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영국 옥스포드에서 유학중인 한국인입니다.
곽민수 소장님께서 나오신 침투부 강의들을 정말 유익하게 시청하였는데, 최근에 옥스포드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시험도 끝났을 겸, 오늘은 옥스포드에서의 이집트학을 조금이나마 알아보았습니다. 같이 한 번 애쉬몰리안 박물관과 (Ashmolean Museum) 보들레안 예술 고고학 고대 세계 도서관 (前 새클러 도서관) (Bodleian Art, Archaeology, and Ancients World Library, previously the Sackler Library) 사진들을 함께 구경하죠 흐흐흐.
가장 먼저 애쉬몰리안 박물관부터 살펴보도록 하죠.
애쉬몰리안 박물관은 약 340년간 전시를 한 미술 및 고고학 박물관이며, 2011년부터 이집트관이 개설되었다고 하네요. 옥스포드에 있는 여려개의 박물관들과 같이 무료이기에, 여행 오신다면 한 번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박물관에 입장하여 좌측으로 들어가면 즉시 이집트관이 시작됩니다. 입구부터 침투부에서 소장님께서 언급하셨던 민의 석상이 (Colossal Statue of the god Min) 반겨주는군요. 침투부강의에서도 잠시 첨부사진으로도 출연합니다 (“리버스 그립”). 약 4미터 정도이며, 기원전 3300년경 콥토스 민의 신전에서 발견되었다 합니다. 이는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석상 중 하나라고 하네요.
같은 방에는 비슷하게 생긴 또 다른 석상 이외에도 민의 신전에서 가져온 유물들이 몇 개 더 있더군요. 아래 사진에는 위 석상이 지어진지 약 1700년이나 지난 후에 근처에서 만들어진 민의 유물입니다.
다음 방은 사후 세계와 관련된 유물들을 모아놓은 방으로 침투부강의에서 저승에서의 심판 중 심장의 입을 닫게 하기 위해서 올려놓는다고 설명하신 (“심장아 나대지 마”) 심장 스카라브 (Heart scarabs), 그리고 미라들이 (Burial of Djeddjehutyiuefankh, Meresamun) 전시되어있었습니다.
추가로 인상 깊었던 점은 대학 박물관답게 몇개의 유물들은 연구를 위해 전시장에서 잠시 나가있더군요. 박물관에서 빼온 유물들로 연구를 하다니, 설레면서도 조금은 심장 떨릴 것 같네요.
훨씬 더 많은 유물들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보들레안 예술 고고학 고대 세계 도서관 또한 탐험 해봅시다. 최근까지만 해도 새클러 도서관이라고 불리며, 제가 시험 기간에도 공부하기 위해 즐겨 방문하던 도서관이었는데, 얼마 전 이름을 바꾸었더군요.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입에는 잘 붙지 않습니다. 애쉬몰리안 박물관 바로 뒤편에 배치되어있으며 옥스포드의 이집트학 연구소인 그리피스 연구소와 (Griffith Institute) 붙어있기에, 이집트 관련 책들이 다수 보관되고 있습니다. 소장님께서도 석사 생활을 하시던 중 방문하시지는 않았을까 궁금하네요 크크크.
정문을 통해 들어가면 이런식이며, 독자들을 위한 쉼터 또한 있네요. 도서관으로 들어가면 책들이 뺴곡하게 있고 공부할 공간이 마련되어있습니다.
아래는 이집트학 책장 중 하나인데, 다양한 언어들로 보관되어 있는 점이 참 신기했습니다. 옆에는 파피루스 문서들을 연구하는 방도 있었는데 방해가 될까 걱정되어 들어가보지는 못했습니다. 추가로 위층 동양학 구간에는 한글로 되어있는 책들도 여러권 있더군요.
여러분께서 영국 여행 오신다면 하루쯤은 시간 내서 옥스포드도 오시면 좋겠네요. 비록 위 도서관은 방문객들을 받지 않지만, 박물관들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사진 찍기 좋은 명소들도 있으니 꼭 추천드립니다. 만약 해리포터 시리즈를 좋아하신다면 영화 촬영지이기에 더더욱 방문 필수입니다.
마무리로, 사실 작년에도 애쉬몰리안 박물관을 가볍게 관람한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소장님의 강의들을 시청한 후 박물관을 다시 한 번 관람하니 훨씬 유익하고 즐겁게 관람할 수 있었네요. 이만, 런던영국박물관에서 본 주호민 작가님과 닮은 이집트 유물과 (Serpentine statue depicting the official Harwa presenting two female divine figures) 함께 글을 마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사진출처: 직접 찍음
정보출처: 박물관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