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3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드라마 조명가게 후기
3
방장님 귓볼에 털이 나는이유 (비오틴은 아닐거같음)
2
빠니보틀님 귀여웡
4
짭구리의 🍖
5
저가요 검색 하다가 호들짝 놀랬지 뭡니까
2
⏺️🔼⏹️(스포주의)
4
보고싶포도 참아
1
어제 갓다온 나무 작가님 침맨 팝업 후기
4
최제니 - 저녁
(*정답드래그*) 2024.12.29 꼬들 꼬오오오오들
12
소식: 오타니 아빠됨!
4
'오징어 게임 시즌2' 감상기
3
디그다 도넛 대참사류 甲
17
개방장의 탈모 대책 조언대로 급히 헤어스타일 조정을 실시해보았습니다
3
음 재미없고요 2개 적립!!!!!
탈모강호
자라나라 머리머리
콘트라 魂斗羅(コントラ) Contra Gryzor 혼두라 1987
자면 안되는데 졸릴 때
3
[추천] 니클라스 루만 - 아르키메데스와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