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쓴 라틴어 명사편과 이어집니다. https://chimhaha.net/orbit/58822
안녕, 라틴어하수 정수론민수가 돌아왔다!
지난 편 라틴어 명사편이 생각보다 반응이 좋아서, 오늘은 라틴어 형용사를 소개해볼까 해.
생각해보니, 보통 외국어는 인사나 자기소개라도 배우고 시작하는데, 지난 편에서 그런거 없이 문법부터 냅다 박았나 싶더라구. 그래서 오늘은 먼저 인사말과 자기소개를 알려줄게. 전생했는데 로마에 태어날 걸 대비해 잘 외워둬.
안녕하세요
한명을 대상으로 Salve(살웨)
여러명을 대상으로 Salvete(살웨테)
이 말은 salveo(건강하다/안녕하다)의 명령형이야. 즉 건강하십시오, 안녕하십시오 라는 뜻이지.
제 이름은 XXX입니다.
Mihi nomen est XXX. (미히 노멘 에스트 XXX)
nomen은 이름이란 뜻이야. est는 영어의 be동사 is에 해당해.
재밌는건 mihi인데 '나를 위한'이란 뜻이야. 즉 '나의 이름은'이 아니라 '나를 위한 이름은'이라는, 한국어로 번역하면 요상한 문장이 되어버려.
자 이제 지나가다 로마 병사를 마주치면 자신있게 다가가 인사 건네자!
Salve, Mihi nomen est Chadolus, Romani ite domum(로마니 이테 도뭄)!!
안녕, 내 이름은 차돌루스야. 로마인들은 집에나 가라!!
(사실 고대 로마에서는 ch를 ㅊ가 아니라 ㅋ로 발음했어. 중세 교회 라틴어에서 ch를 ㅊ로 발음한 거 같아.)

몬티 파이톤의 ‘라이프 오브 브라이언’의 명장면 중 하나, 로마인들은 집에나 가라!
그나저나 지난편엔 라틴어 이름은 -us나 -a로 끝나는게 많아.
왜냐하면 이름도 명사기 때문에 다른 명사들처럼 격변환을 거쳐줘야 하거든.
(-es로 끝나는 이름들도 많은데, 이건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이름들인 경우가 많대)
그래서 ‘침착맨' 이라는 이름을 쓰면, 문법에 따라 격변환을 할 때마다 골치가 아파져
반면 ‘침차쿠스’라는 이름을 쓰면, 다른 -us 형태의 명사들의 규칙에 맞게 격변환을 하면 되지.
풍수지리야는 전무스, 몽키 D 두피는 대인베스, 가라아게 유이는 통처니아, 트라이애슬론은 차돌루스 이런 이름이 로마에 가면 더 쓰기 편할거야.
라틴어 형용사편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단어야. 영어, 한국어, 일본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보다 앞에 온다는 특징이 있어.
예쁜 꽃
pretty flower
綺麗な花(키레이나 하나)
하지만 라틴어는 반대로 형용사가 명사 뒤에 와. 라틴어도 한국어처럼 어순의 제약을 덜 받는 언어다보니, 항상 명사-형용사 꼴로 쓰는건 아니야. 하지만 지금까지 내가 봐온 교과서와 텍스트는 거진 그렇더라구. 즉 예쁜/아름다운(pulcher) 꽃(flos)을 라틴어로 하면 flos pulcher(플로스 풀케르)가 돼.
자 그런데 여기서 또 골치아픈 규칙이 있어. 아래 예제들을 볼까?
예쁜 소년 puer pulcher(푸에르 풀케르)
예쁜 소녀 puella pulchra(푸엘라 풀크라)
예쁜 사과 malum pulchrum(말룸 풀크룸)
다 같은 '예쁜'이라는 단어인데, 그 수식하는 명사에 따라서 pulcher, pulchra, pulchrum 이렇게 다른 형태가 되었어. 어째서?! 왜?! 그건 예쁘다(pulcher)라는 말이 수식하는 명사의 성별이 모두 달라서야.
소년 puer는 남성 명사니까 pulcher,
소녀 puella는 여성 명사니까 pulchra,
사과 malum은 중성 명사니까 pulchrum.
즉, 명사는 성별이 정해져있지만, 형용사는 그것을 수식하는 명사에 맞게 성별을 맞춰야 해. 즉, 각각의 형용사는 남성형, 여성형, 중성형이 따로 있다는 뜻이지. (아직 우시면 안됩니다.)
그런데 더욱 끔찍한 사실은... 형용사는 단순히 명사의 성별만 맞춰주는 것에서 그치면 안된다는 거야. 지난번에 명사는 수(단/복수)와 격(주/속/여/대/탈/호)이 있다고 했지? 형용사 역시 수식하는 명사의 수와 격을 맞춰줘야해. (여기서 우시면 됩니다.)
즉 명사는 수와 격 때문에 고작 12개의 형태 '밖에' 없지만
형용사는 성별, 수, 격 때문에 총 36개 형태가 있다!

bonus(보누스; 좋다)의 성/수/격 변환. 우리가 보너스! 라고 하는게 여기서 온 말이야.
뭐 동사는 주어의 수와 인칭, 평서/가정, 시제 다 따지면 60개의 형태가 있으니까 아무렴 동사보단 낫지.
그나마 다행인 점은, 형용사의 변환은 명사의 변환과 일치해.
예컨대 puer의 단수 격변환이
puer, pueri, puero, puerum, puero, puer 였잖아 (푸에르, 푸에리, 푸에로, 푸에룸, 푸에로, 푸에르)
예쁘다 pulcher의 단수 남성형 격변환은
pulcher, pulchri, pulchro, pulchrum, pulchro, pulcher 거든. (풀케르, 풀크리, 풀크로, 풀크룸, 풀크로, 풀케르)
속격은 -이로 끝난다, 여/탈격은 -오로 끝난다. 대격은 -움으로 끝난다 등, 명사에 적용됐던 규칙이 형용사에도 똑같이 적용됐어.
덕분에 라틴어는 읽다보면, 명사/형용사가 라임이 잘 맞아떨어지는 걸 느낄 수 있어.
자 그러면 예를 들어보자.
늙은 노예가 예쁜 소녀에게 빨간 사과들을 준다.
라는 문장을 번역해보고 싶다고 치자! 잠깐 심호흡부터 하고!
주어는 노예(servus), 즉 단수 주격 servus(세르우스)를 써야하고
간접목적어는 소녀(puella), 즉 단수 여격 puellae(푸엘라이)를 써야하고
직접목적어는 사과들(malum), 즉 복수 대격 mala(말라)를 써야해.
늙다의 단수 남성형 주격은 vetus(웨투스)이고,
예쁘다의 단수 여성형 여격은 pulchrae(풀크라이)고
빨갛다의 복수 중성형 대격은 rosea(로세아)야.
형용사는 명사 뒤에 온다고 했지? 즉 늙은 노예는 sevus vetus, 예쁜 소녀에게는 puellae pulchrae, 빨간 사과들을은 mala rosea야. 주다라는 동사의 3인칭 단수 평서 현재 형태는 dat니까 이걸 합쳐보면.
Servus vetus puellae pulchrae mala rosea dat.
세르우스 웨투스 푸엘라이 풀크라이 말라 로세아 다트.

노예(servus)도 배웠으니, 노예는 두번 찌른다를 라틴어로 하면 Servus bis pungit (세르우스 비스 푼기트)
보통 한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인데 비해, 영어는 주어-동사-목적어라 처음에 공부할 때 애를 먹었지? 그럼 라틴어는 어떨까? 한국어처럼 대개 주어-목적어-동사를 쓰지만, 꼭 그래야 할 필요는 없어.
예컨대, ‘나는 너를 사랑해’라는 문장이 더 자연스럽지만, '사랑해 너는 나를' 이라는 문장도 의미를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어. 조사 ‘는’이 주어가 무엇인지 알려주고, 조사 ‘를’은 목적어가 무엇인지 알려주니까! 그래서 ‘너는’이 문장 맨 끝에가도, ‘나를’이 문장 맨 앞에 와도 문장의 의미가 왜곡되는 일이 없지.
라틴어에는 조사가 없지만, 대신 명사의 격을 보면 주어와 목적어를 파악할 수 있어. 그러다보니 문장의 배치에 대해 자유롭고, 한국어만큼이나 다양한 도치를 적용할 수 있지.
영어는 안되는데 라틴어는 되잖슴~~~
그래서 원한다면 방금 전의 문장을
Puellae pulchrae servus vetus mala rosea dat
예쁜 소녀에게 늙은 노예는 빨간 사과들을 준다
혹은
Mala rosea servus vetus puellae pulchrae dat
빨간 사과들을 늙은 노예는 예쁜 소녀에게 준다
라고 해도 괜찮아.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죽을 맛이지. 명사를 보면 주어와 목적어를 파악해야 하고, 형용사를 보면 무엇을 수식해야하는지 파악해야 하니까. 그래서 문장을 번역하는게 굉장히 까다로워지지만, 그래도 뜻이 와전될 일은 적다는 장점은 있어.

예전에 작성자가 라틴어 수업 2년차 때 사용했던 교과서. 문법 해석만으로 책이 걸레짝이 된다.
책 내용은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ab urbe condita)
오늘도 몇가지 유명한 문구를 가져와볼까 했는데, 아쉽게도 형용사와 명사로 이뤄진 라틴어 문구는 별로 없더라구. (동사까지 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래서 아쉽지만 오늘은 번역 파트는 넘어가도록 하고, 다음에 동사 편에서 더 많은 라틴어 문구 번역을 시도해볼게.
마지막으로 내가 이 글을 쓰면서 참고하는 자료들을 몇가지 소개해보면...
1. Latin Tutorial - 라틴어 강의 유튜브. 나도 문법 확인/복습 차 종종 다시 봄.
2. Latin-online-dictionary - 라틴어-영어 사전. UI가 좀 별로지만, 형태변환은 기가막히게 잘 기록해놓음.
3. Wiktionary - 위키판 언어사전. 라틴어 뿐만 아니라, 그 라틴어가 다른 나라 말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도 볼 수 있음.
4. Wikipedia Latin phrases - 위키피디아에 유명한 라틴어 문구들 모두 모아놓은 문서가 있음. 예제같은 거 찾을 때 주로 애용함.
그럼 모두들 Valete(왈레테; 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