춥고 졸립고
너무 게임이 일방향으로 흐르거나 어차피 꼴찌할꺼 같아서 기분 다운된 네루님에게
곰을 쉽고 빠르게 알려주려고 합니다. 이하 내용은 철린이 시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 “실제정보”와는 다를 수도 있습니다.
이해를 위해 왜곡한 내용도 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쉬운 커맨드 이해를 위한 자료

1P 기준 상기 이미지 용어대로 설명합니다.
<곰에 대해서>

저희는 이런 콤보를 배울 시간이 없으므로 콤보는 간략화 하겠습니다.
이하 상대를 띄운상태에서는 무조건 6AP,AP(토네이도/빙글빙글/땅에처박힘)- 6AP,AP로 고정입니다.
저희는


이런걸로 데미지를 뽑을껍니다.
1)주력기

LP 또는 LPRP
철권에서 가장 빠른 기술인 원잽입니다. 원잽 원잽으로 간보면서 가드데미지가 있는 2타까지 사용하며 가드데미지를 쌓습니다.

RPLPLK
근접할때 데미지 갉아먹을떄 사용합니다. 마지막 3타 하단을 막아야하는데

RPLPRP
위 기술에서 막타가 하단이 아닌 중단 기술로 이지선다를 걸수도 있습니다. (앉은자세가 되므로 이후 LP RP를 쓰면 토네이도 시킵니다)

46RP
진짜 먼거리에서 견제할수 있고 가드시 가드데미지가 있는 상단기술입니다.
드라구노프나 클라우디오 같은 캐릭터가 달려오려고 하는 딱 그 거리에서 가드나 캐치가 됩니다

4AP
중단기로 많은 가드데미지를 쌓을수있고 기술 사용 후 2(레버를 아래로 누르면)입력을 할시 헌팅자세를 잡습니다.
주로 히트인게이저 맞추고 나서 달려갈때 공짜가드데미지 쌓을때 사용합니다.

4LP
운영의 핵심인 기술로 파워크래시 기술입니다. 하단기를 제외하고는 슈퍼아머를 가지고 데미지를 견뎌내며 상대를 공격합니다.
히트상태가 아닐시에는 히트가 켜지는 히트인게이저이고 만약에 이미 히트상태였다면 사용후 2입력으로 헌팅자세를 잡습니다.
주로 상대방의 기술을 맞거나 막았을때 개겨보는 용도로 씁니다.(히트→퍼래지는거)

LPLPLP
10프레임 가장빠른 카운터기로 콤보가 됩니다.
4LP와 더불어 맞거나 막았을떄 내밀어서 개겨보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원거리~중거리에서 달려가며 AP
가까이서 쓸려면 666을 입력해야하는데 어렵기 때문에 중거리에서 붙는 용도로만 사용할 기술입니다. 가드만 시켜도 소폭 이득이 있습니다.

3RPLP
더블어퍼라 불리는 기술이고 앉아있는 상대를 띄울수있습니다. 영상은 띄운 이후에 콤보+상대 기상을 노리는 심리까지 입력한 것입니다.
사거리도 상당히 길어서 상대방이 헛쳤으면 노려볼수 있습니다.

1RP+LK(바로쓰기, 조금만 모았다 떼기, 끝까지 누르고있기)
우리 운영의 꽃인 연어잡기입니다. 꾹누르면 모을수있고 떼자마자 공격합니다. 끝까지모으면 데미지와 가드데미지가 세지고 딜캐가 사라집니다.
거의 맵의 반이 사정거리인 기술로 느려서 보고 막을수 있지만 기술을 내미는 타이밍은 내맴이기 떄문에 상대가 막을것 같다면
끝까지 모았다가 풀차징으로 쓰는편이 낫습니다. 모으는거보고 떄리러 올수도 있기 때문에 가끔씩 1단계나 2단계 연어도 사용해줘야
섣불리 공격하러 못올껍니다.
사거리가 길고 느리기 때문에 막 사용하면 상대가 멀리서 돌진하는 기술(클라 번너클,드라 어설트)을 맞을 수도 있으니
그전에 심리전에서 우위를 점해야 합니다.

1RP
사거리가 매우 긴 견제 하단기 입니다. 톡톡 건들면 매우 짜증납니다.
사용후 2입력을 하면 헌팅자세를 취합니다.

6AK
이것도 사거리가 매우 긴 하단 기술입니다.
데미지도 높은편이고 넘어지기 때문에 보고 못막는다면 짜증나는 기술중 하나입니다. 느리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면 막힐 가능성이 높습니다.

RP+LK (혹은 히트버스트 버튼)
히트버스트입니다. 강제로 히트상태에 돌입하게 되며
슈퍼아머 효과가 있기 떄문에 너무 몰려있거나 답답할때 질러볼만 합니다.
히트 상태에서는 특수기와 기술을 모으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1RK
일명 곰나락이라고 불리는 기술로 맞았을시 이득이 크고 사용 순간에 상단회피가 있고 나름 빠른 하단 기술입니다.
기술을 사용하고는 자동으로 앉은상태가 되기 때문에 모으기 기술로 가드데미지 심리전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아무떄나 써도 좋은 기본잡기 LP+LK , 양손잡기 9AP 가 있습니다.
잘 모르겠으면 그냥 적이 가까이오거나 이러면 4LP쓰고 LPLPLP
계속 뒤뒤 뒤뒤 입력해서 거리 멀어지면 사거리 긴 기술 쓰기
계속 맞거나 못도망간다고 아무거나 누르지말고 내가 개길때는 4LP랑 LPLPLP밖에 없다라고 생각하고 불리할땐 그거만 내밀어야함.
2)계획수립
보여드린 주력기를 한번씩 보면 감이 오시겠지만
곰은 긴 리치를 이용해서 거리를 최대한 벌리며 하단데미지, 가드데미지를 쌓고
억지로 비집고 들어오는 상대에게는 4LP나 히트버스트로 견뎌내고 하단 중단의 이지선다를 걸고
다시 거리를 벌리려고 노력해야합니다.

결국 격투게임이라 함은 60초 이내에 상대 체력을 나보다 더 깎아내면 이기는 것이고
나말고 상대편 역시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승리조건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대를 많이 때려서 죽일수도 있겠지만
내 공격을 맞추고 상대의 공격을 잘 막거나 피하는 것으로도 승리조건을 달성 할 수 있습니다.
상대의 초초함, 짜증남 이런건 덤으로 유리하게 작용하구요.
넓은 맵에서 60초간 상대가 뭘 할지 우리는 알 수가 없습니다. 상대 역시 똑같겠죠.
상대를 내 손에 두기 위해서는 미리 판을 짜놔야 합니다.
격투게임은 바둑이나 장기랑도 같아서 내가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 두는게 좋습니다.
일례로


이런 기술들은 가드하는 순간 상대방이 유리해지게 됩니다.
내가 이런 기술들을 막게 되면 상대 기술이 내 기술보다 빠르게 나갑니다.
물론 상대가 기본적으로 느린기술을 쓰면 카운터를 낼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개길때는 정해진 기술만 두고 개기는게 좋습니다.
이와 같이 격투게임에는 공식이 있기 떄문에
우리는 족보를 만들어서 그대로 행동할 껍니다.
그 외의 상황에서는 하단을 톡톡 건들거나 견제기술을 쓰면서 상대를 갉아먹는 거구요.
주력기들을 보면 이해 할 수 있을꺼라고 믿습니다.
3)족보
중거리에서 666AP를 가드시키면 이득상황입니다. 개기는 상대에게 카운터를 낼 수 있습니다.

가드시켜놓고 LPLPLP를 미리눌러서 기술판정에서 이기고 가는 모습입니다.

666AP 이후에 2를 입력해서 헌팅자세를 잡고 자세 LPRP모으기로 심리전을 거는 모습입니다.
상대가 개기면 노차징2타 확정이고 카운터 확인 못하더라도 헌팅자세 LPRP풀차징으로 가드데미지를 뽑을 수 있습니다.
***

모으기 기술은 1RPLP(모으기) // 1RP+LK 연어 3단계 차징하는거 // 앉았다가 일어나면서 LP RP(모으기) // 헌팅자세에서 LP RP(모으기)
이렇게 있습니다. 모았다가 때면 공격이 바로 나오고 3단계까지 모을땐 유리한 상황과 가드데미지를 주지만 상대가 먼저 때리면 카운터를 맞습니다.
위와같이 모으는 척하고 그냥 내밀면 역으로 기술을 맞출수도 있습니다.
***

666AP를 가드시킨 후에 양손잡기를 사용한 모습입니다.

이번에는 666AP 2 로 가드시키고 자세를 잡은 상황에서 상대의 반응을 보기 위해서 그냥 가드한 상황입니다.
헌팅자세에서 레버를 뒤로(4방향) 당기면 자세지만 가드가 됩니다.
저렇게 가끔씩은 그냥 가드를 해서 상대방이 빈틈이 큰 기술을 썼을때 저렇게 역으로 막고 반격할 수도 있습니다.

1RP를 사용하면 앉은자세가 됩니다. 이떄 RK를 연타하면 저렇게 빠른속도로 기상킥을 쓰는데 상대 느린기술에 카운터를 잘 냅니다.
이후에 기상킥을 상대가 가드하였을땐 가드백을 이용해서 46RP까지 써서 가드데미지를 쌓아주는 모습입니다.
666AP, 1RP, 4LP를 쓰자마자 레버를 아래로 내리면 으르렁 거리는 헌팅 자세를 잡습니다.
(기술 이후에 쓰는게 아니고 그냥 자세를 잡고 싶으면 AK를 누르면 자세를 잡습니다)
이상황에서는 이지선다를 걸수있습니다.

헌팅자세에서 6AP를 누르면 풀수없는 잡기가 나갑니다. 영상에 녹화하진 못했는데 잡기가 끝나자마자 2AP를 연타하면 추가타를 떄릴수있습니다.
다음에 나오는 빙글빙글 기술은 헌팅자세에서 나가는 하단 기술입니다. 헌팅자세 4APAP를 누르면 나갑니다.

1RP를 사용하고 2로 자세를 잡고 헌팅자세 LP RP(모으기)를 쓰는 모습입니다. 모으기 기술을 가드시켜서 비틀거릴때
상대가 기술을 내밀꺼같다면 46RP나 통천포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46RP나 통천포가 카운터시에는 처음에 말했던 6APAP (토네이도) 6APAP가 맞고 서로 가깝고도 먼 애매한 거리가 됩니다.
그걸 이용해서 일어나는 상대에게 연어풀차징1RP+LK 을 깔아두고 사용하는 모습입니다.
상대는 누워있어도 저 기술에 맞고 일어나서는 앉아서 막아야 합니다.

프렉티스로 혼자 찍기가 좀 어려워서 애매하게 나왔는데
콤보 이후에 일어나서 하단을 막으려는 사람을 중단기 더블어퍼3RPLP로 띄우는 모습입니다.

3RPLP로 띄우면 다시 심리걸수 있습니다.
하단을 맞기도 싫고 앉아서 막아보기도 싫어서
멀리서 달려와서 빨리 때려보려는 상대에게는

4LP를 이용해서 받아내며 공격권을 가져갑니다.
근데 번너클 데미지가 너무 높아서 딜교환은 손해본 상황입니다.
4AP , 4LP , 666AP(곰박치기)를 맞추면 상대는 날라가고 내가 뛰어가는 모션이 나오고 퍼렇게 되면서 히트상태 돌입합니다.
이후 상태에서는

바로 빠르고 강한 하단기인 곰나락1RK를 쓰고 1RK 후에 앉은 상태가 되기 떄문에 일어나며 LP RP(모으기)를 쓴 상황이고 거리가 멀어져서
46RP로 한번 더 긁은 모습입니다.
곰나락을 맞추게 되면 이득권이 크기 떄문에 저렇게 일어나며 LP RP를 사용해도 되고 안전하게

바로 9AP를 눌러서 양잡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방금은 하단을 거는 기술을 살펴봤고 상대도 사람이니까 쫄아서 앉을수도 있겠죠? 앉으면 더블어퍼3RPLP를 써서 띄우는걸 노리거나

4AP를 바로 사용해서 가드데미지도 쌓고 레버를 아래로 내려서 헌팅자세를 잡고 6AP를 눌러서 물어뜯는 잡기를 사용한 모습니다.
자세에서 4APAP를 이용해서 빙그르르를 써도 좋겠죠?
아니면 무리하게 공격하지 않고 안전하게 가드를 하면서 기회를 엿볼수도 있을껍니다.
*3줄요약
1.내가 유리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어려워도 노력한다 레버를 뒤로 2번 튕기면 백대쉬를 하니 적극이용
2.유리한 거리에서 나만 닿는 기술을 가드시켜서 가드데미지를 입히거나 기술을 맞춰서 데미지를 입힌다.
3.근거리로 들어오면 4LP나 LPLPLP , 히트버스트(RP+LK)로 버티거나 카운터를 내고 연습한 족보를 토대로 상대에게 심리전을 건다.
콤보, 족보에 맞는 상황에 따른 행동이 잘 안될지라도 이 개념만 기억하고 주력기 써가면서 풀어가면…
시간이 촉박하겠지만 잘해보시길 빕니다.

그리고 이런 화면이 나오는 레이지아츠(궁극기 궁 필살기 님들 맘대로 부르는거)는 가드하고 나서 확정타로 띄울수있기 떄문에
막고 나면 반드시 죽여야합니다.
4)족보(심화과정) (몰라도 됨)
예시를 드라로 두긴 했지만 클라의 번너클도 그렇고 뭔가 처맞았을때 혹은 막았는데 뭔가 내 캐릭터가 비틀거리는 모습이 보여..
이러면 가드시 손해인 상황이 많습니다.
막고서 개길때는 통천포와 4LP로 개깁니다.

어썰트를 가드하고 4LP로 개긴 모습입니다. (개긴다는건 얌전히 막아야 할 불리한 상황에 기술을 내미는걸 뜻함)
매번 개겨서는 안되고 가끔씩은 참고 막기만 해줘야합니다. 상대편이 빠른기술을 쓸수도 있거든요.
4LP를 맞추고 히트상태에 돌입합니다.

통천포LPLPLP로 개긴 모습입니다. 공중에서 격추합니다.
상대로 폴이 많고 승빠님 폴은 알수가 없어서 기술 몇가지 훑고 가겠습니다.

붕권과 벽력장은 찍어야 하겠지만 만약에 가드했다면 띄울 수 있습니다.
띄워서 콤보를 써서 데미지를 많이주는것도 중요하겠지만
한 게임에서 딜캐를 아프게 맞으면 그 기술을 쓰는 빈도가 줄어듭니다. 상대가 위축시킬수 있는거죠

이 초딩기술은 2타를 캔슬할수도 있고 2타를 막더라도 상당히 벌어져서 뭐가 안닿기 떄문에 그냥 막는걸 추천합니다.
다만 개느리기 떄문에 반드시 막아주세요

옛날사람이 하는 폴이라면 반드시 한번은 나올꺼라고 생각되는 용포 후 철산도 패턴입니다.
용포라는 기술을 막고 섣불리 내밀면 상단회피가 있는 철산고에 처맞게되는 패턴인데

철산고 막히면 뜨니까 띄우거나(어렵겠지만) 그냥 예상하거나 말거나 4LP깔아버리는것도 좋습니다.

용포 2타를 앉는게 제일 베스트이긴 합니다.

와구 라는 저 발 후리기 기술 이후에 오른어퍼를 쓰는건 모든 폴이 하는 날먹인데
폴의 오른어퍼에는 이상한 회피 판정이 있어서 늦게 반응해서 내밀거나 때릴려고하면 저렇게 공중에 떠서 콤보를 한사바리 처맞습니다.


피할수도 개길수도 있지만 애매한 중거리에서 저러고 있으면 그냥 뒤로 물러나서 내가 유리한 거리를 유지하는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