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4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25.01.24. 오늘의 침투부 일력
1
Yes, I am Nayeon. Concept Film
폰카로 찍은 학교 고앵이
18
궤도님 새로운 유튜브 콘텐츠 속지말암
1
Chim Guy를 만들어주세요
4
일 잘하는 동사무소 복지계
수능때 주변에서 아무것도 못 받았다는 더쿠 무묭이
7
'풀무원 로고 재건축'에 대한 풀무원 공식 평가
12
통천
조조 담당 일찐
갈수록 떡상하는 캐릭터
1
검은수녀들 후기
6
호들갑
2
월요병 예방약
2
착시
4
AI민수로 거듭나다
1
마데카솔로 사람을 죽이는 방법
4
우원박(박정민) & 지수 이거 진짜에요? ㅡㅡ
[공부 및 튜토리얼 공유] C4D & Redshift로 배우는 기본적인 유리 라이팅 방법과 MS 재질 제작 방법
포폰이 형 "하지만 웃었죠?"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