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7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옥냥이 닮은가수님
5
진화를 잘못한 참치
16
삥을 뜯는 스트리머
1
침평이 되게 높네
1
개방장 시청자 집 가서 안산식 산적질 중
4
아니 진짜 집 방문한다고????
서울에 집을 사야하는 이유
오늘의 명언
유퀴즈와 침퀴즈의 차이
6
물의를 일으켜 죄송합니다.
5
침착맨 일본 뮤직비디오 출현
뱅오프
1
"이거 봐야되는데 휴대폰을..."
침퀴즈 문제 알아보시다가 실수로 끄신 건가요?
요가, 필라테스 오전반, 오후반 차이 ㅋㅋㅋ
1
전 이런 침착맨 감성이좋아요
7
뱅온
2
여성 가르마/정수리 탈모 고민입니다..
7
바다에서 신기한거봄
(애니)'록은 숙녀의 소양이기에' 5화 시원하네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