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신탄영(弓身彈影)
허공에서 몸을 뒤로 활처럼 휘었다가 앞으로 튕기며 그 탄력을 이용해 이동하는 절정신법. 상천제와 함께 전형적인 물리법칙 위반 신법이다. 설명으로는 매우 간단하고 누구라도 쓸 만한 신법으로 여겨지나 내공의 운용 타이밍과 몸의 정밀한 제어 등이 요구되는 신법으로 실전에서 유용하게 쓰는 사람이 거의 없어 사장되었다는 묘사가 많다.

금리도천파(金鯉倒千波)
금잉어가 엄청난 파도를 넘는다는 이름처럼 잉어의 몸놀림을 본따 만든 경신법. 몸을 틀어 그 탄력을 이용해 순식간에 이동한다.


나한기공(羅漢氣功)
기로써 내장을 보호하는 대표적인 기공



대붕전시(大鵬轉翅)
경공의 일종, 또는 경지의 일종.
온몸을 빙글빙글 회전시키면서 회전력을 통해 속도를 줄여 착지하는 경공. 평사낙안처럼 낙법이나 착지법에 가깝다.

어풍비행(御風飛行)
바람을 타고 먼 거리를 쏜살같이 달리는 상승경공. 땅에 발을 딛지 않고도 달리는 것이 가능하다. 땅을 한 번 박차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경공.
경공의 경지가 더 높아지면 아예 발을 땅에 대지도 않는다.

어기충소(御氣衝溯)
기를 다루어 거스른다, 혹은 하늘에 솟구친다는 의미

유운신법(流雲身法)
하늘에 떠다니는 자유로운 구름이 되어 세상을 누비겠다는 무당의 2대 신법 중 하나

부운답월(浮雲踏月)
떠가는 구름을 밟고 달에 닿는다는 의미의 경공.

타구봉법(打拘棒法)
개방이 자랑하는 최고의 무공이다. 본래 이 봉법은 개방의 조사가 창시하였던 것인데, 조사보다 무공이 더 강했던 개방의 3대 방주가 기존의 초식에 기묘한 변화를 많이 가미하면서 그 수준이 더욱 심오해졌다. 타구봉과 함께 대대로 방주에게만 전수되며 절대 다른 사람에게 전수하지 않는 것이 규칙이다.

좌) ???
어떤 무공인지 아시는분 댓글좀요
우) 감극도(感隙道)
형운의 스승, 귀혁이 만들어낸 방어를 위한 무공으로, 어떤 것을 인식하고, 인식한 후 몸을 움직여 행동하는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최소한도로 줄여보려는 노력 끝에 만들어진 기술이다. 모든 무인들이 꿈꾸는 경지를 체화해낸 해답 중 하나라고 한다. 형운의 경우도 그렇고, 귀혁도 공격적인 용도보다는 방어나 반격용도로 사용하는 일이 잦은 탓에, 방어에 있어선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무공으로 알려져 있다. 총 세 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밝혀진 바로는 아직까지 세번째 단계의 방어를 뚫었던 사람이 이존팔객 중, 무상검존 나윤극과 설산검후 이자령 두 사람 뿐이었다고 전한다. 이후에 밝혀지는 바로, 비공식적으로 혼마 한서우도 감극도의 방어를 뚫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초상비(草上飛)
풀잎 위를 밟으며 날아가듯 내달리는 수준으로, 경공에 막 입문해서 몸을 가볍게 달릴 수 있는 단계이다.

사량발천근(四兩撥千斤)
넉량의 힘으로 천 근의 무게를 다스린다는 의미이다.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제약한다는 뜻인데, 보통 넉 냥의 힘으로도 천 냥의 힘의 방향을 바꾸거나 할 수 있는 흘리기 기술로 쓰이곤 한다. 그리고 사량발천근의 진짜 의미는 천근의 힘을 얻고 나서야 사량의 힘으로 천근을 다스를 수 있다는 교훈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한다.





허공섭물(虛空攝物)
고강한 내공을 쌓은 고수가 기(氣)로 멀리 떨어진 사물을 움직이는 기예.

답설무흔(踏雪無痕)
상승 경공의 하나. 눈 위를 밟아도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몸을 가볍게, 그리고 신속하게 움직이는 경공.
쏘영무술(昭榮舞術)
적이 웃는 사이에 기습 공격하는 치명적인 무술.

삼괴권(三壞拳)
인중, 명치, 낭심 3군데의 급소를 타격하여 상대를 절명케하는 필살 무술.

항룡십팔장(降龍十八掌)
외문(外門)무학의 으뜸으로 초식의 수는 많지 않지만 각각의 초식이 모두 엄청난 위력을 가지고 있어서 어떤 방어로도 막을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