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4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구쭈 후기
신사분, 저 쪽 레이디께서 보내신 겁니다.
2
맛옾s에 다녀온 전직 마이야르사장님
1
심윤수 작가님이 할미손파이?를 진짜 할미손으로 만들었다고 공포연출 나오는 편이 보고싶습니다....
2
연말에 들으면 따뜻한 음악
클로스 Cloth - Polaroid
박규희, 다비트 라일란트 - 로드리고 아랑후에스 기타 협주곡, 타레가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흑백리뷰 백돈 갑상선암
고등어 참치 라면
4
신년맞이 배도라지 토정비결 보기
침착맨 당신!
2
2024년의 마지막에 쓰는 4분기 애니 총평
1
2024년 마지막 오늘의 침투부
9
일력 아직 살수 있나요??
1
아 야구 안 하니까 심심하네
코디 몇 타치인가요 평가 부탁드립니다.
45
침착티콘 활용도 무쳤잖슴~
2
오늘은 12월 31일입니다.
5
올해 읽은 책
이게 사랑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