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문화산업에 대한 단상

보리건빵6
15시간전
·
조회 307

저는 태어나서 웹소설이라고는 최근에 딱 하나 봤습니다.

약 700편으로 완결된 작품인데요,

장르가 좀 마이너라 엄청 인기 있진 않았던 거 같아요.

 

그걸 보는 내내 작가의 엄청난 생산성이 신기했어요.

연재분 초기와 나중을 비교해 보니까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작가의 실력이 엄청난 거 같아..

그런데 생산성을 위해 얼마나 많이 타협한 거지!?

 

댓글을 보면서는 또 이랬어요.

 

웹소설 시장의 독자들은 민감하고 똑똑하다

예술성까지 포함해 글을 소비하고 있어!

 

생각해 보면 당연하죠.. 웹소설이란 게
‘눈물을 마시는 새’ 같은 걸 낳던 시장이

더 고도화된 것이잖아요!?

 


웹소설 유통 비용은 이미 음수가 됐습니다.

인터넷에서는 오히려 ‘스팸’ 광고가 문제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초장문’이 골칫거리에요.

초장문에 걸맞 알맹이가 있으면 괜찮은데,

아닌 경우가 더 많거든요.

 

문화 텐츠 유통 비용은 꾸준히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갈등이 계속 심화되고 있어요. 

 

인문, 예술적 가치 vs 재미, 오락성

 

대중문화는 수천 년 동안 ‘천한 것’이었습니다.

삼국지연의도 당연히 그렇고,

판타지와 SF도 ‘현실 도피'라고 비난당했어요.

 

만화 시장도 이런 경험을 했을 겁니다.

물론 ‘유통 비용 감소’로 자유경쟁도 촉진되는 변화도 겪고요.

 

상업 영화 시장도 본래 그러하였을 것입니다.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을 보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나 관련 정보를 찾다가

최근의 생각들에 대해 결론을 내렸습니다.

 

극한의 재미 경쟁에서 살아남은 문화 콘텐츠에는

최소한, 그 경쟁의 치열함에 비례하는 인문학/예술적 가치는 담겨 있다 

 

보통은 그보다 더 많은 인문학/예술적 가치가 있겠죠.

아무튼 최소한은 보장이 된단 말입니다.


 

이게 문화 텐츠에만 적용되는 얘기도 아니죠.

 

예전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도는 글을 봤는데,

푸앵카레의 추측을 풀어낸 수학자가 은둔한 이유로

326쪽의 저질 논문 공격이 언급되더라고요?

 

학계도 좀 느리지만 소설시장과 같은 변화를 겪고 있잖아요.

 

공격한 쪽도 알맹이, 생산성 다 챙기는 데 성공해서

그렇게 공격할 입지를 확보하고 있었겠죠..

다만 상대를 잘못 골라서 스팸 공격 취급 받았고요.

 

저도 생산성을 높이려고 나름 노력 해왔는데요,

스팸 공격자가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습니다.

댓글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15시간전
빨간안경아저씨가 맨날 그러잖아요
마블영화에도 예술성이 있고 예술영화에도 상업성이 있다
재우주
14시간전
글 문맥이 좀 이상한 것 같아요
보리건빵6 글쓴이
14시간전
죄송해요.. 실력 문제인데 구상 단계에서 막 점프했던 걸 수습을 잘 못 해요
재우주
14시간전
재미를 최대한으로 챙겼으면 그것도 예술로 봐줘야 한다는 말씀인 거죠?
학계 얘기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잘 안 와닿는 것 같습니다.
@보리건빵6
보리건빵6 글쓴이
14시간전
웹소설 독자들도 예술성 즐길 줄 알고 수준이 꽤 높은데,
예술 면에서 엉망인 작품이 성공했다면,
다른 부분에서 그걸 보충하고 남을 정도로
커다란 울림이 있었던 거예요
이 경우, ‘사람들이 어떤 요소에 크게 흥미를 느꼈다’라는 사실 자체로
인문학적 가치가 크다고 생각해요
@재우주
하깨팔이
12시간전
저도 내용과 상관 없는 얘기라 죄송합니다만 문맥이 점핑되고 어려운 이유는 아마 선생님께서 여러 사례들을 보며 종합적으로 사유하신 내용을 한번에 서술하는 과정에서, 읽는 사람들은 모를 수도 있는 사례를 설명 없이 꺼내셔서 그런 것 같습니다.
마치 같은 초등학교를 나오지 않은 동창에게 '그때 우리 학교 쌤도 그랬잖아~' 라는 말을 듣는 느낌이랄까요? ㅎㅎ
전체적인 주제는 얼추 윗횐님처럼 이해하긴 했지만 특히나 학계 논문 일화는 은둔 고수가 공격을 당했다는 말이 무슨 얘긴지 전혀 감이 안 와서 연관을 시키기 어렵더라구요. 뛰어난 내용임에도 대중적 소통을 하지 않아서 여론전에 의해 폄하 당할 뻔했다...?이런 내용일까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해서 여쭙니다.
@보리건빵6
보리건빵6 글쓴이
7시간전
에서 ’야우 씽퉁‘에 관한 내용을 보시면 됩니다. 커뮤에 퍼진 버전은 ‘푸앵카레 짱X’, ‘러시아의 천재 수학자 짜집기’ 정도로 검색하시면 바로 나와요
@하깨팔이
뚜자서
14시간전
모든 신규 문화콘텐츠 시장은 처음에 멸시를 받을지 몰라도 나중에는 고전을 배출하죠. 예시로 드신 삼국지연의도 적절한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단순히 상업성을 가지고 시장을 비판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에는 공감이 가네요.
그렇다고 반드시 '성공한 작품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고 보는 것도 주의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장이 크면 잘 쓴 작품이 묻히거나 못 쓴 작품이 반짝 뜨는 일이 빈번한데, 그렇게 되면 흥행과 작품성 내지 상업성 간의 인과가 그리 뚜렷하지 않다는 얘기니까 헛발질을 할 수 있잖아요. 요게 생각외로 흔한 케이스 같아서 좀 더 경계해볼 만도 하지 않나 합니다.
보리건빵6 글쓴이
13시간전
그렇네요. 경계가 필요하겠어요..
요런 것에 관해 찾아보니 게이트키퍼란 표현이 많이 쓰이던데, 언급하신 문제도 상당부분 게이트 키퍼가 강화되면서 나타나는 것 같아요. 물론 우린 게이트키퍼를 강화하지 않고 시장을 키우는 방법을 모르고요.. 그래도 점점 나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게이트키퍼의 필요를 줄이거나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공중화장실 함부로 쓰면 안 되는 이유 1
유머
여섯시내고향
·
조회수 812
·
04.08
요즘 히어로물 특
유머
맵찌리찌릿삑궷츢
·
조회수 807
·
04.08
주식 감히 말해봄
침착맨
AMZN몰빵
·
조회수 811
·
04.08
조지. 절대 내가 여기 있는걸 말하지 마렴 4
유머
바이코딘
·
조회수 4788
·
04.08
배트맨이 검은 옷만 입는 이유.jpg 1
유머
바이코딘
·
조회수 972
·
04.08
아침에 주식 할때마다 생각나서 피식함 21
침착맨
마곡나룻
·
조회수 5847
·
04.08
모수 42만원이 비싸다 하는게 이해 안됨.jpg 1
유머
바이코딘
·
조회수 1087
·
04.08
이게 사람이면 양심이 없는거지. (250406 아이브, 장원영) 2
취미
만채는죄가없다
·
조회수 682
·
04.08
모비노기 우편함 개선됨 5
취미
짱갈래종수짱
·
조회수 698
·
04.08
전무님에게 한 수 배웠다는 의사
침착맨
어려워서잘풀겠는데요
·
조회수 916
·
04.08
존투 달리기 7~11일지
취미
익게핸드크림
·
조회수 507
·
04.08
(*정답드래그*) 2025.04.08 꼬들 꼬오오오오들 6
취미
오프라인
·
조회수 618
·
04.08
심규선 - HUMBLE 1
취미
룸메이트
·
조회수 587
·
04.08
조선시대 능행에 관하여 7
유머
퍼스트디센던트많관부
·
조회수 940
·
04.08
불법 연주단 2
취미
뇌절탐정이왕건
·
조회수 752
·
04.08
제가 옛날 영상 보는데 김기열 횐님이 침착맨을 좋아하는 이유를 알아씁니다. 1
침착맨
뇌절탐정이왕건
·
조회수 957
·
04.08
아장아장걷는 귀요미 케릭터 2
취미
고추사냥
·
조회수 716
·
04.08
요즘 야구판에 자꾸 정준하가 소환되는 이유 1
취미
옾월량
·
조회수 861
·
04.08
흑우아빠와 차가운 넥슨 1
인방
짱갈래종수짱
·
조회수 803
·
04.08
성게를 먹기 위해 해녀를 찾는 다른 물고기들과 다른 이유로 해녀를 찾는 물고기 14
유머
옾월량
·
조회수 4758
·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