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4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와 다윈사변이 애니화되네
2
미국의 어느 13살 스트리머 방송에 난입한 엄마
11
악어대소동 찍는 빠니보틀
2
오늘 침착맨과 롤했습니다.
2
아침 불국사
2
ㅋㅋㅋㅋ개청자들 수듄
버섯된짱국
2
침착맨님 이번 재정비에 전참시 찍었을까요?
1
짝남이 너무 눈치가 없어서 열받는다는 여자
9
존투 달리기 15-16 일지
1
Norah Jones - Happy Pills
빈지노 - Up All Night (Feat. 카더가등)
2
05학번부터 조상님이 맞는 이유.jpg
26
(*정답드래그*) 2025.04.13 꼬들 꼬오오오오들
10
무신사 입점한 침착맨 스트레스볼 문의
3
Pat Metheny Group - Are You Going With Me?
에타에 나타난 독심술사
17
라이트폰 3 언박싱해주세요
ㅂㅇ토마토
6
일본에서 한국남자만 하는 행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