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4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새봄추의 대목성 결혼식 썰
2
실제로 겪으면 대부분 당황하는 일
5
대 황 침 착 맨 감사하다
어떻게 자식 이름이 부케 ㅋㅋㅋ
1
카를로 안첼로티, 브라질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
6
근위대와 수문장의 기묘한 위치
3
케인인님 레슬링 데뷔 영상
1
터키인이 알려주는 한국 터키 음식점
20
코쿤님 초대석 해줘영
오랜만에 책 샀어요
2
모비노기 환생 하려고 커마 고민중인데 투표좀 ㅎㅎ;
4
<첫 여름, 완주 OST 윤마치 - 초록> 5.13 12:00PM 발매됩니다!
3
실제로 존재했던 미국 흑인 아이의 초능력
5
우산 없이 걸어가는 할머니
2
F1 메인 트레일러 뜸!
경제 뉴비를 위한 오늘의 경제뉴스 요약(250512) - 잇코노미
24
진지)포켓몬스터는 바뀌어야합니다.
10
일본 영어학원 광고 근황.jpg
14
해수면 상승의 진실
1
웃음치료사를 거꾸로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