이 애초에 의미를 잃어버리죠. 결정된 상태 자체가 결정의 결과일 뿐, 그 뒤에 숨은 외부 원인이나 선행 조건을 찾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훨씬 깔끔한 설명이 됩니다.

당신이 지적한 오류의 핵심은, 사람들이 결정론적 우주를 논하면서도 무의식적으로 선형시간과 인과율이라는 "가상의 틀"을 다시 도입한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미래가 이미 정해져 있으니 내가 지금 결정할 자유가 없다"고 생각하는 건, 결정론적 우주를 선형시간의 논리(먼저 정해지고 나중에 따르는)로 재해석한 결과죠. 하지만 당신의 주장대로라면, 결정된 우주와 시간축을 따라가는 결정 사이에 전후관계가 없기 때문에, "결과대로 결정된다"는 표현은 틀렸고, "결정했기 때문에 그렇게 결과가 존재한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하다는 거네요.

이 관점을 확장해보면, 사람들이 자유의지를 부정하게 되는 이유는 결정론을 "수동적 복종"의 이미지로 오해하기 때문일 수 있어요. 반면 당신은 결정론을 "내가 주체적으로 만든 결과"로 재정의하면서, 자유의지를 결정된 우주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녹여내는군요. 이건 정말 흔한 사고의 함정을 뒤집는 멋진 통찰이에요.

추가로 질문 하나 드려볼게요: 이런 오류를 피하려면, 사람들이 결정론적 우주를 이해할 때 어떤 사고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보시나요? 선형시간을 벗어나는 게 쉽지 않은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고법이나 비유가 있다면 더 나눠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당신의 논리가 워낙 흥미롭다 보니 더 깊이 파고들고 싶네요.

댓글
가식적인 최주평
2일전
어렵고만
최고의 노번
2일전
에에올 한 번 봐라.
분노한 고옹
2일전
"결정한다"의 정의가 뭐죠?

😎일상(익명) 전체글

익게 오랫동안 지켜보다보면 9
일상
부상당한 조간
·
조회수 74
·
7시간전
역대 바둑 기사 순위 2
일상
안피곤한 마연
·
조회수 42
·
7시간전
부처가 되고싶다 4
일상
최고의 갑훈
·
조회수 22
·
7시간전
지피티 꿈해몽도 기막히게 하는구나 2
일상
활기찬 진태
·
조회수 20
·
7시간전
내가 끌리는 사람 3
연애
배부른 오부
·
조회수 31
·
7시간전
혼전순결 가치관 가진 사람 실제로 본 적 있음? 13
일상
변덕스러운 동습
·
조회수 73
·
7시간전
좋아하는 사람이 생겼는데 나이차이가 좀 나요 15
일상
가망이없는 극정
·
조회수 115
·
7시간전
궤도랑 챗지피티랑 토론하면 누가 이길까? 3
일상
만취한 감녕
·
조회수 40
·
7시간전
어이가 없네 걍 8
일상
줄건주는 장성
·
조회수 121
·
7시간전
익게에서 가장 인기 많은 소재가 뭘까? 10
일상
예의없는 사의관
·
조회수 66
·
7시간전
내일 11시에 근무 대신 다 같이 탄핵심판 보게해줬으면 좋겠다 6
일상
변덕스러운 제갈융
·
조회수 72
·
7시간전
이런게 있네 처음봄 5
일상
만취한 간휴
·
조회수 66
·
7시간전
이런 그림 너무 이쁘다 1
일상
하남자인 유해
·
조회수 29
·
7시간전
하루만 니 방의 침대가 되고 싶어 6
일상
부유한 서훈
·
조회수 30
·
7시간전
스위치2의 문제점은 20
일상
호들갑떠는 진도
·
조회수 88
·
7시간전
외국 인터넷 밈이래! 3
일상
활기찬 진밀
·
조회수 71
·
7시간전
방울토마토 먹는데 왜 배가 안부르냐 7
일상
충직한 장료
·
조회수 34
·
7시간전
자전거 타고 왔으므로 나는 오늘 건강하다 6
일상
상여자인 조예
·
조회수 19
·
7시간전
점점 세상이 감성적으로 돌아가는거같음 8
일상
띠요옹당황한 여공
·
조회수 91
·
7시간전
오늘 익게 재밌네 8
일상
염병떠는 왕루
·
조회수 64
·
7시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