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1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침사성어 시작
준빈쿤*차가밀리 영국 여행기
마이클드 안산타도 반할 '크리스마스퍼 버거'
1
아 퇴근해서 집도착했으니까 물금 누려야지~
2
[TIME TO ZZIMBANGZ] 뜨끈~한 찜방즈♨️ EP.01 | 나연x정연x지효
THE DO DO DO's 2nd EP『ボーイ・ミーツ・ガール』Teaser
난 몸짱이 될거야
4
왔다내도파민 🕹️지락실3 첫방 오늘저녁8:40tvN
2
SKT 쓰는 횐님들 꼭 유심 교체하세요!!!
17
오블리마 공지 떴군요 ㅋㅋㅋ
3
안될과학의 힉스커피 더현대 팝업 스토어 여는군요
조선시대 휴대용 시계
9
은근 호불호갈리는 직장상사 국밥매너
8
지옥의 인내의숲
2
이거 좋은거에요?
1
블루카본 설명회 해주세요
지니어스 게임 with the Doctor
4
쿰척천사
35
이게 공식이라고?
2
👽그들은 존재할까?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