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 연금 시뮬레이션 돌려봄 (예시는 내 기준 아님)
03.25
·
조회 337
98년생(월 급여 300만원, 연 2% 임금 상승, 상한 600만원, 30년 가입, 80세 사망)의 국민연금 개혁 전후를 비교하는 것은 상당히 복잡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단순 계산이 어렵기 때문에 몇 가지 가정을 추가하고, 단계별로 접근하겠습니다.
추가 가정 및 계산 방식
- 국민연금 소득 상한액: 현재 국민연금 소득 상한액은 매년 변동되지만, 계산의 편의를 위해 월 600만원으로 고정합니다. (실제로는 매년 A값 변동에 따라 조정됨)
- 임금 상승 반영: 매년 2% 임금 상승을 반영하되, 월 소득이 600만원에 도달하면 더 이상 상승하지 않습니다.
- 소득대체율:
- 개혁 전: 40년 가입 기준 40% (30년 가입 시 30%)
- 개혁 후 (예시): 40년 가입 기준 35% (30년 가입 시 26.25%)
- 보험료율
- 개혁 전: 9%
- 개혁 후: 13%
- 수급 개시 연령: 98년생은 만 65세에 수급을 시작합니다.
- 개혁 전:
- 30년차 월 소득: 약 565만원
- 소득대체율: 30%
- 예상 월 수령액: 565만원 * 30% = 약 169만 5천원
- 총 수령액(만 65세~80세): 169만 5천원 X 12개월 X 15년 = 3억 510만원
- 개혁 후:
- 30년차 월 소득: 약 565만원
- 소득대체율: 26.25%
- 예상 월 수령액: 565만원 * 26.25% = 약 148만 3천원
- 총 수령액(만 65세~80세): 약 148만 3천원 X 12개월 X 15년 = 2억 6,694만원
- 결론 (98년생, 30년 가입, 임금 상승 및 상한 고려)
- 개혁 전: 약 1억 3,929만원 납부, 약 3억 510만원 수령 (예상)
- 개혁 후: 약 2억 191만원, 약 2억 6,694만원 수령 (예상)
- 개혁 후에는 납부액이 약 6,262만원 늘어나고, 예상 수령액은 약 3,816만원 줄어듭니다.
댓글
배고픈 조준
03.25
이게 맞는지 안 맞는지는 차치하고 진짜 ㅈ같네
졸렬한 진궁
03.25
이걸 진즉에 20년 전부터 이야기가 나오고
논의했어야 하는데
이제와서 할라니 한방에 조절해서 열받기만 함
밸 수 없엉
😎일상(익명) 전체글
반팔에 가죽자켓 갲춘?
7
카페인 들어오니까 두통이 사라짐
2
오늘따라 세상 억까 지리네
1
매화 구경해~!
1
점심
4
흐흐흐흐 어제 삼겹살 사뒀지롱
회사에서 간식 같은거 먹을때
3
흐음 언어 어렵네…
2
똥X 가려울 떄 어케해?
8
여친한테 폭삭 속았수다? 장난치다가...
7
선글라스 추천좀
5
2000원 줄거면 걍 주지마
1
마이쮸 애플망고 이거 미친놈이네
4
회색은 왜 야한걸까
3
약밥 좋아하는사람?
3
1주년..
1
미국 입시는 아직도 인종우대가 있네..
6
동성애자로 살기 vs 100억 받기
5
짬뽕국물에 넥타이 담갔다
7
썬글라스 집에 두고 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