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13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침산타는 보아라
좋아하는 단편집 속 구절
뒷북 크리스마스 침산타
17
커여운 짤
2
성경 잘알 계신가여
12
지오너 백작이라고 아세요 영접!!
메리 침리스마스 보내셨나요
오겜2 같이보기 해줘요
유급 휴가를 사용 할려는 사원
10
성난 사람들 보는데 병건님 닮은 배우 있네요
6
징산타가 준비한 보너스 크리스마스 선물
1
크리스마스 선물은 택배로 시키면 안 되는 이유.jpg
1
쿠우쿠우 갈 생각에 많이 설렌 사람
4
소심이 교수님
원피스 108권!
3
옥냥이의 원한 언급된 시간대 찾아요(뿌온카때)
여친이랑 신라호텔 가서 100만원 씀
3
241225 백지헌 꿀스타🍯
1
경제 뉴비를 위한 오늘의 경제뉴스 요약(241225) - 잇코노미
19
하얼빈 너무 좋았다(스포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