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당시 한국 지도
6
23.04.12
·
조회 1953





원본 : https://blog.naver.com/mrfldpeod/223026385269
→ 블로그에 올렸던 건데 여기서 일부 수정(경성부와 같은 색으로 칠해진 뚝도면(現 광진구, 당시 고양군) 수정. 일부 지명 추가)한 것임.
댓글
볶음차돌짬뽕
23.04.12
다른 사진 4장인줄알고 한참 비교해봤어요
울산울주
23.04.12
이것 참 귀한 자료군요
침하와와
23.04.12
지금도 이북 지역은 당시 행정구역 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과저씨
23.04.12
이북5도청 공식기준은 그렇습니다. 북한을 국가로 인정 안하니까요.
그런데 민간 지도보면 90년대말~2000년대초 북한정권이 바꾼 행정구역 기준을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메디나
23.04.12
대단하시네요... 특히 철도는 조선총독부가 운영하는 일종의 국철도 있지만 사철이 여러 지선을 개통하면서 구간별로 명칭이 제각각인 터라 정리하기 어려우셨을텐데ㄷㄷㄷ
몇 가지 아는 사실을 덧붙이면, 백마선은 일제강점기 때 없었습니다. 저 시기 경의선 종점은 사실상 신의주가 아닌 안동(지금의 단둥)이었고, 지금 백마선으로 지칭되는 선로(백마역을 지나는 선로)가 경의선 본선이었습니다. 중일전쟁 당시 일제가 다사도항을 개발하면서 지선으로 다사도선을 개통했고, 조선병참화기지정책의 일환으로 일련의 공업지구를 건설하면서 다사도-신의주-단둥으로 가는 노선이 추가되면서 경의도 지선이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사철에서 운영하였던 수인선과 수려선은 사실상 국유화되면서 경동선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사과저씨
23.04.12
1. 제가 찾은 것 기준으론 경의선 본선이 어디였느냐를 확정하기 어려웠습니다. 위키백과는 해안가의 철도노선들이 경의선 개통과 함께 만들어졌다고 서술하고 있고... 위의 북한 지도를 그릴 때 참고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80년대에 집필됨)수록 지도는 백마선 구간을 본선으로 보고 있고... 아리까리하다보니 에라 모르겠다 하고 그려버린 겁니다;;
2. 수인선과 수려선이 사철인 줄은 몰랐습니다. 어떤 회사가 운영했나요? 그리고 광복이후 그 회사는 어떻게 되었나요?
메디나
23.04.13
1. 1944년 이전 지도라서 모든 노선이 존재하지 않긴 하지만, 오사카마이니치신문사에서 제작한 1910년대 조선교통전도나 1930년대 중반 무렵 제작된 만주조선북지철도도를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아래 링크는 서울역사박물관 사이트이고, 해당 사이트 하단에 다운로드를 누르면 좀 더 큰 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조선경동철도회사가 만든 노선이었고 일본인이 운영하는 기업이었고, 태평양전쟁기간에 사실상 조선총독부의 공기업이나 다름없었던 조선철도회사에 합병됩니다. 광복 이후에는 적산이 되면서 미 군정이 관리하게 되었고 이후 국가 재산이 됩니다.
@사과저씨
😄유머 전체글
(스포)데블스 플랜 2 보면 안되는 이유
딸 이름을 ‘안젤라 매디슨 흥민’으로 지은 토트넘 팬
취미로 여자 풋살 한달후기.jpg
폴로 관우 에디션 그린
직장인 낮잠 5천원에 팝니다
2
탈북자 누나가 말하는 아오지 탄광에 있는 사람들이 똑똑한 이유
한국에서 가장 기묘한 음료수.jpg
4
회사에서 치면 안 되는 10가지
4
여자 아이돌 채팅 금지어 대참사
1
급발진 얼음틀 구매후기
2
한국 비자 발급 받다가 뜻밖의 사실을 알게된 미국인
4
테무에서 산 나이키
6
킹룡 시대때 살던 게 새끼 발견
6
야동 대신 즐기는 건강한 취미
2
이병 일병 상병 병장
5
긴급탈출 프로토콜
4
망한다망한다 해도 한국이 대대손손 자랑할 만한 것
2
우원박 장원영과 영화 출연 ㄷㄷ
6
아들의 피부를 걱정하는 어머니와 카톡하는 아들
21
성대모사 해보았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