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우니는 성게알이 아니다.
우니는 성게알이 아닌 산란을 하기 위한 생식소다.
쉽게말하면 암컷은 난소,수컷은 정소로 불리는 곳인데,우니의 색을 통해 암수구별도 가능하다.
색이 옅으면 수컷,진하면 암컷이다

2.우리가 먹는 미더덕은 미더덕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미더덕으로 알고먹는 이건 미더덕이 아니라 오만둥이라는 유사종이다.

이게 진짜 미더덕인데,오만둥이가 미더덕보다 값이 더 싸서 보통 식당에선 미더덕 대신 오만둥이를 사용한다.
향과 살,식감까지 모든면에서 미더덕이 훨씬 뛰어나다.

3.미더덕 안의 물은 그닥 좋은 물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미더덕을 깨물어 그 안의 물을 먹는것을 즐기는데
사실 그 물은 그닥 좋은 물이 아니다.
미더덕 안에 있는 물은 바닷물과 미더덕의 체액이 섞인 물로 먹는다고
건강에 좋거나 이런거 1도 없다. ( 걍 짠물이다 )

4.우리가 먹는 홍합은 홍합이 아니다.
우리가 홍합으로 알고먹는건 사실 홍합이 아니라 유사종인 지중해 담치다.
실제 홍합으로 불리는 참담치는 양식도 불가능하고 5~10m에 서식해 채집도 어려운 반면,
지중해 담치는 생명력과 번식력이 어마무시하고 양식도 쉬운 종이다.
우리가 홍합으로 알고먹는 애들이 거의 다 얘들이다.

실제 홍합은 지중해 담치보다 훨씬 크고 살도 더 진한 붉은색을 띄며
지중해 담치와 달리 패각에 따개비등 각종 이물질들이 달려있다.

5.홍합을 먹다 죽을 수도 있다.
홍합은 3~9월까지 마비성 패류독인 삭시토신을 지니고 있다.
얘네가 직접 생산하는건 아니고 플랑크톤에서 나오는건데
홍합뿐만 아니라 플랑크톤을 주식으로 삼는 모든 조개류들에게서 생길 수 있다.
삭시톡신엔 설사성,마비성,신경성 독이 존재하는데
인간이 섭취하면 이 셋 중 증상이 나타난다.
보통 설사독으로 끝나는게 대부분이지만
가끔 마비성,신경성독으로 이어져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니 조심하자.

보통 양식산에선 거의 발견되지 않으나 가끔 독이 발생될 때도 있어 그땐 채취를 금지한다.
익혀도 독은 없어지지 않으니 자연산 담치를 먹을 땐 항상 조심하자.

6.킹크랩은 게가 아니다.
이름부터 게의 왕이라는 뜻의 king crab이지만 이새끼는 게가 아니다.
대게나 꽃게는 단미하목에 속해있지만 킹크랩은 집게하목에 속해있다.
즉,얘는 게가 아니라 집게(소라게)와 더 가깝다.

그 증거로 다른 게들과 다르게 얘는 다리도 10개가 아니라 8개다.
다리도 2개나 적은데 비싸긴 드럽게 비싸다

7.전복은 조개가 아니다.
보통 조개들은 껍질이 두 장인 이매패강에 속하지만 전복은 껍데기가 한 장이다.
때문에 전복은 달팽이와 같은 복족강에 속해있다.

소라나 골뱅이,우렁이등도 전복처럼 껍데기를 한 장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개가 아니라 달팽이에 더 가깝다.
영어로도 해양 복족류들을 통틀어 sea snail이라 부른다.

8.대게는 커서 대게라는 이름이 붙은게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게가 몸집이 크다하여 큰 대(大)자를 사용해 대게란 이름이 붙은것으로 알지만

사실 다리마디가 대나무처럼 생겨서 대(竹 )게란 이름이 붙은 것이다.

9.미역과 다시마는 식물이 아니다.
미역은 잎으로 광합성도 하고 뿌리도 달렸지만 식물과 다르게 뿌리를 양분을 흡수하는 용이 아니라 몸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또한 홀씨로 번식한다는 점도 식물과 다르다.
그렇다고 또 동물도 아닌데 미역과 다시마가 속한 갈조류는 식물도 동물도 아닌 미생물의 일종이다.

(같은 SAR상군에 속한 대표적인 생물로 그 유명한 말라리아가 있다.)
옛날엔 원생생물로 분류되었지만,이 분류가 해체되고 현재는 SAR상군의 부등편모조류에 속해있다.
식물처럼 생긴건 단지 수렴 진화의 결과물일 뿐,DNA구조부터가 완전히 다르다.

심지어 다시마는 제일 가까운 친척이 짚신벌레다.

10.세발낙지는 그냥 어린 낙지다.
세발낙지의 세는 가늘 세(細)자다.어린 낙지라 성체 낙지보다 발이 가느다랗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세발낙지라는 종이 따로 있는게 아니다.
그리고 발이 세개라 세발낙지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꽤 있는데 보시다시피 다리 8개 모두 멀쩡하게 붙어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