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4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늘 그랬듯 우린 방법을 찾아낼 것이다
17
KFC 진출한 퉁퉁퉁퉁퉁퉁퉁퉁퉁 사후르
1
패트와 매트 동심파괴 버젼
2
무한도전 팬들은 안 가어도 향수를 느낀다는 장소들
18
AI는 3.11과 3.8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걸 아셨나요
3
현재 전쟁발발 징후가 보인다는 인도, 파키스탄
2
(*정답드래그*) 2025.04.25 꼬들 꼬오오오오들
14
나니가스키 버거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돼지 이야기
It is TARDIS!
2
잔혹한 고양이 학대의 현장
4
식감킹 - 코올크러쉬
The Weeknd - I Can't Wait To Get There
17000원짜리 혜자 볶음밥 세트
6
OCN 자막 근황.jpg
12
바람 피운다고 의심받은 남친
7
침투부 장패드 다들 관리 하시나요?
1
텍스트 배틀 【갓청자】로 100전 98승 1무 1패
1
돚거 개꿀잼ㅋㅋㅋ
2
인간 푸바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