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말고 인도 지능"
100
24.05.04
·
조회 8030
물건 들고 나가기만 하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시스템으로, 유통업계의 혁명이라고 불렸던 아마존의 ‘아마존 고(Amazon Go)’
매장에 설치된 1000개 이상의 센서와 카메라로 사용자의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서, 어떤 상품을 들고 나가는지 파악해서 자동 결제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는데…
(훔쳐가는거 아님)
(결제된거임)
근데 막상 사용해본 후기들에 따르면 매장에서 나오고 나서 2시간 이상 지나서야 결제되는 사례도 발생했다고 하고
야심찬 계획과는 다르게 몇 년 만에 아마존 고 매장들은 서서히 철수했고,
다른 매장에 설치되었던 무인결제 시스템도 빼기 시작함
그리고 진실이 밝혀지는데…
인도에서 1000명 이상을 고용해두고 수작업으로 영상을 분석했던 거임

매장에서 나가고 나서 몇 시간 뒤에 영수증이 날아왔던 것도 일일이 사람이 영상 보면서 상품 입력하느라 시간 걸렸던 거였고
생각보다 인도에서 1000명 이상 고용해서 쓰는 게 비용이 꽤나 들었다고 함
인공지능이 아닌 인도 지능
AI = A lot of Indians
댓글
상준이컵
24.05.04
BEST
2명이서 계산할거를 1000명이서 계산하네 이게 고용혁신이고 창조경제지
대모산두꺼비
24.05.05
사기네
무친종수야스맨
24.05.05
그래서 아마존고 기술이 접목된 매장은 대부분 야구장 같은 경기장이나 놀이동산 같은 곳이라고 하더라고요
말단병사에서군주까지
24.05.05
진짜 없는 게 없는
오프라인
24.05.05
사람이 하는거면 실수도 꽤 있었을거 같은데...
기술혁신인척 ㅋㅋ
XEROS
24.05.05
영국에서 아마존 프레쉬 자주 이용했는데, 바코드 있는 상품들이야 스캐너로 인식하나 싶었는데 과일 같은 거 하나 주워 나와도 인식돼서 신기했는데 죄다 수작업이라니...
시크아웃
24.05.05
우주의 은하를 분석했던 것 처럼 대량의 수작업으로 빅데이터를 만들고, 그걸 ai에게 학습 시키려고 했는데 모종의 이유로 잘 안된게 아닐까 상상해 봄
금은방괴인가물치
24.05.05
이거 한국에서도 있었는데 삼성이었나 거기서. 이거 진짜 없다고?
금은방괴인가물치
24.05.05
정확히는 영상 레이블링을 한 고용자가 인도에서 1000명 대였던 거네요.
레이블링이 뭐냐면, 인공지능을 만들 때 일종의 정답지로 사용되는 데이터셋을 만드는 건데.
아마존 고로 예시를 들면, 사람들이 물건을 들고 계산하는 영상을 가지고와서 “이 영상은 케첩을 사는 영상입니다”라고 레이블 하는 작업을 인도 노동자들이 했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레이블링된 정답지들을 쌓아가면서 컴퓨터에게 새로운 영상을 주면서 이건 뭘까~요? 하는게 인공지능 개발인데.
아마존 고의 경우 수 많은 매장에 배치되어야 할 상품마다 레이블링 작업을 해야했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팬데믹 + 레이블링이 완료된 소수의 제품만 배치.
이 두가지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 못 했고 인공지능 개발 비용보다 이익이 나오지 않으니 결국 사업을 접었다고 보면 되겠네요.
😄유머 전체글
윤도영이 생각하는 좋은 대학
4
전국시대 중기(B.C 350년) 중국대륙의 형세
1
갱상도 사람을 사칭하면 듣는 말
10
하하 인스타에 꾸준히 보고 싶다고 댓글 달았던 박명수
17
골프장 근처 사는 아저씨 취미.jpg
대머리독수리 실물 크기.jpg
9
끝까지 보시오
4
4세대 여돌들의 몸을 바꿔보았다
20
노홍철한테 방수 페인트 만들어준 인연으로 밀라노에서 콜라보 전시한 노루 페인트
29
싱글벙글 식물 갤러리
10
서울대생의 경제 살리는 방법.jpg
1
물티슈 뚜껑을 잘 닫아야 하는 이유
6
AI야, 가난에 맞서 싸우는 수녀님 그려줘
5
현재글
"인공지능 말고 인도 지능"
12
뉴비존을 떠나지 않는 고인물
3
영화 괴물 미국에서 리메이크 못하는 이유
5
슬슬 문학력 포텐 오르기 시작한 러시아
19
기안84X주호민 꽁트 2
10
싱글벙글 동사무소의 하루
1
이번 주 SNL에 떴닼ㅋㅋㅋ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