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조선시대 능행에 관하여

퍼스트디센던트많관부
04.08
·
조회 556
출처 : 참고문헌

 

 

 

조선의 제사는 크게 대사, 중사, 소사 세 종류가 있고 

 

그중 종묘에서 지내는 것으로 사대향과 납일제, 천신제, 삼대향 그리고 고유제가 있습니다.

 

사대향(四大享)은 말 그대로 네가지 큰 제물을 바치는 일로 음력 정월, 4월, 7월, 10월 상순(사맹삭)에 행해졌는데

 

지금도 사가에서 2월,5월,8월, 11월에 사시제를 지내는 것과 비슷한 것입니다.

 

납일제(臘日祭)는 동지 이후 세번째로 오는 미일(O未日)에 지낸 제사이고 둘을 합쳐서 오향대제라고도 합니다.

 

천신제(薦新祭)도 말그대로 매 월 그 달의 햇과일이나 햇곡식 등 신물(新物)을 바치는 바치는 것이구요 

 

천금제(薦禽祭)는 천신제의 일부였지만 독립해서 매 봄과 가을, 농한기에 사냥과 훈련을 겸한 강무(講武)에서 잡은 짐승을 천신하는 것입니다.  

 

정전이 아닌 영녕전에서 지내는 것으로 납일제와 중춘, 중추의 무일(戊O日)에 지내는 두 제사를 합쳐 3대향이라 합니다.

 

고유제(告由祭)는 말그대로 자식을 생산하였든, 환갑이 되었든, 비가 오지 않던 어떤 이유가 있을때 고하러 가는 것입니다.

 

속절(俗節)은 명절에 지내는 제사로 정조(正朝, 정월 초하루 아침), 한식, 단오, 중추, 동지 그리고 상원(上元,정월대보름.) 중원, 칠석, 중양등이 추가됩니다.

 

 

 

--↑안읽어도됨↓ 별내용 없음 --

 

 

제사가 사라지는 지금 풍속으로 보아선 정말 쓸데없어 보이지만은

 

지금도 민주공화국의 제일 큰 의례인 선거에 대통령이 의례 그 투표에 참석하듯이 

 

당시 사람들은 왕은 인리의 모범이자 천도의 주재자로서  

 

그 왕이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면 사회질서가 무너지고 천지가 조응하지 않는 임무같은 것이라 생각한 것이지요. 

 

아무튼 참 많기도 한데요

 

저건 국가의 사당에서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이고 

 

요즘 하듯이 묘지에 가서 하려고 하면 

우선 백성도 힘들구요 신하들도 힘들구요 왕은 분신술에 철괴도 써야합니다. 

 

유교에선 사람이 죽으면 혼은 하늘로, 백은 땅으로 간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혼을 모신 사당인 종묘에선 왕이 친향을 하고

 

백을 모신 묘지인 산릉(山陵)의 제사는 속제(俗祭)라해서. 

신하를 보내 섭행토록 합니다.

 

그 대신 조상님이 섭섭할 수 있으니까 왕이 쓴 제문을 보내어 읽게 합니다.

 

 

사시와 명절뿐만 아니라 현대의 기제사인 기신제는 원래 능묘가 아닌 경복궁의 문소전에서 지내도록 했지만 

 

임진왜란으로 문소전이 불타면서 왕릉에서 지내게 되어 자연스레 조선후기엔 친향이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임금이 궁을 떠나 릉으로 가는 절차를 배릉의拜陵儀라고 하는데요

 

특이하게도 이 배릉의에선 다른 제사가 축시에 하도록 정해져있는데 반해 그 시간을 규정하고 있진 않습니다.

 

이는 능행이란 것이 앞서 말했듯 백성도 신하도 임금도 고달파지는 일이지만

 

혹시라도 변고가 생긴다면 참 곤란해지기에

 

국왕이 도성의 문에서 나와 이동하는 만큼 하나의 군사작전으로서 길을 확보하고 척후를 보내고 사고에 대비하는 등 

 

왕의 시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기에 현실적인 여건을 반영한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능행이란 항상 국왕이 목적을 가지고 행해지는 일이었습니다. 

 

효종은 차자로서 국왕의 정통을 과시하면서도 북벌을 위한 군사훈련으로 이용하여 그 호위군이 2000명이 넘었고 

 

과격하게 정국을 주도했던 숙종은 6400명의 대부대를 이루며 위용을 과시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도성을 나가 능행차 하는 일은 아무때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기에 왕들은 한 번 나가면 한번에 많은 곳에 들르려 했고

 

 

 

선후는 불명하지만 풍수적으로도 명당은 드문 것이기에

 

결과적으로 왕릉이 모이게 되었습니다.

 

또한 강북에 집중된 것은 군대를 이끌고 한강을 자주 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것도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조선시대에 능행을 위해 도성을 나간 횟수는 211회인데 

 

들른 능은 900여개가 넘고, 왕릉이 아닌 원이나 묘를 포함하면 더욱 많아집니다.

 

 

 

특히나 태조를 비롯해 영조, 문조(효장세자)가 묻혀있는 동구릉이 그 횟수가 많고. 

 

 

정치적 소용돌이가 일은 시대였던 영조는 특히나 선친의 묘소인 서오릉에 많이 들렀습니다.

 

 

 

 

 

또 영조는 특이하게도 서오릉에 들른 후에 저 멀리 파주에 있는 어머니 숙빈최씨의 묘 소릉원에 들리기도 했죠.

 

 

 

 

 

그러나 현대에 능행하면 떠오르는 사람은 무엇보다 바로.

 

 

 

 

정조대왕 능행차입니다.

 

당시엔 지금처럼 융릉이 아닌 현륭원이었지만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를 매년 빠지지 않고 뵈러 갔는데요.

 

1776년 즉위 직후 친부의 존호를 장헌으로 하고 그 묘인 수은묘를 영우원으로 격상시키고 생일인 음력2월에 매년 방문을 하였습니다.

 

영우원은 회기역 인근인 삼육대학교 병원에 위치하여 창덕궁에서 멀지 않았지만.

 

1789년 수원으로 천릉하고 이름을 현륭원한 후에도 마찬가지로 매년 음력2월 묘를 찾았고, 이는 죽기 전에도 그치지 않았습니다.

 

일정은 보통 3일~5일 정도 걸렸습니다.

 

정조는 대규모 부대를 이끌고 수원 화성의 서장대에 올라 군사를 직접 지휘하기도 했는데요.

 

이를 위해 정조는 군사가 한강을 건너 능행차 하기위한 배다리를 전담하는 주교사(舟橋司)를 상설기구로 두기도 하였습니다.

 

 

 

 

 

산릉친제의 과정은 전알-봉심-작헌-(독촉)-사릉으로 이뤄지는데요.

 

1. 왕이 시위와 의장을 두고 대차로 이동하고 홍문 앞에서 내린 후 왕을 수행하는 최소인원이 어로를 따라 소차로 이동하고,

 

준비가 되면 소차에서 왕을 인도하려 정자각의 판위에서 서향으로 사배례 후(전알)

 

2. 왕이 능에 나아가 능을 살펴본 뒤(봉심) 

 

왕이 향을 세번 올리는 삼상향을 한 뒤 술을 올리는 작헌이 이루어지는데 초헌은 국왕이 직접하고 판위로 이동한 뒤

 

그 다음인 아헌과 종헌은 각 종1품 이상 관료들이 헌관으로 참여하고.

 

종헌이 끝나면 다시 사배례 한 뒤 왕은 소차로 이동하고 신하들도 순서에 따라 퇴장한 후에 

왕은 소차에서 홍문을 지나(사릉) 대차로 이동하여 참포를 벗고 곤룡포를 입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절차는 후에 능이 많아지는 후기에 이르러선 왕릉군에 한 명만 보고 갈 수 없으니 

부차적으로 다른 왕릉은 홍문 근처에 판위를 두고 전알과 사릉만이 이뤄지기도 합니다. 

 

 

 

 

 

 

침착맨 궁금한거 요약

 

기제사 - 기신재는 불교적 요소로서 세종대 원묘로서 4대를 모신 문소전으로 정리하고 지냈는데 

중종대 유교식인 기신제로 대체되었고 이후 문소전이 왜란으로 불타면서 

문소전 친향은 사라지고 부모 정도만 능행친제함.  

 

전문 제사팀 - 예조, 봉상시, 능참봉. 

 

임금이 여러개 가야되지 않냐- 루트를 잘 짜야하고 오브젝트도 모여있음

 

임금이 일을 해야하지 않냐- 능행이 일임, 근데 안하기도함 크크루삥뽕

 

 

 

 

 

 

 

참고문헌 

 “조선시대 능행 연구 용역 보고서”

“조선시대 능행 심화 연구 용역 보고서”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의 서례”

 

https://gimpomunhwa.or.kr/html/site/gimpo/munhwa/17th/page_21.html#_ftn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댓글
지떨코
04.08
침착맨
04.08
이해가 쏙 되었습니다
침착맨
04.08
감사합니다
Cimbalom
04.08
이정도로 디테일한 정보글은 개추야~~
조선의 왕은 나라의 주인인 동시에 사대부의 수장이었고, 충효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두는 성리학이니
국왕의 제사는 왕조의 정당성을 판가름 하는 중요한 행사였을 것 같네요ㅎㅎ
병건하게
04.08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배다리 그림 간지나네영
회원님
04.09
워후 이렇게까지 자주 멀리 갔구나,,
마늘아저씨
04.11
수원사람으로서 정조대왕능행차는 참으로 즐거운 지역행사입니다 ㅎㅎ

😄유머 전체글

현실에 존재하는 NPC 말투
웃음
이삭삭
·
조회수 73
·
2시간전
빡센 중2병을 겪은 사람의 흑역사
웃음
라노링
·
조회수 88
·
4시간전
트와이스 다이어트 후기
웃음
라노링
·
조회수 95
·
4시간전
비건요리 대참사.jpg 1
웃음
웅취한교동
·
조회수 122
·
5시간전
자기 집 입구에 다른차가 주차해서 빡친 집주인
웃음
옾월량
·
조회수 63
·
5시간전
의외로 술 담배 마약 안 하는 사람 1
웃음
옾월량
·
조회수 132
·
5시간전
여자 알바는 이뻐봐야 다 똑같다는 사장님
웃음
옾월량
·
조회수 141
·
5시간전
요아소비
웃음
태엽장치돌고래
·
조회수 70
·
5시간전
돈 없는데 잠실에서 놀고 싶었던 한 대학생.jpg 1
웃음
침헉헉
·
조회수 157
·
6시간전
화가 많이 나버린 배텐러
웃음
통닭천사나가사와마사미
·
조회수 145
·
6시간전
보이스피싱범 과거를 들킨 슈블리맘
웃음
푸르로닝
·
조회수 140
·
7시간전
곰돌이 푸가 차에 치이면?
아재개그
굶망굶망전무웅가
·
조회수 58
·
7시간전
엄마랑 싸운건 난데 아빠가 큰일남 2
웃음
바이코딘
·
조회수 138
·
7시간전
모자매장 진열대 사이에 신발을 두면? 1
웃음
굶망굶망전무웅가
·
조회수 106
·
7시간전
섹스 폰 동우회원 모집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jpg 5
웃음
바이코딘
·
조회수 232
·
8시간전
룰렛 1
웃음
nlctxo
·
조회수 74
·
9시간전
게임 역사상 최고의 복수극 “미친 바텐더 이야기” 4
웃음
여섯시내고향
·
조회수 234
·
11시간전
미국 추기경 "마지막 투표때 교황님은 머리 감싸쥐고 계셨다" 3
웃음
웅취한교동
·
조회수 241
·
11시간전
방망이로 칼 이기는 법
웃음
dwz7rv
·
조회수 141
·
12시간전
오랜 첫사랑을 끝낸 여학생 1
이야기&썰
국밥부장관
·
조회수 329
·
14시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