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1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감동 사연 들려주는데 자료화면이 신경쓰임.jpg
2
침루니
보자마자 지랄하네 나오는 로또 번호.jpg
16
우리집 애기 보고가셔요
20
A형독감 걸려버렸잖슴~
7
찾아요
4
가끔씩 보면 웃긴 방장의 진정성ㅋㅋㅋ
1
(단편만화) 종점
47
수원 30년 갈비집 가보정
33
전현재 - 작지만 소중함들
물방울 표면장력
4
A형독감 검사 주사 맞고 왔어요 ㅠㅠ
7
침바오와 빵애링을 잇는…
18
포케포케 최근 티어덱 관련 업데이트
6
닥터게롤트 vs 구독자.jpg
12
오늘 제가 독감 걸려서 휴방입니다
278
나무13님 팝업에 갔을 뿐인데
1
갤럭시야 고맙다
13
듀오링고 730일차
2
묘생개척 성공신화 귤이에옹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