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1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질문] 저를 도와주세요 부탁드립니다
3
아재들 추억의 디지털 카메라
3
시진핑 3연임 기념으로 미국에서 준 선물
13
손수호 변호사 초대석 해주세요
설특선 마크서버 열어주세요
1
양세찬 유재석 통천
여기가 그 최후통천 게시판인가요?
1
레오님이랑 합방해주세요
탁재훈(에스파파) - 참 다행이야 락버전
미풍양속
7
중풍
방정리 2주 플랜
3
올 해 아직도 못함
옾bar 만들어주세요
1월 3주차 주말 영화 - 퍼스널 쇼퍼 & 마션
풍물놀이
2
풍선
14
장풍
하코네 무친 2475엔 버거
2
25.01.23. 오늘의 침투부 일력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