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9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연애하고 싶은 사람을 네글자로?
1
곤충 애호가의 야스버그 설명회
OOTP26 야구 시뮬레이션게임
릴황 케데헌 골든 커버 떴다
2
JYP의 성평등 업적
18
진격의 거인 1기는 진짜 지대인듯
아이고 그 원본이 왔구나
19
와 통천 주사위 6 직캠
3
배꼽 빠지는 개그 모음 ㄷㄷㄷㄷㄷㄷㄷ
2
치과의사가 면허 외 처방을 했지만 판사가 봐 준 사례
흰님들 다들 염선생님 신곡은 들어보셨나요
4
지효 & 허윤진 DIFFERENT 챌린지
1
목요일 장원영 볼 생각에 설랬던 우원박
33
공승연&정연 자매 평강공주 보호소에 고양이 모래 10톤 기부
침착맨에게 묻는다
7
아린 'S라인' 제작발표회
2
나무위키 생존가방 알아보기 해주세요
6
아린 ARININAIR 인스타 업로드
평소에 쌓아두신게 많아보이는 전무님
원조 워터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