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로 인기!
용건만 간단히, 움짤은 한 번 더 생각
금병영에 상의하세요
야생의 이벤트가 열렸다
즐겨찾기
최근방문

문화산업에 대한 단상

보리건빵6
2시간전
·
조회 184

저는 태어나서 웹소설이라고는 최근에 딱 하나 봤습니다.

약 700편으로 완결된 작품인데요,

장르가 좀 마이너라 엄청 인기 있진 않았던 거 같아요.

 

그걸 보는 내내 작가의 엄청난 생산성이 신기했어요.

연재분 초기와 나중을 비교해 보니까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작가의 실력이 엄청난 거 같아..

그런데 생산성을 위해 얼마나 많이 타협한 거지!?

 

댓글을 보면서는 또 이랬어요.

 

웹소설 시장의 독자들은 민감하고 똑똑하다

예술성까지 포함해 글을 소비하고 있어!

 

생각해 보면 당연하죠.. 웹소설이란 게
‘눈물을 마시는 새’ 같은 걸 낳던 시장이

더 고도화된 것이잖아요!?

 


웹소설 유통 비용은 이미 음수가 됐습니다.

인터넷에서는 오히려 ‘스팸’ 광고가 문제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초장문’이 골칫거리에요.

초장문에 걸맞 알맹이가 있으면 괜찮은데,

아닌 경우가 더 많거든요.

 

문화 텐츠 유통 비용은 꾸준히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갈등이 계속 심화되고 있어요. 

 

인문, 예술적 가치 vs 재미, 오락성

 

대중문화는 수천 년 동안 ‘천한 것’이었습니다.

삼국지연의도 당연히 그렇고,

판타지와 SF도 ‘현실 도피'라고 비난당했어요.

 

만화 시장도 이런 경험을 했을 겁니다.

물론 ‘유통 비용 감소’로 자유경쟁도 촉진되는 변화도 겪고요.

 

상업 영화 시장도 본래 그러하였을 것입니다.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을 보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나 관련 정보를 찾다가

최근의 생각들에 대해 결론을 내렸습니다.

 

극한의 재미 경쟁에서 살아남은 문화 콘텐츠에는

최소한, 그 경쟁의 치열함에 비례하는 인문학/예술적 가치는 담겨 있다 

 

보통은 그보다 더 많은 인문학/예술적 가치가 있겠죠.

아무튼 최소한은 보장이 된단 말입니다.


 

이게 문화 텐츠에만 적용되는 얘기도 아니죠.

 

예전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도는 글을 봤는데,

푸앵카레의 추측을 풀어낸 수학자가 은둔한 이유로

326쪽의 저질 논문 공격이 언급되더라고요?

 

학계도 좀 느리지만 소설시장과 같은 변화를 겪고 있잖아요.

 

공격한 쪽도 알맹이, 생산성 다 챙기는 데 성공해서

그렇게 공격할 입지를 확보하고 있었겠죠..

다만 상대를 잘못 골라서 스팸 공격 취급 받았고요.

 

저도 생산성을 높이려고 나름 노력 해왔는데요,

스팸 공격자가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습니다.

댓글
썬더블러프차돌짬뽕진동토템
2시간전
빨간안경아저씨가 맨날 그러잖아요
마블영화에도 예술성이 있고 예술영화에도 상업성이 있다
재우주
2시간전
글 문맥이 좀 이상한 것 같아요
보리건빵6 글쓴이
2시간전
죄송해요.. 실력 문제인데 구상 단계에서 막 점프했던 걸 수습을 잘 못 해요
재우주
2시간전
재미를 최대한으로 챙겼으면 그것도 예술로 봐줘야 한다는 말씀인 거죠?
학계 얘기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잘 안 와닿는 것 같습니다.
@보리건빵6
보리건빵6 글쓴이
1시간전
웹소설 독자들도 예술성 즐길 줄 알고 수준이 꽤 높은데,
예술 면에서 엉망인 작품이 성공했다면,
다른 부분에서 그걸 보충하고 남을 정도로
커다란 울림이 있었던 거예요
이 경우, ‘사람들이 어떤 요소에 크게 흥미를 느꼈다’라는 사실 자체로
인문학적 가치가 크다고 생각해요
@재우주
뚜자서
1시간전
모든 신규 문화콘텐츠 시장은 처음에 멸시를 받을지 몰라도 나중에는 고전을 배출하죠. 예시로 드신 삼국지연의도 적절한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단순히 상업성을 가지고 시장을 비판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에는 공감이 가네요.
그렇다고 반드시 '성공한 작품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고 보는 것도 주의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장이 크면 잘 쓴 작품이 묻히거나 못 쓴 작품이 반짝 뜨는 일이 빈번한데, 그렇게 되면 흥행과 작품성 내지 상업성 간의 인과가 그리 뚜렷하지 않다는 얘기니까 헛발질을 할 수 있잖아요. 요게 생각외로 흔한 케이스 같아서 좀 더 경계해볼 만도 하지 않나 합니다.
보리건빵6 글쓴이
1시간전
그렇네요. 경계가 필요하겠어요..
요런 것에 관해 찾아보니 게이트키퍼란 표현이 많이 쓰이던데, 언급하신 문제도 상당부분 게이트 키퍼가 강화되면서 나타나는 것 같아요. 물론 우린 게이트키퍼를 강화하지 않고 시장을 키우는 방법을 모르고요.. 그래도 점점 나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구쭈 전체 인기글 전체글

둘이 진짜 사귀냐?? 16
침착맨 짤
호에에엥에엥이왜진
·
조회수 9618
·
01.11
🎊🎊🎊 하얼빈 400만 돌파 🎊🎊🎊 9
취미
지떨코
·
조회수 4204
·
01.11
침투부 역사자료 보관 2
구쭈 후기
전문댓글팀
·
조회수 753
·
01.11
번역가 황석희님과 합방 해주세요 1
방송 해줘요
아꺼지라긔
·
조회수 831
·
01.11
버럭신 202 트리플더블 (요키치 동반 트더)
취미
프렌지
·
조회수 728
·
01.11
드라마에서 침착맨 피자열판 쏘는거 나온거 봄??? 6
호들갑
거어문거어문
·
조회수 1027
·
01.11
지피티야 양자컴퓨터주 산 친구를 놀리는 방법을 알려줘. 15
유머
침느님이병건
·
조회수 5980
·
01.11
난 최선을 다한다 비록 그게 초등학생일 지라도 2
취미
Swing
·
조회수 1027
·
01.11
1월 11일 1시 11분 호에엑 1
호들갑
2쁜둥이
·
조회수 792
·
01.11
한밤중에 앙앙대는 교회 2
유머
엽기떡볶이
·
조회수 1193
·
01.11
원피스랑 콜라보한 기영이숯불두마리치킨 먹방 해줘요 2
방송 해줘요
침덩이탐정
·
조회수 838
·
01.11
치과에서 돈가스 찾는 아이 8
유머
여섯시내고향
·
조회수 4891
·
01.11
결국 폭로된 톰 홀랜드 스파이더맨 촬영장 논란 8
유머
여섯시내고향
·
조회수 7133
·
01.11
통천X순두부X👍 4
인방
내맘대로
·
조회수 1160
·
01.11
게 포박 3
유머
옾월량
·
조회수 1081
·
01.11
터모일(Turmoil) 무료 배포 중 1
취미
강동의이병건개방장사랑해
·
조회수 829
·
01.11
건국 이래 최초로 열린 부사관 전역식 2
유머
옾월량
·
조회수 1263
·
01.11
Ai의 발전이 감사한 이유
침착맨
호에에엥에엥이왜진
·
조회수 1037
·
01.11
아재서버 아이디어 말해봅니다 4
방송 해줘요
AMZN몰빵
·
조회수 923
·
01.11
??? : ㄴ .. 니, 중국어 왜 할 줄 아니 ? 4
유머
푸르로닝
·
조회수 5601
·
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