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8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내가 왜 방송 켜자마자 건실한 똥 얘기 들어야 되는 건데~~~~~~
미국 진출한 롯데리아의 패기
15
🩳 ❥・ Բall-ing 𓂃 ଓ 𓈒 #아이브 #가을
새로운 풍월량님 닮은꼴
채점하는데 문제집이 비웃어요
2
오늘도 똥착맨 닉값 하는 개방장
3
포켓몬카드로 입체카드 만들기! 피츄!
6
오늘 방송 초반엔 ㄹㅇ 신비해지는줄
4
킹받는 짤
[우마무스메] 3회차 마일배 챔미 결승
3
아이유 에스티로더 2048*2048
??? : 나중에 은퇴해서 할거 없으면 유튜버 해야지
7
15연패여도 용서할 수 있어
1
TS 여체화 타락을 뜻하는 속담은?
12
개열받네 진짜
2
F1 출발신호를 사람이 하는 이유
1
방장님 중국 얘기 하시길래 올리는 중국 인구 지도
냥효대사 박스.gif
1
냥효대사 츄르물
1
은따 당하는거 아니냐고 말 나오는 카디비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