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중에는 질소,산소 등의 분자가 가득한데 왜 우리는 사물을 있는그대로 볼수있을까요?
한산한 금요일 오후 사무실
밥먹고 나니 일하기가 싫어서 허공을 바라보다 문득 궁금하더군요.
공기중에 분자가 가득 차 있는데 왜 나는 사물을 볼수있지?!
그이유는 말입니다? 공기중에 가득한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등의 분자는 빛과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빛과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 않는 분자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공기가 투명하다고 느끼는 것이에요.
(마치 투명한 유리구슬처럼)
그런데말입니다 가끔 아이스크림 배달이나 식품배달시 오는 드라이아이스!
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이산화탄소지요.
꺼내는순간 이산화탄소가 기화되면서 흰가스가 뿜뿜하지않습니까?
거참 이상하다? 기체 이산화탄소는 흰색인데 공기중 함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흰색으로 보이질 않는걸까요?
아닙니다! 사실 기체 이산화탄소는 빛과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않아 투명하거든요!
드라이아이스 흰 가스의 정체는 바로 수증기였습니다!
기화되면서 주변이 차가워지지요? 주변 수증기가 얼어붙어 일종의 구름이 생성된것입니다! 놀라워라!
구름이 먹어보고싶었던 어른이들은 드라이아이스 주변에서 공기를 먹어보면 되겠군요!
지금껏 이산화탄소인줄알고 드라이아이스 근처에서는 숨을 덜쉬었더란 말이죠ㅎㅎ
근데 이상하다! 고체 드라이아이스는 흰색이잖아요?
내가 빙다리 핫바지로 보이냐?
그럼 고체 이산화탄소를 만들때 수증기가 섞여들어가서 흰색으로 보이나보다 했더니
그것도 아니랍니다!!
이산화탄소는 고체상태로 존제할때 표면이 미세하게 불규칙하여 빛과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불투명한 흰색으로 보이는것 이었어요!
정말 재밌지요?
GPT에게 물어보니 아주 상세하게 답변해주더라구요.
아주 날카롭고 흥미로운 질문이라며 칭찬도 받았더래죠.
어딘가에 이 신기하고 쓸데없는 사실을 알리고싶은데 알릴데가 없어서 침하하에 올립니다.
그럼이만.