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1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해운대 ㅈ됨
5
철면수심 차돌짬뽕근황
12
지금 컬투쇼에 정일영 선생님 나오셨어요
17
정일영 교수님 2시탈출 컬투쇼 출연중
1
그 .. 왕자지는 있는 거야 ..
5
울주군 근황
1
찐어른입맛 테스트
5
걸그룹 중 건치는?
1
아이유 꽃갈피3 트랙리스트
5
이 시간 예약 실패한 개청자 특)
1
다들 하나 둘 셋 파이팅 합니다 !
2
침착맨은 사죄의 공포게임을 하라
4
테라리아를 했다면??? 코어키퍼 ㅊㅊ
1
유부남이 니케 굿즈 사는법
1
이미 엎질러진거 어쩔 수 읎죠..
2
물론 나는 어짜피 시간 안돼서 링크도 안들어갔지만
2
알파고 못다한 이야기 듣고싶어요
2
이렇게 할거면 하지마
싱글벙글 9만원짜리 코코넛 크랩
17
생구맨 따라 생구먹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