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문화산업에 대한 단상

보리건빵6
15시간전
·
조회 309

저는 태어나서 웹소설이라고는 최근에 딱 하나 봤습니다.

약 700편으로 완결된 작품인데요,

장르가 좀 마이너라 엄청 인기 있진 않았던 거 같아요.

 

그걸 보는 내내 작가의 엄청난 생산성이 신기했어요.

연재분 초기와 나중을 비교해 보니까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작가의 실력이 엄청난 거 같아..

그런데 생산성을 위해 얼마나 많이 타협한 거지!?

 

댓글을 보면서는 또 이랬어요.

 

웹소설 시장의 독자들은 민감하고 똑똑하다

예술성까지 포함해 글을 소비하고 있어!

 

생각해 보면 당연하죠.. 웹소설이란 게
‘눈물을 마시는 새’ 같은 걸 낳던 시장이

더 고도화된 것이잖아요!?

 


웹소설 유통 비용은 이미 음수가 됐습니다.

인터넷에서는 오히려 ‘스팸’ 광고가 문제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초장문’이 골칫거리에요.

초장문에 걸맞 알맹이가 있으면 괜찮은데,

아닌 경우가 더 많거든요.

 

문화 텐츠 유통 비용은 꾸준히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갈등이 계속 심화되고 있어요. 

 

인문, 예술적 가치 vs 재미, 오락성

 

대중문화는 수천 년 동안 ‘천한 것’이었습니다.

삼국지연의도 당연히 그렇고,

판타지와 SF도 ‘현실 도피'라고 비난당했어요.

 

만화 시장도 이런 경험을 했을 겁니다.

물론 ‘유통 비용 감소’로 자유경쟁도 촉진되는 변화도 겪고요.

 

상업 영화 시장도 본래 그러하였을 것입니다.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을 보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나 관련 정보를 찾다가

최근의 생각들에 대해 결론을 내렸습니다.

 

극한의 재미 경쟁에서 살아남은 문화 콘텐츠에는

최소한, 그 경쟁의 치열함에 비례하는 인문학/예술적 가치는 담겨 있다 

 

보통은 그보다 더 많은 인문학/예술적 가치가 있겠죠.

아무튼 최소한은 보장이 된단 말입니다.


 

이게 문화 텐츠에만 적용되는 얘기도 아니죠.

 

예전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도는 글을 봤는데,

푸앵카레의 추측을 풀어낸 수학자가 은둔한 이유로

326쪽의 저질 논문 공격이 언급되더라고요?

 

학계도 좀 느리지만 소설시장과 같은 변화를 겪고 있잖아요.

 

공격한 쪽도 알맹이, 생산성 다 챙기는 데 성공해서

그렇게 공격할 입지를 확보하고 있었겠죠..

다만 상대를 잘못 골라서 스팸 공격 취급 받았고요.

 

저도 생산성을 높이려고 나름 노력 해왔는데요,

스팸 공격자가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습니다.

댓글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15시간전
빨간안경아저씨가 맨날 그러잖아요
마블영화에도 예술성이 있고 예술영화에도 상업성이 있다
재우주
14시간전
글 문맥이 좀 이상한 것 같아요
보리건빵6 글쓴이
14시간전
죄송해요.. 실력 문제인데 구상 단계에서 막 점프했던 걸 수습을 잘 못 해요
재우주
14시간전
재미를 최대한으로 챙겼으면 그것도 예술로 봐줘야 한다는 말씀인 거죠?
학계 얘기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잘 안 와닿는 것 같습니다.
@보리건빵6
보리건빵6 글쓴이
14시간전
웹소설 독자들도 예술성 즐길 줄 알고 수준이 꽤 높은데,
예술 면에서 엉망인 작품이 성공했다면,
다른 부분에서 그걸 보충하고 남을 정도로
커다란 울림이 있었던 거예요
이 경우, ‘사람들이 어떤 요소에 크게 흥미를 느꼈다’라는 사실 자체로
인문학적 가치가 크다고 생각해요
@재우주
하깨팔이
12시간전
저도 내용과 상관 없는 얘기라 죄송합니다만 문맥이 점핑되고 어려운 이유는 아마 선생님께서 여러 사례들을 보며 종합적으로 사유하신 내용을 한번에 서술하는 과정에서, 읽는 사람들은 모를 수도 있는 사례를 설명 없이 꺼내셔서 그런 것 같습니다.
마치 같은 초등학교를 나오지 않은 동창에게 '그때 우리 학교 쌤도 그랬잖아~' 라는 말을 듣는 느낌이랄까요? ㅎㅎ
전체적인 주제는 얼추 윗횐님처럼 이해하긴 했지만 특히나 학계 논문 일화는 은둔 고수가 공격을 당했다는 말이 무슨 얘긴지 전혀 감이 안 와서 연관을 시키기 어렵더라구요. 뛰어난 내용임에도 대중적 소통을 하지 않아서 여론전에 의해 폄하 당할 뻔했다...?이런 내용일까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해서 여쭙니다.
@보리건빵6
보리건빵6 글쓴이
7시간전
에서 ’야우 씽퉁‘에 관한 내용을 보시면 됩니다. 커뮤에 퍼진 버전은 ‘푸앵카레 짱X’, ‘러시아의 천재 수학자 짜집기’ 정도로 검색하시면 바로 나와요
@하깨팔이
뚜자서
14시간전
모든 신규 문화콘텐츠 시장은 처음에 멸시를 받을지 몰라도 나중에는 고전을 배출하죠. 예시로 드신 삼국지연의도 적절한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단순히 상업성을 가지고 시장을 비판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에는 공감이 가네요.
그렇다고 반드시 '성공한 작품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고 보는 것도 주의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장이 크면 잘 쓴 작품이 묻히거나 못 쓴 작품이 반짝 뜨는 일이 빈번한데, 그렇게 되면 흥행과 작품성 내지 상업성 간의 인과가 그리 뚜렷하지 않다는 얘기니까 헛발질을 할 수 있잖아요. 요게 생각외로 흔한 케이스 같아서 좀 더 경계해볼 만도 하지 않나 합니다.
보리건빵6 글쓴이
13시간전
그렇네요. 경계가 필요하겠어요..
요런 것에 관해 찾아보니 게이트키퍼란 표현이 많이 쓰이던데, 언급하신 문제도 상당부분 게이트 키퍼가 강화되면서 나타나는 것 같아요. 물론 우린 게이트키퍼를 강화하지 않고 시장을 키우는 방법을 모르고요.. 그래도 점점 나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게이트키퍼의 필요를 줄이거나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뭔가가 뭔가인 주차된 차량 2
유머
푸르로닝
·
조회수 879
·
04.08
세븐틴 라이브의 참맛
취미
침아해
·
조회수 658
·
04.08
동물 다큐 하나 감상하시죠 1
침투부 공유
그냥질라
·
조회수 479
·
04.08
침바오 가방이랑 모자를 삼 2
취미
침낙수나문
·
조회수 527
·
04.08
호주 시드니 신혼여행 8
여행점검
강아쥠
·
조회수 609
·
04.08
💗IVE 3RD 팬콘 1층 DIVE LOG🤍 2
취미
침착한까마구
·
조회수 535
·
04.08
침착맨이 단 댓글을 따로 모아보거나 그럴순 없는건가요?? 4
침착맨
사실이아닙니다
·
조회수 1052
·
04.08
정일영 선생님께 올해의 인물상 전달된 건가요?
침착맨
핑구의아코디언
·
조회수 890
·
04.08
중국 음식(food) 정복 2탄
여행점검
침착해마린기
·
조회수 524
·
04.08
[4K] the Fillin' Live ep 18. 아일릿 | 잇츠라이브
취미
토냥천사
·
조회수 608
·
04.08
몇 번을 꽈!! /버럭하는 영상 찾아요.. 2
침투부 공유
wnsldjt
·
조회수 447
·
04.08
페예노르트, 배승균 영입
취미
iㅅi
·
조회수 602
·
04.08
사진 한장 때문에 친일파로 몰렸던 인물.jpg 1
유머
바이코딘
·
조회수 1026
·
04.08
어마이 환갑 여행 준비중입니다 1
여행점검
김짱석짱진
·
조회수 556
·
04.08
🩳 𝑀𝐸𝑂𝑊 #아이브 #리즈 1
취미
침착한까마구
·
조회수 651
·
04.08
통천님 잘먹겠읍니다
취미
병건을침착하게
·
조회수 635
·
04.08
또 밖으로 굽는 팔 26
침착맨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
조회수 7653
·
04.08
방송해줘요는 아닌데 이거 해주시면 안될까요?
방송 해줘요
치무차쿠만
·
조회수 581
·
04.08
TWICE 5th BEST ALBUM『#TWICE5』 Jacket Teaser Video 나연, 정연. 모모
취미
쿤하로
·
조회수 611
·
04.08
[우마무스메] 챔피언스 미팅 LONG 의 결과는 3
취미
네글자
·
조회수 553
·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