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3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챗지피티야 나방을 인간의 눈으로 보게해줘
2
내일부터 몬헌 축제입니다
2
[전략적 팀 전투] 5코 3성 2개...
푸틴
3
깐풍기
1
소풍
카라미 지금 거울치료당하는 중임?
기안을 만난 주우재급
고돗기, 까돗치 포켓몬 카드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어느새 진짜 vs 가짜로 나뉨 ㅋㅋㅋ
15
오늘 월드컵 했으면 좋겠다
최근 먹부림 모음zip.
2
카라미님 머리색 또 바꼈는데..
제 취미는 인형뽑기 입니다.
1
망고수무디~
괴인 사이에 끼어버린...
1
작년에 승빠가 했던 직장인점심 티어메이커
2
투자라는걸 모르고 저축만 하는 한심한 인생들.jpg
1
오마이걸 10주년 기념 만화.manhwa
45
이거 머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