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본질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공간을 모두 인수분해 해버리면 그 끝엔 여백과 빛만이 남죠. 아무것도 없는 빈 자리를 어떤 것으로 채울지에 따라서 공간의 목적과 용도는 달라집니다. 여백을 비추는 빛의 성격에 따라서 분위기와 질감이 결정되구요. 여백과 빛에 집중해 공간을 탐색한다면 그 어떤 장소도 꽤 흥미로워 집니다. 내가 서 있는 이 장소의 뿌리와 개성을 파헤지는 공간의 계보학 같은 거죠.
어제 시간이 남아서 들린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도 그 두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구 충남도청이라는 정치적 건물답게 차갑고 무거운 석재가 여백을 가득 채우고 있더군요. 공간과 공간 사이는 말끔한 직선으로 구분되어 있구요. 얕은 빛만이 서쪽에서 들어와 복도에 내려앉았습니다. 지나칠 정도로 정적인 공간감의 정체는 이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여러모로 모-던한 건물이었네요.













댓글
고추사냥
2시간전
갬성 미쳤다.. 미친! 너무 좋아용~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메달리스트 그렇게 극찬하는데
4
사과게임.. 너무 화나서 AI 형님 불러왔습니다
18
초선 이쁘다 흐흐흐
전무님 일본 접시춤 추는 영상 아시는 분!
2
[추천] 오기가미 나오코 - 고양이를 빌려드립니다
우와ㅏㅏ 지금 돈치치 트레이드로 정신 나갈거 같아요
2
4렙으로8렙이기기스엉공!!!!!!!!!!!!
3
침착맨 포켓몬 카드 공식 콜라보 ? ㄷㄷ
11
버거(Burger)를 동양화로 표현해봤다
12
우도환 초대석해주세오
???:우리도 관심 좀 가져줘
2
모녀상봉
3
솔찬히 돈치치로 우승은 힘들다 생각함
17
쌍베 “2월 중순에 병건성님 스튜디오에 갑니다”
3
250202 시은 인스타그램
1
합법적 원펀데이 이론
2
돈치치-AD 트레이드면 이 분 어캄?
1
LA-댈러스-유타 3각딜
5
250202 이새롬 롬스타🦊
관악산 풍경.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