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피학과를 알아보자
1. 학과 개요
학과명: 딸피학과 (Department of Low HP Studies)
학과 목표: 최소한의 체력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교육한다.
학과 특징: 수업 시간 자체가 오래 버티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 짧은 강의와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된다.
졸업 요건: 졸업 전까지 적어도 한 번은 ‘딸피 상태에서 살아남기’ 실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2. 교수진
김침붕 교수 (명예 교수) – 체력 유지 불가능성에 대한 실증 연구 진행. 대표 강의: 「딸피 상태에서 최대한 버티는 법」, 「피로를 받아들이는 삶」
김만피 교수 (주임 교수) – 체력 소진 연구의 권위자. 대표 논문: 「하루 한 잔 커피로 버티는 삶」
박피곤 교수 – 만성 피로학 전문가. 저서: 「주말에도 피곤한 이유에 대한 고찰」
이탈진 교수 – 에너지 절약 전략 전공. 강의: 「출근과 동시에 퇴근하고 싶은 현대인의 심리」
정기력 교수 – 대체 건강 연구자. “운동은 체력 향상이 아니라 더 피곤해지는 길”이라는 이론을 주장한다.
3. 주요 과목
기초 딸피학 (Intro to Low HP Studies) – 체력이 줄어드는 원리와 그 생물학적 기초를 탐구한다.
만성 피로학 개론 (Chronic Fatigue 101) – 피로가 축적되는 과정과 피로 회복이 어려운 이유를 연구한다.
체력 관리 불가능론 (The Inevitability of Fatigue) – 나이가 들수록 체력 관리가 왜 어려워지는지를 논리적으로 분석한다.
현실 적응학 (Reality Adaptation for the Tired) – 체력 저하에 맞춰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저체력 생존 전략 (Low Energy Survival Tactics) –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최대한 생존하는 실전 전략을 다룬다.
출퇴근 버티기 실습 (Survival Training: Commuting with Low HP) – 극심한 피로 상태에서 출근해 하루를 버티는 연습을 진행한다.
딸피 상태에서 업무 처리법 (Working Under Low HP Conditions) – 졸린 눈을 부여잡고도 업무를 처리하는 요령과 효율적 시간 분배를 배운다.
카페인학 개론 (Introduction to Caffeinology) – 커피 및 에너지 음료의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하며 적정 활용법을 모색한다.
4. 졸업 요건
딸피학과 졸업을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함.
1. 딸피 실전 경험 3회 이상 제출
최소 3번 이상 극한의 피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버텨본 경험을 보고서로 제출해야 함.
보고서 예시: "3일 연속 야근 후 출근한 후기", "카페인 없이 시험 기간 버티기" 등.
2. 카페인 없이 버티기 실습 (졸업시험)
24시간 동안 커피, 에너지 음료, 녹차 등 모든 카페인 섭취 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해야 함.
성공 시 "체력 초월자" 인증서 수여. 실패 시 추가 학점 이수 요구.
3. 딸피 상태 출퇴근 챌린지
피로 누적 상태에서 출근하여 하루를 무사히 버텨야 졸업 인정됨.
옵션: 대중교통에서 기절하지 않고 버티기, 회사 책상에서 티 안 나게 존버하기.
4. "이제 나이 들었네" 공식 선언
본인의 SNS 또는 학과 게시판에 "이제 나도 나이 들었네..." 문장을 포함한 게시글을 작성해야 함.
댓글 최소 5개 이상 달려야 인정됨.
5. 김침붕 명예교수의 최종 심사 통과
김침붕 명예교수의 "딸피 수용과 체력 단념" 세미나 참석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